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푸드트럭 영업신고와 폐업신고 가장 많았고 이후 폐업률 감소
- 2018년 5월 기준 서울에서 영업 중인 푸드트럭은 총 527대로 폐업률은 32.5% 수준
- 영업신고와 폐업은 모두 2016년에 가장 많았고(각각 304대, 141대) 이후 폐업률이 2018년 2.4%대로 감소
표 1. 서울시 푸드트럭 영업신고 및 폐업현황 (단위: 대, %)
서울시 푸드트럭 영업신고 및 폐업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영업신고 |
현재 영업신고 유지 |
폐업 |
폐업률 |
2015 |
52 |
1 |
51 |
98.1% |
2016 |
304 |
163 |
141 |
46.4% |
2017 |
300 |
241 |
59 |
19.7% |
2018.5 |
125 |
122 |
3 |
2.4% |
계 |
781 |
527 |
254 |
32.5% |
자료: 서울시 내부자료
10대 중 3대는 여의도한강공원에서 영업 중
- 정상영업 중인 푸트트럭은 자치구별로 영등포구(170대), 서초구(106대), 중구(86대) 순이고 장소별로는 여의도한강공원이 168대로 가장 많고 뒤이어 반포한강공원(64대), 동대문디자인플라자(52대) 순
- 운영자 연령대는 30대가 43.8%로 가장 많고 그다음은 20대(24.7%), 40대(17.6%) 순으로 청년층이 대부분
- 판매하고 있는 음식종류는 스테이크/닭꼬치/닭강정/치킨/육류(28.5%), 떡볶이/새우/핫도그/분식(19.5%), 커피/음료(13.5%) 순
표 2. 푸드트럭 영업장소 (단위: 개소, %)
푸드트럭 영업장소를 정리한 표 입니다
자치구 |
장소 |
트럭수 |
합계 |
자치구 |
장소 |
트럭수 |
합계 |
강남구 |
코엑스 |
22 |
24 |
성동구 |
기타 |
1 |
1 |
기타 |
2 |
강동구 |
아트센터 |
1 |
1 |
강북구 |
북서울꿈의숲 |
2 |
2 |
강서구 |
경인아라뱃길 |
1 |
2 |
기타 |
1 |
관악구 |
관악구민종합체육센터 |
1 |
1 |
송파구 |
기타 |
7 |
16 |
광진구 |
기타 |
3 |
3 |
올림픽주경기장 / 잠실종합운동장 |
7 |
금천구 |
안양천 어린이물놀이장 |
5 |
8 |
잠실한강지구 |
2 |
기타 |
3 |
양천구 |
목동야구장 |
15 |
18 |
노원구 |
인덕대학교 |
2 |
2 |
기타 |
3 |
도봉구 |
덕성여자대학교 |
1 |
1 |
영등포구 |
기타 |
2 |
170 |
동작구 |
기타 |
2 |
2 |
여의도한강공원 |
168 |
마포구 |
기타 |
4 |
32 |
은평구 |
기타 |
2 |
14 |
난지한강공원 |
2 |
서울혁신센터 |
12 |
마포농수산물시장 |
10 |
종로구 |
청계천 보행전용거리 |
23 |
29 |
평화의공원 |
2 |
세종로 |
4 |
문화비축기지 |
14 |
기타 |
2 |
서대문구 |
기타 |
2 |
2 |
중구 |
한옥마을 |
4 |
86 |
서초구 |
서초문화예술회관 |
4 |
106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52 |
강남대로(강남역) |
19 |
서울광장 |
10 |
예술의전당 |
6 |
기타 |
14 |
반포한강공원 |
64 |
청계천 보행전용거리 |
6 |
기타 |
13 |
중랑구 |
기타 |
5 |
5 |
합계 |
525 |
자료: 서울시 내부자료
표 3. 푸드트럭 운영자 연령대 (단위: %)
푸드트럭 운영자 연령대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합계 |
비율 |
24.7 |
43.8 |
17.6 |
9.7 |
3.4 |
0.8 |
100.0 |
자료: 서울시 내부자료 재분류
표 4. 푸드트럭 판매 식품 (단위: %)
푸드트럭 판매 식품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스테이크/닭꼬치/닭강정/치킨/육류 |
떡볶이/새우/핫도그/ 분식류 |
커피/음료 |
빵/파스타/샌드위치/햄버거/피자/양식류 |
기타 |
제과/아이스크림/디저트류 |
밥/전/ 한식류 |
소바/초밥/우동/타코야끼/일식류 |
합계 |
비율 |
28.5 |
19.5 |
13.5 |
12.4 |
9.2 |
6.0 |
5.8 |
5.1 |
100.0 |
자료: 서울시 내부자료 재분류
2017년 야시장 참가 푸드트럭 1대당 하루 평균 매출액, 전체는 147만원, 여의도는 182만원
- 서울밤도깨비야시장은 서울의 대표적인 푸드트럭 참가 이벤트, 2015년 40대 푸드트럭이 참가했고 2016년 102대, 2017년 177대로 점차 규모 증가
- 방문객수는 2015년 20만 명, 2016년 330만 명, 2017년 494만 명으로 3년 만에 24.7배 증가
- 2017년 10월 기준 야시장 매출액의 77.9%가 푸드트럭에서 발생
- 그리고 여의도 푸드트럭의 경우 1대당 하루에 182만 원 정도의 매출 달성
표 5. 서울밤도깨비야시장 운영 실적
서울밤도깨비야시장 운영 실적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2015 |
2016 |
2017 |
개최기간 |
’15.10.1~10.17 (기간 중 목, 금, 토) |
’16.3.31.~10.30. (매주 금, 토) |
‘17.3.24.~10.29. (매주 금~일 중 2회) |
개최장소 |
1개소
(여의도한강공원) |
4개소
(여의도한강공원,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목동운동장, 청계광장) |
6개소
(여의도한강공원,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반포한강공원, 청계천, 청계광장, 문화비축기지) |
개최횟수 |
총 7회 |
총 122회 |
총 221회 |
총방문객 |
총 20만 명
(1일 평균 28천 명) |
총 330만 명
(장소별 1일 평균 27천 명) |
총 494만 명
(장소별 1일 평균 22천 명) |
총매출액(백만 원) |
498 |
7,588 |
12,626 |
규모 |
120팀
(푸드 40, 일반 80) |
332팀
(푸드 102, 일반 230) |
505팀
(푸드 177, 일반 328) |
자료: 서울시 내부자료
표 6. 서울밤도깨비야시장 푸드트럭 매출현황 (2017.10 기준) (단위: 천 원)
서울밤도깨비야시장 푸드트럭 매출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합계 |
여의도 |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
청계천 |
반포 |
청계광장 |
문화비축 |
전체매출 |
12,626,110 |
4,878,640 |
2,256,160 |
1,957,930 |
3,313,100 |
158,540 |
61,740 |
푸드트럭 매출 |
9,830,690 |
4,087,290 |
1,640,950 |
1,362,500 |
2,631,410 |
57,110 |
51,430 |
비율 |
77.9 |
83.8 |
72.7 |
69.6 |
79.4 |
36.0 |
83.3 |
일 평균(대당) |
1,470 |
1,820 |
1,230 |
1,100 |
1,440 |
910 |
520 |
주: 푸드트럭을 제외한 전체매출은 지역상인을 포함한 일반상인이 운영하는 마켓 수입
자료: 서울시 내부자료
서울 시내 푸드트럭(이동용 음식판매 자동차 영업)은 2018년 5월 기준 527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푸드트럭의 폐업률은 32.5%로 2016년 이후 꾸준히 감소했다. 정상영업 중인 푸트트럭은 자치구별로는 영등포구(170대)에, 장소별로는 여의도한강공원(168대)에 가장 많았다. 운영자 연령대는 30대(43.8%)와 20대(24.7%) 순으로 많아 청년층이 대부분이었다. 서울밤도깨비야시장은 푸드트럭이 주로 참여하는 행사로 2017년 야시장 매출의 77.9%가 푸드트럭에서 나왔다. 야시장에 참여한 푸드트럭 1대가 올린 하루 평균 매출액은 147만 원인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