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일하는 노인’ 대부분이 생계를 위해 저임금과 장시간의 노동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서울시 일하는 노인 근로특성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살고 있는 65세 이상 일하는 노인 69.5%가 ‘생계를 위해 일한다’고 답했다. 또 주당 64.2시간의 장시간 근로에 노출돼 평균 월급은 146만6000원에 불과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65세 이상 일하는 노인 1000명이 참여했으며 개별 심층 인터뷰도 진행했다.
서울의 일하는 노인은 임금근로자가 34%, 자영업자가 66%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근로자의 주요 직종은 경비단속직이 85.4%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이 남자였다. 이는 서울 지역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영업은 도소매 분야 종사자가 43.8%로 가장 많고, 여성자영업자의 65.5%가 도소매 분야에 종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근로 형태별로는 서울의 65세 이상 임금근로자는 주당 근무시간이 56.3시간동안 달했지만 손에 쥐는 돈은 월평균 122만원 밖에 되지 않았다. 특히 청소 및 경비 근로자의 경우 하루 평균 18.2시간을 일해서 매월 130만을 번다고 답했다. 이들은 2인1조 교대근무를 하는 탓에 주말·휴일 근무 비율이 97.8%로 휴일도 없었고 1년간 휴가도 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시간당 임금을 비교하면 57.4%가 최저임금인 시급 5580원(8시간 기준 하루 4만4640원) 이하의 급여를 받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