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 시대를 맞아 선진국들은 탄소배출 최소화를 국가경쟁력 배양의 원천으로 삼기 위한 녹색경쟁(Green Race)에 모든 노력을 집중
- 저탄소 사회 실현이 지구촌의 최우선 과제로 등장함에 따라, 기후변화의 대응 주체는 국가이나 저탄소 사회 실현의 실질적 추진주체로서 자치단체의 능동적인 역할이 요구되고 있음.
- 선진 해외도시들은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저소비ㆍ생산도시로의 탈바꿈을 위해 생태환경도시를 거쳐 저탄소 도시로의 전환 움직임을 가시화하고 있는 추세
◦ 에너지관리에서 에너지경영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수용
- 민선 5기 후반 서울시는 에너지 수요 절감과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를 통한 「원전 하나 줄이기 종합대책」 발표
- 서울시의 낮은 전력 자급률(2%)을 고려하여,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확보, 기후변화에 대응한 온실가스 감축 등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계기 제공
◦ 현행 ‘계획-집행’의 선형적 에너지 관리체계의 변화 필요
- 글로벌 기준으로 정책의 의사결정자뿐만 아니라 조직 구성원 전체가 에너지 절약 및 효율 개선과 관련한 조직운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에너지 성과 개선 활동 또는 조직운영 시스템인 에너지경영시스템(ISO50001)에 관심 집중
- 에너지 효율화 시책의 부처ㆍ부서 간 정보공유 회피로 의사소통과 협조가 저해되는 칸막이 현상이 발생하므로,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관리체계의 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수단의 일환으로 에너지경영시스템의 도입ㆍ적용이 필요
- 서울시 부서ㆍ부문 단위로 시행하는 각종 에너지 효율화 시책을 체계적으로 묶어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에너지 관리체계로의 전환 및 민간부문으로의 확산 유도
◦ 에너지 정책의 비교우위 경쟁력 확보와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을 위해 글로벌 스탠다드로서 에너지경영시스템(ISO50001) 도입 가능성 검토
- 서울시의 기후변화 대응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후경영의 필요조건으로 에너지경영시스템을 인식하고, 향후 기후환경 도시 실현의 수단으로 활용
- 기후경영, 저탄소경영, 녹색경영 등과 같은 맥락으로 서울시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의 동인을 제공하는 효과 기대
- 기후변화 대응체계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요소로서 서울형 에너지경영시스템의 원용 및 적용과 관련된 기초자료로 활용
Links
[1]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s%3A%2F%2Fwww.si.re.kr%2Fnode%2F24739&t=%EC%84%9C%EC%9A%B8%EC%8B%9C%20%EA%B8%B0%ED%9B%84%EB%B3%80%ED%99%94%20%EB%8C%80%EC%9D%91%EC%B2%B4%EA%B3%84%20%EA%B0%9C%EC%84%A0%EC%9D%84%20%EC%9C%84%ED%95%9C%20%EC%97%90%EB%84%88%EC%A7%80%EA%B2%BD%EC%98%81%EC%8B%9C%EC%8A%A4%ED%85%9C%28ISO50001%29%20%EB%8F%84%EC%9E%85%EB%B0%A9%EC%95%88%20%EC%97%B0%EA%B5%AC
[2] https://plus.google.com/share?url=https%3A%2F%2Fwww.si.re.kr%2Fnode%2F24739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s%3A%2F%2Fwww.si.re.kr%2Fnode%2F24739&text=%EC%84%9C%EC%9A%B8%EC%8B%9C%20%EA%B8%B0%ED%9B%84%EB%B3%80%ED%99%94%20%EB%8C%80%EC%9D%91%EC%B2%B4%EA%B3%84%20%EA%B0%9C%EC%84%A0%EC%9D%84%20%EC%9C%84%ED%95%9C%20%EC%97%90%EB%84%88%EC%A7%80%EA%B2%BD%EC%98%81%EC%8B%9C%EC%8A%A4%ED%85%9C%28ISO50001%29%20%EB%8F%84%EC%9E%85%EB%B0%A9%EC%95%88%20%EC%97%B0%EA%B5%AC
[4] https://www.si.re.kr/si_download/24739/5209
[5] https://www.si.re.kr/si_download/24739/5210
[6] https://www.si.re.kr/si_download/24739/5211
[7] https://www.si.re.kr/taxonomy/term/16891
[8] https://www.si.re.kr/taxonomy/term/17072
[9]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3.do
[10] https://www.si.re.kr/node/63216
[11] https://www.si.re.kr/node/62342
[12] https://www.si.re.kr/node/62137
[13] https://www.si.re.kr/node/65820
[14] https://www.si.re.kr/node/65580
[15] https://www.si.re.kr/node/64442
[16] https://www.si.re.kr/node/65059
[17] https://www.si.re.kr/node/65066
[18] https://www.si.re.kr/node/64988
[19] https://www.si.re.kr/research_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