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신선식품 물가 최근 3년간 평균 10.1% 상승
서민 주요 생활물가 중 전세가 30.2% 증가
- 8월 서울의 소비자물가(전년동월대비)는 1.8%로 2개월 연속 1%대를 시현하며 외형적으로 물가 안정세를 보임. 그러나 최근 3년간 소비자물가 평균은 3.0%로 상승세 지속.
- 8월 서울의 신석식품(전년동월대비)은 -1.9%로 하락하였으나 최근 3년간 평균은 10.1%로 서민 생활물가 상승의 큰 요인으로 작용.
- 8월 서울의 물가는 전반적으로 안정되어 보이나 최근 3년 평균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경제상황 및 물가상승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 서민 생활물가와 밀접한“6대 서민생활 필수 항목”중 전세가(30.2%), 도시가스(22.3%), 휘발유(17.9%), 고등어(16.7%), 대중교통(15%), 밀가루(9.8%) 순으로 상승
- 서민 생활물가 안정을 위해 계절적인 영향을 받는 신선식품에 대한 정부의 수급 조절안과 가계부담을 줄이기 위한 공공요금 동결 필요
서민생활필수항목
- 집, 공공요금, 식료품 중 기초 생활 항목이라 판단되는 항목(전세가, 도시가스, 대중교통, 휘발유, 밀가루, 고등어)을 임의 선별하여 2012년 8월과 2009년 8월의 가격 비교
- 도 시 가 스 : 원/㎥, 부가세별도, 서울도시가스
- 아파트전세가: 만원/3.3㎡, 부동산114
- 휘 발 유: 원/1L터당, 보통휘발유, 석유정보망
- 고 등 어: 냉동(중품)1마리, 농수산물유통정보
- 밀 가 루: 원/1kg,*표 밀가루, 생필품가격정보
<표1> 서울 신선식품 물가 (단위 : 전년동월대비, %)
표1 서울 신선식품 물가를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소비자물가와 신선식품으로 정리한 표 입니다.
|
2009 |
2010 |
2011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소비자물가 |
2.6 |
2.4 |
2.2 |
2.4 |
2.6 |
3.0 |
2.7 |
2.5 |
2.6 |
2.6 |
2.4 |
2.3 |
2.6 |
3.4 |
3.6 |
3.0 |
2.9 |
3.4 |
3.8 |
신선식품 |
5.7 |
5.8 |
5.0 |
3.6 |
5.2 |
7.1 |
8.0 |
8.2 |
10.0 |
9.2 |
11.4 |
11.0 |
17.8 |
40.6 |
42.7 |
35.3 |
27.6 |
23.9 |
20.1 |
|
2011 |
2012 |
평균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소비자물가 |
3.8 |
3.5 |
3.7 |
4.1 |
4.3 |
4.5 |
3.5 |
3.4 |
3.9 |
3.9 |
3.2 |
3.1 |
2.8 |
2.8 |
2.8 |
2.5 |
1.9 |
1.8 |
3.0 |
신선식품 |
15.9 |
6.8 |
3.7 |
7.6 |
11.8 |
14.0 |
-6.4 |
-9.4 |
-4.8 |
-3.8 |
-3.6 |
1.8 |
5.6 |
8.3 |
14.0 |
11.6 |
3.1 |
-1.9 |
10.1 |
<표2>서울 서민 주요 생활물가(단위 : 원, %)
표2 서울 서민 주요 생활물가를 전세가, 도시가스, 휘발유, 고등어, 대중교통, 밀가루 순으로 정리한 표 입니다.
|
전세가 |
도시가스 |
휘발유 |
고등어 |
대중교통 |
밀가루 |
2009년 8월 |
649.5 |
712 |
1,746 |
1,500 |
1,000 |
1,138 |
2012년 8월 |
845.8 |
871 |
2,058 |
1,750 |
1,150 |
1,249 |
증감률 |
30.2 |
22.3 |
17.9 |
16.7 |
15.0 |
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