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s://www.si.re.kr)

홈 > 서울시 저소득가구 에너지소비 실태와 에너지빈곤 현황

서울시 저소득가구 에너지소비 실태와 에너지빈곤 현황

  • Facebook [1]
  • Google Plus [2]
  • Twitter [3]
저자: 
황인창, 박은철, 백종락
부서명: 
안전환경연구실
분량/크기: 
103Page
분류: 
현안
분류번호: 
2019-OR-25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4] (186.35 KB)
PDF icon 요약 [5] (620.48 KB)
PDF icon 원본 [6] (5.32 MB)
PDF icon 부록 [7] (936.69 KB)

정책효과 높은 에너지복지 정책 적극 시행해 서울시, 저소득가구의 에너지빈곤 해소 필요

저소득가구 602가구 대상 에너지소비 실태조사로 에너지복지 수요 파악

에너지빈곤(fuel poverty 또는 energy poverty)은 경제적인 이유로 가정에서 냉·난방 등 필수적인 수준의 에너지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영국에서 처음 개념이 도입될 당시에는 난방용 연료를 주로 다루었지만, 최근에는 냉방, 조명, 가전기기 등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서비스 전반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에너지빈곤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정부와 서울시에서는 2000년대 후반 이후 에너지빈곤 해결을 목표로 에너지바우처, 에너지요금 감면, 주택에너지효율개선 사업 등 다양한 에너지복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에너지복지 정책을 마련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복지 대상에 대한 실태파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에너지복지 정책의 주요 대상인 저소득가구에 대한 에너지소비 실태조사가 부족한 편이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서울시 저소득가구 602가구를 대상으로 에너지소비 실태를 조사하고 에너지복지 수요를 파악하였다.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에너지빈곤 지표를 활용해 서울시 저소득가구의 에너지빈곤 현황을 파악하고 에너지복지 정책의 효과를 추정하였다. 

저소득 가구의 에어컨 보급률은 가구당 0.18대로 일반가구에 비해 크게 낮아

서울시 전체 가구의 가전기기 보급률과 비교하면, 저소득가구는 컴퓨터, 에어컨, 조명 등의 보급률이 낮았다. 특히 에어컨 보급률은 가구당 0.18대로 전체 가구 평균인 가구당 0.89대에 비해 크게 낮았다. 다만, 저소득가구의 에어컨 보급률은 2009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가전기기 사용시간에 있어서는 2009년에 비해 TV, 밥솥, 조명, 선풍기 등의 사용시간은 증가하였고 세탁기와 보일러 사용시간은 감소하였다.

태그 입력: 
에너지소비 [8]
에너지비용 [9]
에너지빈곤 [10]
에너지복지 [11]
에너지바우처 [12]
주택에너지효율 [13]
LIHC [14]
HEP [15]
TPR [16]
 출처 표시 + 변경금지 [17]

저자의 다른 자료

  • 연구보고서

    서울시 사물인터넷 활용방안

    홍상연, 이석민, 임희지, 김상일, 박희석, 황민섭, 주재욱, 황인창, 한영준, 양재환, 한지혜, 윤서연, 기현균, 이철주

    2022.05.03
    [18]
  • 연구보고서

    생애최초 자가소유 지원정책 체계화방향

    박은철, 김수경

    2022.04.22
    [19]
  • 연구보고서

    서울시 산업경제부문 기후변화 리스크 분석

    황인창, 김고운, 김창훈, 백종락, 이윤혜

    2022.04.13
    [20]

관련 자료

  • 연구보고서

    서울시 산업경제부문 기후변화 리스크 분석

    황인창, 김고운, 김창훈, 백종락, 이윤혜

    2022.04.13
    [20]
  • 연구보고서

    서울시 공공건축물 에너지소비 관리방향

    김민경, 함수한

    2022.02.24
    [21]
  • 연구보고서

    서울시 에너지전환 정책의 성과와 개선 방안, 그리고 새 방향성 모색

    유정민, 윤초롱, 윤형미

    2021.12.10
    [22]

많이 본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2025 서울시 청년정책' 비전과 전략

    변금선, 김승연, 박민진, 이혜림

    2021.07.19
    [23]
  • 연구보고서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양재섭, 성수연

    2021.07.26
    [24]
  • 연구보고서

    서울시 자치구별 시니어 일자리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윤민석, 신민철, 문진영, 이영주, 김성수, 변은지

    2021.06.22
    [25]
리스트 [26]

Source URL: https://www.si.re.kr/node/63241

Links
[1]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s%3A%2F%2Fwww.si.re.kr%2Fnode%2F63241&t=%EC%84%9C%EC%9A%B8%EC%8B%9C%20%EC%A0%80%EC%86%8C%EB%93%9D%EA%B0%80%EA%B5%AC%20%EC%97%90%EB%84%88%EC%A7%80%EC%86%8C%EB%B9%84%20%EC%8B%A4%ED%83%9C%EC%99%80%20%EC%97%90%EB%84%88%EC%A7%80%EB%B9%88%EA%B3%A4%20%ED%98%84%ED%99%A9%20
[2] https://plus.google.com/share?url=https%3A%2F%2Fwww.si.re.kr%2Fnode%2F63241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s%3A%2F%2Fwww.si.re.kr%2Fnode%2F63241&text=%EC%84%9C%EC%9A%B8%EC%8B%9C%20%EC%A0%80%EC%86%8C%EB%93%9D%EA%B0%80%EA%B5%AC%20%EC%97%90%EB%84%88%EC%A7%80%EC%86%8C%EB%B9%84%20%EC%8B%A4%ED%83%9C%EC%99%80%20%EC%97%90%EB%84%88%EC%A7%80%EB%B9%88%EA%B3%A4%20%ED%98%84%ED%99%A9%20
[4] https://www.si.re.kr/si_download/63241/27322
[5] https://www.si.re.kr/si_download/63241/27323
[6] https://www.si.re.kr/si_download/63241/27324
[7] https://www.si.re.kr/si_download/63241/27325
[8] https://www.si.re.kr/taxonomy/term/18806
[9] https://www.si.re.kr/taxonomy/term/24618
[10] https://www.si.re.kr/taxonomy/term/24619
[11] https://www.si.re.kr/taxonomy/term/20435
[12] https://www.si.re.kr/taxonomy/term/24620
[13] https://www.si.re.kr/taxonomy/term/24448
[14] https://www.si.re.kr/taxonomy/term/24621
[15] https://www.si.re.kr/taxonomy/term/24622
[16] https://www.si.re.kr/taxonomy/term/24623
[17]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3.do
[18] https://www.si.re.kr/node/66035
[19] https://www.si.re.kr/node/65914
[20] https://www.si.re.kr/node/65896
[21] https://www.si.re.kr/node/65581
[22] https://www.si.re.kr/node/65388
[23] https://www.si.re.kr/node/65059
[24] https://www.si.re.kr/node/65066
[25] https://www.si.re.kr/node/64988
[26] https://www.si.re.kr/research_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