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342개동이 ‘찾‧동’ 사업 참여, 어르신‧출산가정‧빈곤가정에 ‘방문 복지’ 제공
-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이하 찾‧동) 사업은 어르신과 출산‧양육가정, 빈곤‧돌봄위기 가정을 대상으로 복지플래너와 방문간호사 서비스 등을 제공, 서울시민 64.8%는 찾‧동 사업을 인지
- 2015년 7월 도입 이후 2017년 7월 기준으로 24개구 342개동이 참여(서울시 전체 25개구 424개 행정동 중 80.6%)
- 복지플래너: 65세 도래 어르신, 출산‧양육가정, 빈곤‧돌봄위기 가정을 대상으로 생애 주기별 맞춤 복지 제공
- 방문간호사: 65세‧70세 도래 어르신, 출산가정, 건강고위험 가정을 대상으로 방문의료 및 복지서비스 제공
찾‧동 복지플래너 서비스 경험자 10명 중 7명은 만족, 실제 복지서비스 이용에 도움
- 실제 복지플래너 서비스를 받은 어르신 68.0%와 빈곤가정 77.0%는 서비스에 만족, 이유는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알 수 있어서', '도움이 필요할 때 연락할 수 있는 동 공무원이 생겨서' 등이 많아
- 복지플래너 상담 후 어르신은 ‘일반적 복지 서비스’, 빈곤가정은 ‘공적 급여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
방문간호사 서비스는 영·유아가정에서 만족도 가장 높아
- 방문간호사 서비스는 영·유아가정의 93.0%가 만족, 이유는 '모유수유 방법 등 육아정보 제공'(74.2%)이 가장 많아
- 어르신 또한 방문간호사 서비스에 대해 72.0%가 만족, 이유는 '간호사가 친절해서'(84.7%)가 가장 많아
표 1. 찾‧동 사업 인지율 (단위: %)
찾‧동 사업 인지율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잘 알고 있다 |
들어본 적이 있다 |
잘 모르겠다 |
합계 |
인지율 |
8.7 |
56.1 |
35.2 |
100.0 |
주: 서울시 거주 시민 1,000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조사기간은 2016년 8월~10월) 자료: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이달의 주요공개정보 ( http://opengov.seoul.go.kr/anspruch , 2017.8)
표 2. 복지플래너 서비스 만족도 (단위: %)
복지플래너 서비스 만족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대상 |
만족 |
보통 |
불만족 |
합계 |
어르신 |
68.0 |
27.0 |
5.0 |
100.0 |
빈곤가정 |
77.0 |
17.0 |
6.0 |
100.0 |
주: 찾‧동 1차 사업 수혜자 600명(어르신 300명, 영·유아가정 및 임산부 100명, 빈곤가정 200명) 대상 방문면접조사 결과 (조사기간은 2016년 8월~10월) 자료: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이달의 주요공개정보 ( http://opengov.seoul.go.kr/anspruch , 2017.8)
표 3. 복지플래너 서비스 만족 이유 (중복응답) (단위: %)
복지플래너 서비스 만족 이유를 정리한 표 입니다
대상 |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알 수 있었다 |
도움이 필요할 때 연락할 수 있는 동 공무원이 생겼다 |
서비스 지원, 연계 등을 통해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었다 |
체계적 건강관리가 가능해졌다 |
여가 활동, 사회참여 등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었다 |
기타 |
어르신 |
45.6 |
20.6 |
17.6 |
14.7 |
8.1 |
0.7 |
빈곤가정 |
44.2 |
41.6 |
29.2 |
16.9 |
- |
1.9 |
자료: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이달의 주요공개정보 ( http://opengov.seoul.go.kr/anspruch , 2017.8)
표 4. 복지플래너 상담 후 실제 이용한 복지 제도 (중복응답) (단위: %)
복지플래너 상담 후 실제 이용한 복지 제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대상 |
일반적 복지 서비스 |
건강 관련 서비스 |
공적 급여 서비스 |
문화 관련 서비스 |
일자리 서비스 |
사회 관계망 서비스 |
교육 관련 서비스 |
돌봄 서비스 |
사회 참여 서비스 |
지역 내 연계 가능한 복지 서비스 |
어르신 |
91.0 |
56.6 |
40.3 |
20.3 |
17.6 |
11.1 |
9.1 |
7.0 |
2.3 |
0.0 |
빈곤가정 |
0.0 |
65.3 |
77.0 |
40.2 |
20.7 |
23.1 |
31.4 |
0.0 |
0.0 |
50.8 |
자료: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이달의 주요공개정보 ( http://opengov.seoul.go.kr/anspruch , 2017.8)
표 5. 방문간호사 서비스 만족도 (단위: %)
방문간호사 서비스 만족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대상 |
만족 |
보통 |
불만족 |
합계 |
어르신 |
72.0 |
24.7 |
3.3 |
100.0 |
영‧유아가정 |
93.0 |
6.0 |
1.0 |
100.0 |
자료: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이달의 주요공개정보 ( http://opengov.seoul.go.kr/anspruch , 2017.8)
표 6. 방문간호사 서비스 만족 이유 (어르신, 중복응답) (단위: %)
방문간호사 서비스 만족 이유 (어르신, 중복응답)를 정리한 표 입니다
대상 |
간호사가 친절해서 |
간호사가 직접 집으로 방문해줘서 |
나의 얘기를 잘 들어줘서 |
나에게 맞는 의료인‧의료기관‧ 서비스 등을 알려줘서 |
나에게 맞는 복지 정보를 알려줘서 |
제공하는 서비스 질이 높아서 |
필요할 때 항상 연락이 가능해서 |
어르신 |
84.7 |
38.0 |
31.9 |
31.5 |
24.1 |
9.7 |
7.4 |
자료: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이달의 주요공개정보 ( http://opengov.seoul.go.kr/anspruch , 2017.8)
표 7. 방문간호사 서비스 만족 이유 (영‧유아가정, 중복응답) (단위: %)
방문간호사 서비스 만족 이유 (영‧유아가정, 중복응답)를 정리한 표 입니다.
대상 |
모유수유 방법 등 육아정보를 제공해줘서 |
간호사가 친절해서 |
간호사가 직접 집으로 방문해줘서 |
자녀 및 산모의 건강 상태를 잘 평가해줘서 |
간호사가 신뢰가 가서 |
예방 접종, 건강검진 정보를 알려줘서 |
필요한 보육복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서 |
필요한 의료인/ 의료기관을 알려줘서 |
영‧유아가정 |
74.2 |
73.1 |
57.0 |
53.8 |
41.9 |
36.6 |
20.4 |
11.8 |
자료: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이달의 주요공개정보 ( http://opengov.seoul.go.kr/anspruch , 2017.8)
찾아가는동주민센터(찾동) 서비스를 받은 서울시민 10명 중 7명은 서비스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찾동의 복지플래너 서비스를 받은 노인 만족도와 빈곤가정 만족도는 각각 68.0%와 77.0%를 기록했다. 만족하는 이유로는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알 수 있어서’(노인 45.6%, 빈곤가정 44.2%)가 가장 많았다. 방문간호사 서비스는 영・유아가정이 93.0%, 노인은 72.0%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영・유아 가정은 ‘육아정보 제공’(74.2%)을, 어르신은 ‘간호사가 친절해서’(84.7%)를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