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s://www.si.re.kr)

홈 > 코로나19 끝나도 비대면 소비한다 80.1%

코로나19 끝나도 비대면 소비한다 80.1%

코로나 19 시대, 서울시민들은 비대면 소비 활동을 얼마나 할까? 자료 : 2/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비대면 경제(정책리포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온라인 강의, 각종 배송 서비스, 스마트 금융거래 등 언택트(Untact · 비대면)의 일상화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과연 서울시민은 얼마나 비대면 소비를 경험하고 있을까요? 서울시민 74.7% 비대면 소비 경험 (서울시민 1,200명 대상 설문) 매주 평균 2.3회 이용
비대면 소비활동 경험 분야는? 1. 음식 54.0%, 2. 쇼핑 37.2%, 3. 금융 6.6% 입니다.
비대면 방식 선호가 높은 분야는? 1. 오락 70.7%, 2. 금융 70.4%, 3. 쇼핑 60.1%
비대면 소비를 선호하는 이유는? 1.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음 42.6%, 2.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인한 대인 접촉 부담 28.2%, 3. 편리한 결제 15.4%
비대면 소비를 경험한 응답자의 80.1%는 코로나가 종식되어도 비대면 소비 지속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  
  •  
  •  
  •  
  •  
  •  
  •  

[서울연구원 카드뉴스 제1호] 코로나19 끝나도 비대면 소비한다 80.1%

코로나19로 각종 소비활동에 있어서 언택트(Untact)가 일상화되었습니다. 요즘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언택트’라는 말은 '콘택트(contact: 접촉하다)'에서 부정 의미인 '언(un-)을 합성한 말입니다. 기술의 발전을 통해 점원과의 접촉 없이 물건을 구매하는 등의 새로운 소비 형태를 의미합니다.

서울연구원은 최근 ‘2/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비대면 경제’라는 정책리포트를 펴내 언택트, 즉 비대면 소비에 대해 서울시민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2020년 5월 12일∼5월 24일,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3%p)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결과 서울시민 74.7%가 비대면 소비활동을 경험했으며, 평균 주 2.3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대면 소비활동 경험 분야는 주로 ‘음식’(54.0%), ‘쇼핑’(37.2%), ‘금융’(6.6%)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면 방식 대비 비대면 방식 선호가 높은 분야는 ‘오락’(70.7%), ‘금융’(70.4%), ‘쇼핑’(60.1%) 등 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비대면 소비 유경험자는 비대면 소비활동을 선호하는 이유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음’(42.6%),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인한 대인 접촉 부담’(28.2%), ‘편리한 결제’(15.4%) 등을 주로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유경험자의 80.1%가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비대면 소비활동을 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정책리포트]2/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비대면 경제 [1]

태그: 
코로나19 [2]
비대면서비스 [3]
비대면소비 [4]
비대면경제 [5]
언택트 [6]
언택트소비 [7]
소비행태 [8]
체감경기 [9]
서울경제 [10]
  • Clipboard [11]
  • Facebook [12]
  • Kakao [11]
  • Twitter [13]
리스트 [14]

Source URL: https://www.si.re.kr/node/63625

Links
[1] https://www.si.re.kr/node/63603
[2] https://www.si.re.kr/taxonomy/term/23753
[3] https://www.si.re.kr/taxonomy/term/26171
[4] https://www.si.re.kr/taxonomy/term/25239
[5] https://www.si.re.kr/taxonomy/term/25240
[6] https://www.si.re.kr/taxonomy/term/23790
[7] https://www.si.re.kr/taxonomy/term/26125
[8] https://www.si.re.kr/taxonomy/term/26172
[9] https://www.si.re.kr/taxonomy/term/16841
[10] https://www.si.re.kr/taxonomy/term/16839
[11] https://www.si.re.kr/%23
[12]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s%3A%2F%2Fwww.si.re.kr%2Fnode%2F63625&t=%EC%BD%94%EB%A1%9C%EB%82%9819%20%EB%81%9D%EB%82%98%EB%8F%84%20%EB%B9%84%EB%8C%80%EB%A9%B4%20%EC%86%8C%EB%B9%84%ED%95%9C%EB%8B%A4%2080.1%25
[1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s%3A%2F%2Fwww.si.re.kr%2Fnode%2F63625&text=%EC%BD%94%EB%A1%9C%EB%82%9819%20%EB%81%9D%EB%82%98%EB%8F%84%20%EB%B9%84%EB%8C%80%EB%A9%B4%20%EC%86%8C%EB%B9%84%ED%95%9C%EB%8B%A4%2080.1%25
[14] https://www.si.re.kr/card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