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구(Basic Research[BR]): 연구원의 역량강화와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축적을 위한 연구
현안연구(Ordinary Research[OR]): 당면과제 해결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수행하는 연구
1729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저자주재욱, 김진하, 윤종진분류현안부서시민경제연구실등록일 2022.08.31조회수 605
한국 금융제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포괄적 규제체계 도입 현재 우리나라 금융제도는 2007년 제정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는 증권거래법, 선물거래법,...
-
저자이신해, 정상미분류정책부서교통시스템연구실등록일 2022.08.31조회수 1,234
스쿨존 제도, 어린이 안전 보장하고 이용자들도 만족하도록 개선할 필요 서울시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 제도 실효성·형평성 검토가 필요한 시점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은 어린이를 교통사고...
-
저자조항문분류정책부서안전환경연구실등록일 2022.08.24조회수 655
자치구 등 기초자치단체도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필요 광역자치단체 지역에너지계획 수립은 정착단계…계획 실효성은 미지수 서울시를 비롯한 광역자치단체는 5~6차의 지역에너지계획을 수립하였다. 서울시는...
-
저자김인희, 윤서연, 진화연, 변미리, 맹다미, 홍상연, 한지혜, 우영진분류정책부서도시공간연구실등록일 2022.08.24조회수 3,050
디지털 전환시대 맞아 ‘내가 살아가는 장소’ 중요 보행생활권·융복합 토지이용체계 과감히 고쳐야 도시, 기후위기·감염병·디지털전환 등 전례없는 위기이자 기회에 직면 다양하고 복합적인 위기를...
-
저자김고운, 이혜진분류수시부서안전환경연구실등록일 2022.08.24조회수 2,919
배경 코로나19 감염병 유행(2020년 1월) 이후 폐기물 발생에 대한 사회적 관심 상승 2022년 2월 25일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2020년) 발표. 코로나19 팬데믹(2020~ 2022년...
-
저자김선웅, 성수연분류기초부서도시공간연구실등록일 2022.08.10조회수 1,282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지속가능한 도시관리 위해 추가 해제 지양하고 친환경적·체계적 관리 바람직 정부, 1971년 개발제한구역제도 도입…7년간 국토의 5.4%(5,397㎢)에 지정 우리나라는...
-
저자오은주, 유인혜분류기초부서시민경제연구실등록일 2022.08.05조회수 531
서울시민 2/4분기 체감경기지수는 4년6개월만에 기준치 상회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22년 2/4분기 101.2로 전 분기 대비 4.8p 오르면서 4년 6개월 만에 기준치(100...
-
저자손창우, 김정아, 윤혜정분류정책부서도시사회연구실등록일 2022.08.05조회수 846
감염병·기후변화 대응력 강화 포함한 새로운 건강도시 패러다임 설정 필요 WHO 유럽건강도시들, 코로나19에 ‘속수무책’…감염병 대응력 강화 요구 서울시는 2004년 WHO 건강도시에...
-
저자한지혜, 이가인분류기초부서도시공간연구실등록일 2022.08.05조회수 946
수도권 광역화, 공간확산 넘어 일부지역 연계 강화 연계 내실화 위해 광역계획 등 공간계획 역할 필요 수도권 광역화, 서울-인천-경기가 단일 대도시권으로 일체화되는 과정 수도권 광역화는 서울·인천...
-
저자송인주, 김상균, 윤초롱분류정책부서안전환경연구실등록일 2022.08.05조회수 1,519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관점에서 공원녹지 등 그린인프라 정보체계 구축·활용방안 세워야 서울시, 그린인프라 다기능성 강화하는 도시계획적 관리체계 강화 필요 최근 도시의 공원녹지는 도시의 자연·생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