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s://www.si.re.kr)

홈 > 도시철도·간선버스 간 환승보행환경 개선방안

도시철도·간선버스 간 환승보행환경 개선방안

  • Clipboard [1]
  • Facebook [2]
  • Kakao [1]
  • Twitter [3]
저자: 
신성일, 이광훈
부서명: 
교통시스템연구실
분량/크기: 
78Page
분류: 
정책
분류번호: 
2014-PR-37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4] (266.73 KB)
PDF icon 요약 [5] (767.22 KB)
PDF icon 원본 [6] (4.18 MB)

서울의 도시철도·간선버스시스템 간 연계환승 이용률 낮아

서울시의 간선대중교통체계는 중앙버스전용차로로 대표되는 간선버스 시스템과 9개 노선의 도시철도 시스템으로 두 개의 간선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춘 도시이다.

하지만 두 시스템 연계 환승정도는 열악하여 지하철-지하철 환승 5,851,106통행(50.1%), 버스-버스(마을버스 포함) 환승 2,404,245통행(20.6%)에 비해 도시철도-간선버스(간선+광역간선)의 환승은 1,714,889통행(14.7%)으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2014년 10월 17일 수도권 대중교통카드 분석자료).

두 간선대중교통시스템 간의 낮은 연계환승은 대중교통 분담률의 정체 요인(과거 10년간 대중교통수단 분담률 평균변화율 2.4%에서 최근 4년간 0.7%로 둔화)으로 대두되고 있다(제2차 서울특별시 대중교통계획).

두 시스템 간 환승시간 평균 6.7분 ‘이용자 인내가능 시간 초과’

도시철도역 간의 환승시간이 평균 3.04분인 데 반해 도시철도와 간선버스 간의 환승시간은 평균 6.7분으로 2.2배이다.

도시철도-간선버스의 평균 환승시간 6.7분은 이용자가 인내할 수 있는 평균 환승시간 5.7분을 상회하며, 10분 이상 소요되는 경우도 상당수 존재한다.

환승거리도 도시철도 간의 환승거리 평균이 200m인 데 비해 도시철도와 일반간선버스 정류장 간의 환승거리는 189m이고 특히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과의 환승거리는 265m로 1.33배에 달하며, 일부 중심지 간선버스 정류장은 500m 이상인 경우도 있다.

태그 입력: 
도시철돠 [7]
간선버스 [8]
환승보행 [9]
환승 [10]
 출처 표시 + 변경금지 [11]

저자의 다른 자료

  • 연구보고서

    지하철 무임승차제도, 지속가능성 확보하려면 운영손실 정부지원·운영기준 변경 검토 필요

    신성일, 이진학

    2021.07.13
    [12]
  • 연구보고서

    [SeTTA] 서울시 도시철도 통합모빌리티 상시분석체계 구축방안

    신성일, 이창훈, 박세현

    2021.01.07
    [13]
  • 연구보고서

    서울시 자율주행차 주차수요 관리방안

    김원호, 이광훈, 민승현, 정상미, 김영범

    2019.05.08
    [14]

관련 자료

  • 연구보고서

    수도권 지하철 노선 간 환승량 추정방법 개선

    김순관

    2015.07.24
    [15]
  • 연구보고서

    대중교통수단 환승체계구축 연구

    조중래,박은미

    1995.12.31
    [16]

많이 본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2025 서울시 청년정책' 비전과 전략

    변금선, 김승연, 박민진, 이혜림

    2021.07.19
    [17]
  • 연구보고서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양재섭, 성수연

    2021.07.26
    [18]
  • 연구보고서

    지하철 무임승차제도, 지속가능성 확보하려면 운영손실 정부지원·운영기준 변경 검토 필요

    신성일, 이진학

    2021.07.13
    [12]
리스트 [19]

Source URL: https://www.si.re.kr/node/57111

Links
[1] https://www.si.re.kr/%23
[2]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s%3A%2F%2Fwww.si.re.kr%2Fnode%2F57111&t=%EB%8F%84%EC%8B%9C%EC%B2%A0%EB%8F%84%C2%B7%EA%B0%84%EC%84%A0%EB%B2%84%EC%8A%A4%20%EA%B0%84%20%ED%99%98%EC%8A%B9%EB%B3%B4%ED%96%89%ED%99%98%EA%B2%BD%20%EA%B0%9C%EC%84%A0%EB%B0%A9%EC%95%88%20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s%3A%2F%2Fwww.si.re.kr%2Fnode%2F57111&text=%EB%8F%84%EC%8B%9C%EC%B2%A0%EB%8F%84%C2%B7%EA%B0%84%EC%84%A0%EB%B2%84%EC%8A%A4%20%EA%B0%84%20%ED%99%98%EC%8A%B9%EB%B3%B4%ED%96%89%ED%99%98%EA%B2%BD%20%EA%B0%9C%EC%84%A0%EB%B0%A9%EC%95%88%20
[4] https://www.si.re.kr/si_download/57111/18581
[5] https://www.si.re.kr/si_download/57111/18582
[6] https://www.si.re.kr/si_download/57111/18583
[7] https://www.si.re.kr/taxonomy/term/22253
[8] https://www.si.re.kr/taxonomy/term/22254
[9] https://www.si.re.kr/taxonomy/term/22255
[10] https://www.si.re.kr/taxonomy/term/17604
[11]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3.do
[12] https://www.si.re.kr/node/65055
[13] https://www.si.re.kr/node/64328
[14] https://www.si.re.kr/node/62124
[15] https://www.si.re.kr/node/52556
[16] https://www.si.re.kr/node/23341
[17] https://www.si.re.kr/node/65059
[18] https://www.si.re.kr/node/65066
[19] https://www.si.re.kr/research_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