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372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제252호저자김범식등록일 2018.06.27조회수 1,084
서비스업과 제조업 생산의 동반 상승세 시현 서울경제에서 90% 내외에 달하는 「서비스업생산지수」는 2018년 1/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하며 전 분기 증가세(3.1%)를 상회하였다. 대표적...
-
권호제251호저자최유진등록일 2018.05.31조회수 1,463
새로운 오염물질과 배출원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한 사업장이나 같은 공정 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환경문제가 여러 환경매체에 영향을 주고받는 등 환경문제도 복잡해지고 있다. 따라서 대기, 수질, 폐기물...
-
권호제250호저자박희석등록일 2018.05.22조회수 1,861
서울의 청년실업률은 2017년 10.1%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저성장 기조가 초래한 고용시장의 구조조정과 경력직 채용 선호로 신규 일자리는 축소되고 있다. 그런데 사회적경제 영역이 다양화되고,...
-
권호제249호저자이혜숙등록일 2018.04.19조회수 2,645
2014년 12월,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은 ‘상생과 협력의 글로벌 교육혁신도시 서울’이라는 공동 비전을 선언하면서 교육협력사업 중 하나로 ‘서울형혁신교육지구 확대’를 추진하였다. 지난 3년간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
권호제248호저자주진우등록일 2018.04.10조회수 5,787
서울시 이주노동자는 지난 10년 동안 2.9배로 급증하였지만, 서울시 이주노동자의 노동권은 열악한 상태이다. 고용허가제를 중심으로 한 정부의 외국인력 정책도 비전문 노동력의 임시적 수급에 주로 정책 방향이 맞춰져...
-
권호제247호저자김범식등록일 2018.03.26조회수 1,588
대표적 내수지표인 서울지역 대형소매점 판매액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 서울경제에서 90% 내외에 달하는 「서비스업생산지수」는 2017년 4/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지만 증가세는 전 분기보다 다소...
-
권호제246호저자양재섭등록일 2018.03.22조회수 2,188
서울시 생활권계획은 도시기본계획의 부문별 계획으로, 도시기본계획을 생활권별로 구체화하는 중간단계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 4년간 25개 자치구와 주민 6천여 명의 참여를 바탕으로 전국에서 처음으로 생활권계획을...
-
권호제245호저자변미리등록일 2018.02.28조회수 2,800
새로운 변곡점 맞은 서울시, 포용도시 패러다임에 주목해야 서울의 경제・사회적 불안의 징후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한국사회의 성장 동력인 서울의 지위는 약화되고, 청년실업・가계부채 등이 당면과제로 떠올랐다...
-
권호제244호저자정병순등록일 2018.02.02조회수 2,455
현재 시정의 평가제도는 2000년대 초반 이후 심사평가제, BSC(Balanced Score Card) 성과관리제 등을 거치면서 성과주의 패러다임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BSC기반 성과평가제나 민간위탁사업 평가제...
-
권호제243호저자이혜숙등록일 2018.01.12조회수 2,866
자유학기제는 학생이 자신의 특기와 적성을 발견하고 나아가 창의적인 사고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돕고, 행복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기획에서 도입되었다. 2013년 시범 운영을 거쳐 2016년 모든 중학교로 확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