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바꾸는 정책> 서울연구원은 서울시 정책이 시민의 삶에 얼마나 다가가려고 노력했고, 서울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서울을 바꾸는 정책’을 기획해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시리즈는 인간다운 삶, 새로운 도시, 꿈꾸는 내일,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됩니다. ‘인간다운 삶’은 임대주택 8만 호, 서울형 노동친화정책, 뉴타운 수습정책, 국공립어린이집 1,000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50+ 세대, 여성안심 특별시 만들기 등 민생 관련 성과를 담습니다. ‘새로운 도시’는 주민주도형 마을공동체 만들기, 소통과 개방형 서울시정 만들기, 사회혁신정책, 사회적경제 활성화, 협치시정 실현 등이 해당됩니다. ‘꿈꾸는 내일’에서는 보행친화도시, 채무 7조 원 감축과 주민참여예산, 대기질 개선과 에너지살림도시, 한양도성복원을 통한 역사도시 재조정 등 미래 관련 성과가 소개됩니다.
| 제1장 | 도시에서 행복한 마을은 가능한가
| 제2장 | 마을공동체 정책의 기반을 만들다
| 제3장 | 도시 솓 행복한 마을이 시작되다
| 제4장 | 마을공동체를 넘어 지역사회 활설화로
| 제5장 | 함께 사는 서울, 주민이 만드는 서울
저자 : 안현찬
서울대학교에서 도시설계를 전공하며 여러 마을만들기 사업을 경험했다. 2014년부터는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추진지원단에서 마을계획을 기획하고 현장을 지원했으며 현재 서울연구원 부연구위원으로 마을공동체 정책과 협력적
계획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저자 : 위성남
행복한 육아를 위해 2001년 공동육아협동조합 어린이집인 참나무 어린이집을 만들어 초대이사장을 지냈다. 2004년 성미산학교 설립에 참여, 대안교육에 힘을 쏟았다. 2013년에 마포구 마을넷을 만들고 지금까지 마포구 마을생태계조성사업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마을하기, 성미산마을의 역사와 생각』이 있다.
저자 : 유창복
1996년 성미산마을에 깃들어 울림두레생협을 함께하고, 성미산학교를 만들었다. 성미산마을에서의 마을살이 경험을 담아 『우린 마을에서 논다』를 펴냈다. 현재 한국마을만들기 지원센터협의회 공동대표이며,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Links
[1]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s%3A%2F%2Fwww.si.re.kr%2Fnode%2F56722&t=%EB%A7%88%EC%9D%84%EA%B3%B5%EB%8F%99%EC%B2%B4
[2] https://plus.google.com/share?url=https%3A%2F%2Fwww.si.re.kr%2Fnode%2F56722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s%3A%2F%2Fwww.si.re.kr%2Fnode%2F56722&text=%EB%A7%88%EC%9D%84%EA%B3%B5%EB%8F%99%EC%B2%B4
[4] https://www.si.re.kr/taxonomy/term/21863
[5] https://www.si.re.kr/taxonomy/term/22058
[6] https://www.si.re.kr/taxonomy/term/16704
[7] https://www.si.re.kr/node/64990
[8] https://www.si.re.kr/node/63217
[9] https://www.si.re.kr/node/63013
[10] https://www.si.re.kr/node/63741
[11] https://www.si.re.kr/node/58773
[12] https://www.si.re.kr/node/65220
[13] https://www.si.re.kr/node/64938
[14] https://www.si.re.kr/node/65120
[15] https://www.si.re.kr/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