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411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제141호저자권영덕등록일 2013.05.15조회수 3,326
정부는 침체된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과 주택수요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근년에 새로운 아파트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과 대책을 발표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기존 세대수의 10% 이내 증가와 일반분양 허용, 전용면적 85...
-
권호제140호저자김운수등록일 2013.05.06조회수 3,538
최근 경유자동차의 배출가스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된 바 있다. 특히 경유자동차는 서울시 미세먼지(PM)의 65%, 질소산화물(NOx)의 32.9% 배출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경유자동차...
-
권호제139호저자신성일등록일 2013.04.15조회수 2,671
서울시는 첨두시 교통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시설물을 건설하였지만 잠재수요의 존재, 재원확보 등의 문제로 인하여 한계를 보이고 있다. 서울시가 직면하고 있는 교통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
권호제138호저자최 봉등록일 2013.04.01조회수 2,297
스마트폰 사용 이후 ‘앱’이라는 모바일콘텐츠의 거래시장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콘텐츠 유통구조의 변화, ‘앱’ 개발경쟁 격화와 낮은 수익성 등 시장참여자들을 둘러싼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시장참여자의 대다수인 중소...
-
권호제137호저자박희석등록일 2013.03.18조회수 2,469
최근 서울의 생산과 내수는 회복세가 주춤하나 고용은 회복세 서울의 산업생산은 2012년 2월 전년동월대비 19.4%로 최고점을 기록한 후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내 2013년 1월 -4.5%를 기록하는 등...
-
권호제136호저자신창호,김묵한등록일 2013.03.05조회수 3,337
기술창업은 서울시와 같이 성숙단계에 접어든 대도시 경제에 있어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여 생산성과 고용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시는 기술창업을 위한 인적, 물리적, 제도적 기반은 충분히...
-
권호제135호저자이 창등록일 2013.02.18조회수 4,922
서울시는 주차난이 심각한 다세대⋅다가구주택 밀집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주차공급정책을 수행해왔다. 이에 따라 주차공간은 꾸준히 증가했으나, 서울시는 공급정책의 한계를 인식하고 2012년 4월 국토해양부에 차고지증명제의...
-
권호제134호저자신상영등록일 2013.02.05조회수 6,290
시민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고 재산을 보호하며 도시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책임은 주로 공공부문의 몫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가 커지고 복잡다단해짐에 따라 관 주도의 대책만으로는 시민안전에 필요한...
-
권호제133호저자윤형호등록일 2013.01.25조회수 3,968
그동안 정부는 많은 예산을 들여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획일적이고 단편적인 사업추진 등으로 성과는 부진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미국과 유럽에서는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 민간이 주도하면서...
-
권호제132호저자김운수등록일 2013.01.08조회수 4,128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시장 활성화를 위해 2011년부터 신축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이용 의무화 제도를 도입하였으며, 2012년부터는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로 전환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