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29세 청년 중 78.5%는 취업경험이 있고 이 중 정규직은 7%뿐
- 졸업 이후 취업(1주일 이상했던 아르바이트 포함)을 해본 경험이 있는 청년은 78.5%, 취업형태는 비정규직(단시간근로포함)(70.9%), 일용직(20.0%), 정규직(7.0%) 순
- 정규직 비율은 25~29세 청년층이 상대적으로 많고 일용직의 경우 18~24세 청년층이 많음
취업이 진로계획의 최종 목표인 청년들은 연령층이 높을수록 대기업 선호, 취업 노력은 학원수강이 가장 많아
- 진로계획의 최종 목표가 취업이라고 응답한 청년 중 18~24세는 중소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25~29세는 대기업 취업을 선호
- 취업 노력은 어학능력·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원수강(64.8%), 기술습득을 위한 학원수강(47.0%), 직무경험을 쌓기 위한 인턴십(34.8%) 순으로 나타남
창업을 고려하고 있는 청년은 21.6%, 이유는 취업의 어려움(44.8%), 높은 수익에 대한 기대(42.2%) 순
- 창업을 고려하고 있는 청년층은 21.6%로 나타났고, 이 중 18~24세 청년층은 ‘취업이 안 될 경우 창업을 해볼 생각이 있다’는 비율과 25~29세 청년층은 ‘여건이 된다면 창업을 할 생각이 있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창업을 고려하는 이유는 취업의 어려움(44.8%), 높은 수익에 대한 기대(42.2%), 오랫동안 일하기 위해(24.7%) 순
표 1. 졸업 이후 취업 경험 및 종사상 지위 (단위: %)
졸업 이후 취업 경험 및 종사상 지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취업경험 없음 |
취업경험 있음 |
종사상 지위 |
기간제 비정규직 |
일용직 |
정규직 |
가족의 일을 도움 |
자영업자 |
고용주 |
전체 |
21.5 |
78.5 |
70.9 |
20.0 |
7.0 |
1.6 |
0.4 |
0.2 |
연령 |
18~19세 |
34.3 |
65.7 |
55.2 |
38.8 |
- |
6.0 |
- |
- |
20~24세 |
24.6 |
75.4 |
68.7 |
24.8 |
4.8 |
1.7 |
- |
- |
25~29세 |
14.1 |
85.9 |
76.8 |
11.0 |
10.6 |
0.4 |
0.8 |
0.4 |
주 : 1) 본 조사는 미취업자로 대상이 한정되어 있지 않음. 2) 종사상지위 : 전체표본은 서울시민 만 18~29세 713명 (95% 신뢰수준에서 허용오차 ±3.67%p) 중 취업 경험이 있는 560명을 대상으로 함 자료: 서울연구원, 2016, 「청년활동지원사업 운영모델 구축방안」
표 2. 희망하는 취업 기업 형태 (단위: %)
희망하는 취업 기업 형태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중소기업 |
공공기관 |
대기업 |
공기업 |
외국계기업 |
사회적 경제 기업 |
시민사회 단체 |
전체 |
26.9 |
23.9 |
23.6 |
17.1 |
7.0 |
1.3 |
0.2 |
연령 |
18~24세 |
35.8 |
22.7 |
14.8 |
16.9 |
7.9 |
1.9 |
- |
25~29세 |
14.7 |
25.7 |
35.8 |
17.4 |
5.7 |
0.4 |
0.4 |
주: 1) 본 조사는 미취업자로 대상이 한정되어 있지 않음. 2) 전체표본은 서울시민 만 18~29세 713명 (95% 신뢰수준에서 허용오차 ±3.67%p) 중 진로계획의 최종 목표가 취업인 631명을 대상으로 함. 자료: 서울연구원, 2016, 「청년활동지원사업 운영모델 구축방안」
표 3. 취업 노력 (복수응답) (단위: %)
청년들의 취업 노력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어학능력 향상/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원수강 |
기술습득을 위한 학원수강 |
직무경험을 쌓기 위한 인턴십 |
취업준비를 위한 그룹스터디 |
다양한 경험을 쌓기 위한 봉사활동 |
공모전 준비 |
취업을 고려하고 있지 않음 |
시민운동 정당활동 지역공동체 활동 등의 사회활동 |
시험 공부 |
전체 |
64.8 |
47.0 |
34.8 |
19.2 |
12.5 |
3.8 |
2.9 |
1.8 |
1.8 |
연령 |
18~24세 |
62.9 |
54.3 |
29.7 |
16.5 |
15.5 |
3.4 |
2.7 |
2.5 |
0.5 |
25~29세 |
67.3 |
37.3 |
41.5 |
22.9 |
8.5 |
4.2 |
3.3 |
1.0 |
3.6 |
주: 1) 본 조사는 미취업자로 대상이 한정되어 있지 않음. 2) 서울시민 만 18~29세 713명 대상 면접조사 (95% 신뢰수준에서 허용오차 ±3.67%p) 자료: 서울연구원, 2016, 「청년활동지원사업 운영모델 구축방안」
표 4. 창업 고려 여부 (단위: %)
창업 고려 여부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고려하고 있음 |
향후 여건이 된다면 창업할 생각 |
취업이 안 된다면 해볼 생각 있음 |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음 |
전체 |
5.3 |
5.9 |
10.4 |
78.4 |
연령 |
18~24세 |
5.2 |
5.4 |
11.1 |
78.4 |
25~29세 |
5.6 |
6.5 |
9.5 |
78.4 |
주: 1) 본 조사는 미취업자로 대상이 한정되어 있지 않음. 2) 서울시민 만 18~29세 713명 대상 면접조사 (95% 신뢰수준에서 허용오차 ±3.67%p) 자료: 서울연구원, 2016, 「청년활동지원사업 운영모델 구축방안」
표 5. 창업을 고려하는 이유 (복수응답) (단위: %)
창업을 고려하는 이유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취업이 어려워서 |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 같아서 |
오랫동안 일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
나의 전문 영역을 키우고 싶어서 |
나의 아이디어를 사업으로 실현하고 싶어서 |
사회적으로 성공하고 싶어서 |
나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일을 하기 위해서 |
전체 |
44.8 |
42.2 |
24.7 |
24.0 |
21.4 |
18.8 |
11.0 |
연령 |
18~24세 |
44.3 |
43.2 |
26.1 |
23.9 |
19.3 |
21.6 |
11.4 |
25~29세 |
45.5 |
40.9 |
22.7 |
24.2 |
24.2 |
15.2 |
10.6 |
주: 1) 본 조사는 미취업자로 대상이 한정되어 있지 않음. 2) 전체표본은 서울시민 만 18~29세 713명 (95% 신뢰수준에서 허용오차 ±3.67%p) 중 창업을 고려하고 있는 154명을 대상으로 함. 자료: 서울연구원, 2016, 「청년활동지원사업 운영모델 구축방안」
서울 청년(18∼29세) 가운데 취업 경험이 있는 사람은 78.5%로 나타났다. 취업 형태별로 비정규직이 70.9%로 가장 많았고, 일용직이 20%로 뒤를 이었다. 정규직은 7%에 불과했다. 취업을 원하는 청년들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대기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청년들은 취업을 하기 위해 ‘어학능력・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원수강’(64.8%), ‘기술습득을 위한 학원수강’(47.0%), ‘직무경험을 쌓기 위한 인턴십’(34.8%) 같은 노력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창업을 생각하는 청년은 21.6%로 나타났다. 창업을 고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취업이 어려워서’(44.8%)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