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www.si.re.kr)

홈 > 서울형 자치분권 특별회계 도입해 주민자치의 실질화 효과 거둘 필요

서울형 자치분권 특별회계 도입해 주민자치의 실질화 효과 거둘 필요

  • Clipboard [1]
  • Facebook [2]
  • Kakao [1]
  • Twitter [3]
저자: 
신가희, 박성문
부서명: 
도시경영연구실
분량/크기: 
37Page
분류: 
현안
분류번호: 
2020-OR-17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4] (708.36 KB)
PDF icon 요약 [5] (217.45 KB)
PDF icon 원본 [6] (2.78 MB)

주민자치 대내외적 중요성 커지는데 재원확보는 불안정

현 정부는 자치분권 종합계획을 추진하여 풀뿌리 주민자치를 핵심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도 주민자치 활성화, 중간지원조직 간 네트워크 형성, 민관 협치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로컬 자생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그 핵심으로 주민자치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재정 지원 체계하에서는 주민자치 사업을 지속하기 위한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서울시 주민자치 사업은 여러 부서 간 분절적 운영으로 재정 운용의 비효율성을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서울시가 당면한 과제는 주민자치 예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향후 주민자치 재원의 안정적인 확보를 담보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세종시 등, 자치분권 특별회계 도입해 안정적 재정지원

세종시는 ‘시민주권 특별자치시 세종’의 실현을 재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2018년 전국 최초로 자치분권 특별회계를 도입하였다. 대전광역시 유성구는 유성형 풀뿌리 주민자치의 실현을 위해 2019년 자치구 단위의 특별회계를 신설하였다. 세종시는 자치분권 특별회계의 도입으로 분절적으로 시행되었던 주민자치 사업들을 통합 개편하고 주민자치 재원을 11억 원에서 159억 원으로 확충하였다. 대전광역시 유성구는 자치분권 특별회계의 도입으로 주민자치의 실행력을 제고하고 새로운 방식의 혁신적인 주민자치 사업들이 수행되고 있다.

자치분권 특별회계 도입 시 서울에 맞는 제도로 특화를 

2020년 기준, 서울시의 주민세는 5,945억 원으로 자치분권 특별회계의 세출 규모인 1,423억 원을 웃도는 규모이다. 따라서 서울시는 주민세를 세입으로 하는 자치분권 특별회계를 설치해 주민자치 사업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이 가능하다. 그러나 자치분권 특별회계 도입만으로 예산 편성·집행 과정에서 주민들의 자율성이 제약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주민들이 더 자율적으로, 행정동별 특성에 적합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자치분권 특별회계 도입과 함께 재정 지원방식을 포괄보조금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태그 입력: 
지역주민 [7]
로컬자생력 [8]
주민자치 [9]
주민자치사업 [10]
지역공동체 [11]
마을공동체사업 [12]
풀뿌리주민자치 [13]
시민랩 [14]
리빙랩 [15]
특별회계 [16]
자치분권 [17]
자치분권특별회계 [18]
 출처 표시 + 변경금지 [19]

저자의 다른 자료

  • 연구보고서

    서울시 주요 재정사업 평가제도 현황과 개편방안

    신가희, 이민영

    2022.04.22
    [20]
  • 연구보고서

    지방재정 투자사업 심사체계 개선방안

    박영민, 신민철, 장경원, 어한나, 김나리, 박성문

    2020.08.28
    [21]
  • 연구보고서

    지자체 대상 평가제도, 자치분권 관점에서 전략적 통합관리·불합리한 지표 개선 필요

    신민철, 박성문

    2019.03.11
    [22]

관련 자료

  • 연구보고서

    서울시 시민안전 거버넌스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이석민, 윤형미

    2021.11.19
    [23]
  • 연구보고서

    시민민주주의 활성화 기본계획 추진전략과 과제(2단계)

    정병순, 황원실, 조현혜

    2021.11.12
    [24]
  • 연구보고서

    민선 7기 지역사회기반 협치체계 고도화 전략

    정병순, 한은영

    2021.05.31
    [25]

많이 본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2025 서울시 청년정책' 비전과 전략

    변금선, 김승연, 박민진, 이혜림

    2021.07.19
    [26]
  • 연구보고서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양재섭, 성수연

    2021.07.26
    [27]
  • 연구보고서

    지하철 무임승차제도, 지속가능성 확보하려면 운영손실 정부지원·운영기준 변경 검토 필요

    신성일, 이진학

    2021.07.13
    [28]

연관 미디어

  • 서울이슈큐레이터

    서울이슈큐레이터 - 12월의 주제 '공동체'

    2019.12.16
    [29]
리스트 [30]

Source URL: http://www.si.re.kr/node/64187

Links
[1] http://www.si.re.kr/%23
[2]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3A%2F%2Fwww.si.re.kr%2Fnode%2F64187&t=%EC%84%9C%EC%9A%B8%ED%98%95%20%EC%9E%90%EC%B9%98%EB%B6%84%EA%B6%8C%20%ED%8A%B9%EB%B3%84%ED%9A%8C%EA%B3%84%20%EB%8F%84%EC%9E%85%ED%95%B4%20%EC%A3%BC%EB%AF%BC%EC%9E%90%EC%B9%98%EC%9D%98%20%EC%8B%A4%EC%A7%88%ED%99%94%20%ED%9A%A8%EA%B3%BC%20%EA%B1%B0%EB%91%98%20%ED%95%84%EC%9A%94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3A%2F%2Fwww.si.re.kr%2Fnode%2F64187&text=%EC%84%9C%EC%9A%B8%ED%98%95%20%EC%9E%90%EC%B9%98%EB%B6%84%EA%B6%8C%20%ED%8A%B9%EB%B3%84%ED%9A%8C%EA%B3%84%20%EB%8F%84%EC%9E%85%ED%95%B4%20%EC%A3%BC%EB%AF%BC%EC%9E%90%EC%B9%98%EC%9D%98%20%EC%8B%A4%EC%A7%88%ED%99%94%20%ED%9A%A8%EA%B3%BC%20%EA%B1%B0%EB%91%98%20%ED%95%84%EC%9A%94
[4] http://www.si.re.kr/si_download/64187/28975
[5] http://www.si.re.kr/si_download/64187/28976
[6] http://www.si.re.kr/si_download/64187/28977
[7] http://www.si.re.kr/taxonomy/term/24377
[8] http://www.si.re.kr/taxonomy/term/24378
[9] http://www.si.re.kr/taxonomy/term/17018
[10] http://www.si.re.kr/taxonomy/term/23355
[11] http://www.si.re.kr/taxonomy/term/16720
[12] http://www.si.re.kr/taxonomy/term/24379
[13] http://www.si.re.kr/taxonomy/term/24380
[14] http://www.si.re.kr/taxonomy/term/24381
[15] http://www.si.re.kr/taxonomy/term/24382
[16] http://www.si.re.kr/taxonomy/term/23989
[17] http://www.si.re.kr/taxonomy/term/20489
[18] http://www.si.re.kr/taxonomy/term/24383
[19]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3.do
[20] http://www.si.re.kr/node/65912
[21] http://www.si.re.kr/node/63764
[22] http://www.si.re.kr/node/61436
[23] http://www.si.re.kr/node/65291
[24] http://www.si.re.kr/node/65267
[25] http://www.si.re.kr/node/64940
[26] http://www.si.re.kr/node/65059
[27] http://www.si.re.kr/node/65066
[28] http://www.si.re.kr/node/65055
[29] http://www.si.re.kr/node/62888
[30] http://www.si.re.kr/research_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