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모습은?
글쓴이: infographics / 작성시간: 월, 12/18/2023 - 17:02
서울 북한이탈주민 69.4% 생계유지에 어려움 겪어
10명 중 6명은 한 달 생활비 100만 원 미만
국내 북한이탈주민 10명 중 2명은 서울에 거주
-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지역별 거주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9월 말 북한이탈주민은 31,362명이고, 수도권에 65.2%, 서울에 20.6%가 거주
- 연령대 분포는 30대 28.7%, 20대 28.3%, 40대 17.8% 순, 성별로는 여자가 74.6%로 과반을 차지
- 남북하나재단 자료에 따른 2022년 남한 거주기간은 10년 이상이 60.2%, 5년~10년 미만이 28.3%로 대부분이 5년 이상 거주
표1. 전국 북한이탈주민 지역별 거주 현황(2023년 9월 말 기준) (단위: 명, %)
구분 | 전국 | 수도권 | 서울 |
---|---|---|---|
남 | 7,981 | 5,635 | 2,028 |
여 | 23,381 | 14,807 | 4,445 |
합계 | 31,362 | 20,442 | 6,473 |
여 비율 | 74.6 | 72.4 | 68.7 |
주: 사망, 말소, 이민, 거주불명, 보호시설에 있는 제외
자료: 통일부 주요사업통계 홈페이지
표2. 전국 북한이탈주민 연령대(2023년 9월 말 기준) (단위: %)
구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세 이상 | 계 |
---|---|---|---|---|---|---|---|---|
남 | 6.8 | 17.9 | 27.7 | 22.8 | 14.8 | 6.2 | 3.8 | 100.0 |
여 | 2.6 | 8.6 | 28.6 | 31.1 | 19.0 | 6.0 | 4.1 | 100.0 |
합계 | 3.8 | 11.2 | 28.3 | 28.7 | 17.8 | 6.1 | 4.0 | 100.0 |
주: 입국 당시 연령 기준이며, 최근 입국하여 보호시설 등에 있는 일부 인원은 제외된 수치로 입국 인원과 차이가 있음
자료: 통일부 홈페이지 주요사업통계
표3. 전국 북한이탈주민 남한 거주 기간 (단위: %)
구분 | 3년 미만 | 3~5년 미만 | 5~10년 미만 | 10년 이상 | 합계 |
---|---|---|---|---|---|
내용 | 4.1 | 7.3 | 28.3 | 60.2 | 100.0 |
자료: 남북하나재단, 2022, 북한이탈주민정착실태조사
10명 중 4명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절반 이상은 한 달 생활비 100만 원 미만
- 서울연구원 북한이탈주민 설문조사 결과 서울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37.7%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이며, 10명 중 7명이 지난 1년간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
- 한 달 생활비는 58.7%가 100만 원 미만이라고 응답했고, 지출 항목은 식비(35.3%), 교육비(15.7%), 주거 관련비(12.3%) 순
- 거주형태는 공공임대주택(하나원*에서 배정받거나 그 외 공공임대주택)이 절반(46.3%)을 차지
* 하나원: 정식 명칭은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로 북한이탈주민의 초기정착에 필요한 보호와 사회적응교육, 제반지원
표4.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여부(단위: %)
구분 |
예 |
아니오 |
합계 |
---|---|---|---|
내용 |
37.7 |
62.3 |
100.0 |
자료: 만 19세 이상~ 60세 미만 서울시 거주 북한이탈주민 300명 대상 스노우볼링 방법(눈덩이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온라인 조사, 조사기간은 2022년 12월 15일~2023년 1월 16일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5. 지난 1년간 생계유지에 경제적 어려움 겪었다 응답률(단위: %)
구분 |
전혀 없었다 |
별로 없었다 |
가끔 있었다 |
매우 자주 있었다 |
합계 |
---|---|---|---|---|---|
내용 |
7.3 |
23.3 |
42.7 |
26.7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6. 한 달 생활비(단위: %)
구분 |
100만 원 미만 |
100~200만 원 |
200~300만 원 |
300~400만 원 |
400만 원 이상 |
합계 |
---|---|---|---|---|---|---|
내용 |
58.7 |
29.3 |
8.3 |
2.0 |
1.7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7. 생활비 최다 지출 항목(단위: %)
구분 |
식비 |
교육비 |
주거 관련비 |
부채상환 |
월세 |
보건 의료비 |
교통비 |
통신비 |
기타 |
합계 |
---|---|---|---|---|---|---|---|---|---|---|
내용 |
35.3 |
15.7 |
12.3 |
12.0 |
11.7 |
4.7 |
2.7 |
2.0 |
3.6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8. 실 거주지 계약 형태(단위: %)
구분 |
공공임대주택 (하나원에서 배정받은 집) |
보증금이 있는 월세 |
전세(월세 없음) |
그 외 공공임대주택 |
본인 소유의 집 |
보증금이 없는 월세 |
기숙사, 고시원, 하숙집 |
사글세 또는 연세 |
일정한 거주지 없이 자주 옮겨 다님 |
합계 |
---|---|---|---|---|---|---|---|---|---|---|
내용 |
39.0 |
28.7 |
13.7 |
7.3 |
5.7 |
4.0 |
1.0 |
0.3 |
0.3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대부분 10년 뒤에도 서울 거주 희망하지만 ‘저축 및 자산형성’이 가장 큰 어려움
- 서울 북한이탈주민 10명 중 9명은 10년 후에도 서울에 살기를 희망하지만 서울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률은 대체로 50% 미만 수준
- 서울에 거주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경제적 부문으로 저축 및 자산형성(48.0%),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45.0%), 경제활동 기회 획득(41.0%) 순
표9. 향후 10년 이후 서울 계속 거주 희망(단위: %)
구분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은 편이다 |
어느정도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합계 |
---|---|---|---|---|---|
내용 |
2.0 |
7.7 |
41.7 |
48.7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10.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률(단위: %)
구분 |
복지환경 |
도시안전 |
주거환경 |
교육환경 |
사회환경 |
경제환경 |
---|---|---|---|---|---|---|
내용 |
52.0 |
50.3 |
48.7 |
46.3 |
31.7 |
27.7 |
주: 매우 만족+ 만족 응답률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11. 서울 거주 시 느끼는 어려움(단위: %)
구분 |
저축 및 자산 형성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편견, 차별 |
경제 활동 기회 획득 |
언어 문제 |
생활문화 적응 |
자녀 양육 및 교육 |
주택 등 주거 공간 |
남한 사람들과의 원활한 유대 관계 맺기 |
공공행정기관을 통한 민원 제기 및 해결 |
지식 및 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 기회 획득 |
의료 기관 이용 |
---|---|---|---|---|---|---|---|---|---|---|---|
내용 |
48.0 |
45.0 |
41.0 |
33.0 |
32.3 |
31.7 |
31.0 |
30.0 |
29.7 |
29.3 |
9.3 |
주: 매우 어려움 + 어려움 응답률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