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s://www.si.re.kr)

홈 > 지하철 역사 내 혼잡관리를 위한 통행행태 분석: 경로선택모델을 중심으로

지하철 역사 내 혼잡관리를 위한 통행행태 분석: 경로선택모델을 중심으로

  • Facebook [1]
  • Google Plus [2]
  • Twitter [3]
권호: 
제16권 제2호 [4]
저자: 
정래혁, 정진혁
발행일: 
2015-06-01
다운로드
PDF icon 12 지하철 역사 내 혼잡관리를 위한 통행행태 분석.pdf [5] (968.19 KB)

서울의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인 지하철은 지난 2013년 26억 명의 사람들이 이용하였고 현재 서울시 수송분담률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지하철이 많은 통행수요를 분담함으로써 지하철 차량 내 혼잡뿐만 아니라 역사 내 혼잡까지 문제되고 있다. 역사 내 혼잡 완화방안으로 현재 서울시에서는 혼잡역사 시설개량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런 물리적 환경 개선은 비용측면에서 한계점을 갖기 때문에 최근 운영정책을 통한 역사 내 혼잡완화 방안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효율적인 운영정책을 위해서는 역사 이용자들의 행태분석을 통해 정확한 혼잡예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율적인 혼잡관리 운영정책을 위하여, 지하철 역사 내 경로선택 행위에 대한 여러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2014년 이루어진 지하철 역사의 경로조사와 이용자 추적조사를 통해 자료를 구축한 뒤 역사 내 통행 분류와 경로에 대한 분석을 하고 이용자 시작위치에 따른 특성 변수, 경로 특성 변수, 이용자 특성 변수를 통해 경로선택 로짓모델을 구축하였다.

태그 입력: 
경로선택 [6]
추적조사 [7]
로짓모델 [8]
지하철 [9]
보행자 [10]
리스트 [11]

Source URL: https://www.si.re.kr/node/52535

Links
[1]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s%3A%2F%2Fwww.si.re.kr%2Fnode%2F52535&t=%EC%A7%80%ED%95%98%EC%B2%A0%20%EC%97%AD%EC%82%AC%20%EB%82%B4%20%ED%98%BC%EC%9E%A1%EA%B4%80%EB%A6%AC%EB%A5%BC%20%EC%9C%84%ED%95%9C%20%ED%86%B5%ED%96%89%ED%96%89%ED%83%9C%20%EB%B6%84%EC%84%9D%3A%20%EA%B2%BD%EB%A1%9C%EC%84%A0%ED%83%9D%EB%AA%A8%EB%8D%B8%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
[2] https://plus.google.com/share?url=https%3A%2F%2Fwww.si.re.kr%2Fnode%2F52535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s%3A%2F%2Fwww.si.re.kr%2Fnode%2F52535&text=%EC%A7%80%ED%95%98%EC%B2%A0%20%EC%97%AD%EC%82%AC%20%EB%82%B4%20%ED%98%BC%EC%9E%A1%EA%B4%80%EB%A6%AC%EB%A5%BC%20%EC%9C%84%ED%95%9C%20%ED%86%B5%ED%96%89%ED%96%89%ED%83%9C%20%EB%B6%84%EC%84%9D%3A%20%EA%B2%BD%EB%A1%9C%EC%84%A0%ED%83%9D%EB%AA%A8%EB%8D%B8%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
[4] https://www.si.re.kr/taxonomy/term/20770
[5] https://www.si.re.kr/si_download/52535/14725
[6] https://www.si.re.kr/taxonomy/term/20790
[7] https://www.si.re.kr/taxonomy/term/20791
[8] https://www.si.re.kr/taxonomy/term/20792
[9] https://www.si.re.kr/taxonomy/term/16642
[10] https://www.si.re.kr/taxonomy/term/17444
[11] https://www.si.re.kr/studies_on/20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