
현실세계와 인터넷의 연결, 미래는 사물인터넷 시대
-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기술이자 필수요소로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정보를 교류하고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인프라 및 서비스 기술을 의미
- 서울시는 2016년 「서울디지털 기본계획 2020」(’16.2.24)을 수립하고 「사물인터넷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16.9.29) 제정
- 2017년 서울 IoT센터(서울산업진흥원에 위탁)를 운영하는 한편, 사물인터넷 도시조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 시행 중
표 1. 서울시 사물인터넷 관련 사업 현황
사업명 |
R&D |
인프라 구축 |
교류 협력 |
교육/인재양성 |
창업 사업화 |
서울 사물인터넷 도시 조성 |
◯ |
◯ |
◯ |
◯ |
◯ |
Seoul Digital Summit |
|
|
◯ |
|
|
시민주도형 디지털 거버넌스 체계 구축 |
|
◯ |
|
|
|
공간정보 공유·활용 확대 |
|
◯ |
|
|
|
빅데이터 공유·활용 확대 |
|
◯ |
|
|
|
빅데이터 캠퍼스 설치 및 운영 |
|
◯ |
|
|
|
초고속 정보통신 인프라 고도화 |
|
◯ |
|
|
|
시민중심 디지털 서비스제공 |
|
◯ |
|
|
|
양재 R&CD 혁신지구 육성 |
◯ |
|
|
|
|
낙성대 R&D 벤처밸리 육성 |
◯ |
|
|
|
|
G밸리 산업고도화를 위한 사물인터넷 지원 |
◯ |
◯ |
◯ |
◯ |
◯ |
서울디지털재단 운영 |
|
◯ |
◯ |
◯ |
|
개포디지털혁신파크 운영 |
◯ |
◯ |
◯ |
◯ |
|
성수IT종합센터 |
◯ |
|
|
◯ |
|
디지털대장간운영 |
◯ |
|
|
|
|
성북 시제품제작소 구축, 운영 |
◯ |
|
|
|
|
서울 C-ITS 실증사업 |
◯ |
◯ |
|
|
|
미래형 데이터센터 구축 |
|
◯ |
|
|
|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사물인터넷 산업 잠재력과 육성방안」
전국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서비스 분야 사업체 10개 중 6.5개는 서울에 집중
-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은 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의 4개 분야로 구분될 수 있어
- 전국의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사업체의 47.1%, 종사자의 42.2%가 서울에 집중, 특히 서비스 분야는 사업체의 64.4%, 종사자의 71.8%가 서울에 몰려 있어
표 2.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업종 구분
사업명 |
디바이스 |
네트워크 |
플랫폼 |
서비스 |
전자집적회로 제조업 |
◯ |
|
|
|
전자카드 제조업 |
◯ |
|
|
|
전자접속카드 제조업 |
◯ |
|
|
|
그 외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
◯ |
|
|
|
컴퓨터 제조업 |
◯ |
|
|
|
기타 주변기기 제조업 |
◯ |
|
|
|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
◯ |
|
|
|
방송장비 제조업 |
◯ |
|
|
|
이동전화기 제조업 |
◯ |
|
|
|
기타 무선 통신장비 제조업 |
◯ |
|
|
|
텔레비전 제조업 |
◯ |
|
|
|
비디오 및 기타 영상기기 제조업 |
◯ |
|
|
|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
|
|
◯ |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
|
|
◯ |
유선통신업 |
|
◯ |
|
|
무선통신업 |
|
◯ |
|
|
위성통신업 |
|
◯ |
|
|
통신 재판매업 |
|
◯ |
|
|
그 외 기타 전기 통신업 |
|
|
|
◯ |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
|
|
◯ |
|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 |
|
◯ |
|
|
컴퓨터 관리업 |
|
|
|
◯ |
기타 정보기술 및 컴퓨터 운영 관련 서비스업 |
|
|
|
◯ |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사물인터넷 산업 잠재력과 육성방안」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6, 「서울인터넷 산업 실태조사」)
표 3.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사업체 수 (단위: 개, %)
구분 |
디바이스 |
네트워크 |
플랫폼 |
서비스 |
전체 |
전국 |
7,168 |
3,554 |
4,739 |
11,979 |
27,440 |
서울 |
1,209 |
1,674 |
2,336 |
7,716 |
12,935 |
전국 대비 서울 비중 |
16.9 |
47.1 |
49.3 |
64.4 |
47.1 |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사물인터넷 산업 잠재력과 육성방안」
표 4.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종사자수 (단위: 명, %)
구분 |
디바이스 |
네트워크 |
플랫폼 |
서비스 |
합계 |
전국 |
217,186 |
111,324 |
34,600 |
157,036 |
520,146 |
서울 |
11,774 |
74,233 |
21,117 |
112,786 |
219,910 |
전국 대비 서울 비중 |
5.4 |
66.7 |
61.0 |
71.8 |
42.3 |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사물인터넷 산업 잠재력과 육성방안」
2015년 서울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매출액 대부분은 네트워크와 서비스 분야
- 2015년 서울시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매출액은 63조 6천억 원으로 전국 매출액의 22.9% 차지
- 서울시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의 매출액은 네트워크 분야가 37조 5천억 원으로 가장 많고, 그다음은 서비스 분야(20조 3천억 원), 디바이스 분야(3조 3천억 원) 순
표 5.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매출액 규모 (단위: 백만 원, %)
구분 |
디바이스 |
네트워크 |
플랫폼 |
서비스 |
전체 |
전국 |
183,203,455 |
62,493,125 |
4,141,061 |
27,418,505 |
277,256,146 |
서울 |
3,297,452 |
37,476,078 |
2,532,471 |
20,269,589 |
63,575,590 |
5.2 |
58.9 |
4.0 |
31.9 |
100.0 |
전국 대비 서울 비중 |
1.8 |
60.0 |
61.2 |
73.9 |
22.9 |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사물인터넷 산업 잠재력과 육성방안」
사물인터넷은 인터넷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과 서비스를 의미한다. 전국의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사업체 중 47.1%, 종사자 중 42.2%가 서울에 집중돼 있다. 특히 서비스분야는 사업체의 64.4%, 종사자의 71.8%가 서울에 몰려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5년 기준 서울의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 매출액은 63조 6천억 원으로 전국 매출액 중 1/5 이상을 차지했다. 분야별 매출액은 네트워크 분야가 37조 5천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 분야(20조 3천억 원)와 디바이스 분야(3조 3천억 원)가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