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2011년부터 사회적경제 활성화 위해 노력
- 사회적경제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운영되는 기업 및 조직
-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정 후 2011년 서울시는 일자리창출과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목표를 수립하였으며, 사회적경제기업 지원을 위해 2013년 서울시사회적경제기업센터 설립
표 1. 사회적경제기업 유형
구분 |
내용 |
사회적기업 (인증사회적기업) |
- 사회적기업육성법에 근거 - 일자리 제공형, 사회서비스 제공형, 지역사회 공헌형 등 지역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생산, 판매, 서비스 등 영리활동을 하는 기업 및 조직 |
예비 사회적기업 |
지역형 |
-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지자체 조례 또는 규칙 근거 (지자체장 주관) |
부처형 |
- 부처별 운영지침 근거 (정부부처장 주관) |
마을기업 |
- 지역 주민이 수익사업으로 공동의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공동체 이익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설립·운영하는 마을 단위의 기업 |
자활기업 |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근거 - 지역자활센터의 자활근로사업으로 습득된 기술을 바탕으로 저소득층 주민들이 생산자협동조합이나 공동사업자 형태로 운영되는 기업 |
협동조합 |
- 협동조합기본법 등에 근거 - 함께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며 모두가 주인으로 지역사회에 기여하며 오래 일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동체 - 소비자 생활 협동조합(소비생협) 포함 |
자료 : 서울 사회적경제포털 홈페이지
2016년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중 76.9%는 협동조합
-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수는 매년 증가추세, 2011년 718개에서 2016년 3,512개로 5년 전보다 4.8배 증가
- 2016년 사회적경제기업 유형 중 76.9%가 협동조합으로 가장 많고 그다음은 인증사회적기업(8.1%), 예비사회적기업(5.8%) 순
- 실제로 사업을 하고 있는 유효기업 비율은 예비사회적기업과 소비생협이 100%, 인증사회적기업이 99%로 높은 반면, 협동조합은 절반수준인 54.1%로 나타나
표 2.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연도별 현황 (단위: 개)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연도별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기업 수 |
718 |
819 |
1,766 |
2,497 |
3,054 |
3,512 |
자료 : 서울시사회경제지원센터 2016년 성과보고서
표 3. 2016년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유형 및 가동률 (단위: 개, %)
2016년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유형 및 가동률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협동조합 |
인증사회적기업 |
예비사회적기업 |
자활기업 |
마을기업 |
소비생협 |
합계 |
기업 수 |
2,701 |
286 |
202 |
171 |
114 |
38 |
3,512 |
% |
76.9 |
8.1 |
5.8 |
4.9 |
3.2 |
1.1 |
100.0 |
유효기업 수 |
1,460 |
283 |
202 |
159 |
94 |
38 |
2,236 |
가동률 |
54.1 |
99.0 |
100.0 |
93.0 |
82.5 |
100.0 |
63.7 |
자료 : 서울시사회경제지원센터 2016년 성과보고서
2016년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매출액은 5년 전 보다 170% 증가
- 2016년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의 매출액은 1조 9,600억 원으로 5년 전에 비해 169.2% 증가하였으며, 인증사회적기업의 비중이 51.0%로 가장 높아
- 고용창출 규모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16년 2만 명의 고용자 대부분은 인증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 소속
표 4.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매출액 (단위: 백만 원)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매출액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내용 |
728,385 |
686,267 |
1,037,961 |
1,280,674 |
1,563,125 |
1,961,058 |
자료 : 서울시사회경제지원센터 2016년 성과보고서
표 5. 2016년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유형별 매출액 분포 (단위: %)
2016년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유형별 매출액 분포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인증사회적기업 |
협동조합 |
소비생협 |
예비사회적기업 |
자활기업 |
마을기업 |
합계 |
% |
51.0 |
22.0 |
20.0 |
4.0 |
2.0 |
1.0 |
100.0 |
자료 : 서울시사회경제지원센터 2016년 성과보고서
표 6.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고용창출 규모 (단위: 명, %)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고용창출 규모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명 |
% |
인증사회적기업 |
4,230 |
4,673 |
5,430 |
6,005 |
6,617 |
7,810 |
39.5 |
예비사회적기업 |
5,410 |
3,270 |
2,080 |
1,000 |
1,210 |
1,310 |
6.6 |
협동조합 |
- |
50 |
3,190 |
4,990 |
6,340 |
7,590 |
38.4 |
마을기업 |
60 |
70 |
107 |
163 |
197 |
250 |
1.3 |
자활기업 |
890 |
990 |
1,238 |
1,368 |
1,481 |
1,379 |
7.0 |
소비생협 |
1,300 |
1,300 |
1,370 |
1,420 |
1,430 |
1,430 |
7.2 |
합계 |
11,890 |
10,353 |
13,415 |
14,946 |
17,275 |
19,769 |
100.0 |
자료 : 서울시사회경제지원센터 2016년 성과보고서
사회적경제기업은 이윤 극대화보다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같은 사회적 목적을 우위에 둔 경제활동을 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은 2011년 718개에서 2016년 3,512개로 4.8배 늘었다. 유형별로 협동조합(76.9%)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인증사회적기업(8.1%), 예비사회적기업(5.8%) 순이었다. 서울 사회적경제기업의 2016년 매출액은 1조 9,600억 원으로 5년 전보다 169.2% 증가했다. 특히, 인증사회적기업의 매출비중이 51.0%로 가장 높았다. 고용창출 규모도 2011년 1만 1,890명에서 2016년 1만 9,769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