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서울인포그래픽+

서울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모습은?

등록일: 
2023.12.18
조회수: 
2328
번호: 
no.349

 

서울 북한이탈주민 69.4% 생계유지에 어려움 겪어

10명 중 6명은 한 달 생활비 100만 원 미만

 

국내 북한이탈주민 10명 중 2명은 서울에 거주

  •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지역별 거주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9월 말 북한이탈주민은 31,362명이고, 수도권에 65.2%, 서울에 20.6%가 거주
  • 연령대 분포는 30대 28.7%, 20대 28.3%, 40대 17.8% 순, 성별로는 여자가 74.6%로 과반을 차지
  • 남북하나재단 자료에 따른 2022년 남한 거주기간은 10년 이상이 60.2%, 5년~10년 미만이 28.3%로 대부분이 5년 이상 거주

 

표1. 전국 북한이탈주민 지역별 거주 현황(2023년 9월 말 기준) (단위: 명, %)

전국 북한이탈주민 지역별 거주 현황(2023년 9월 말 기준)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7,981 5,635 2,028
23,381 14,807 4,445
합계 31,362 20,442 6,473
여 비율 74.6 72.4 68.7

주: 사망, 말소, 이민, 거주불명, 보호시설에 있는 제외
자료: 통일부 주요사업통계 홈페이지

 

표2. 전국 북한이탈주민 연령대(2023년 9월 말 기준) (단위: %)

전국 북한이탈주민 연령대(2023년 9월 말 기준)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0-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6.8 17.9 27.7 22.8 14.8 6.2 3.8 100.0
2.6 8.6 28.6 31.1 19.0 6.0 4.1 100.0
합계 3.8 11.2 28.3 28.7 17.8 6.1 4.0 100.0

주: 입국 당시 연령 기준이며, 최근 입국하여 보호시설 등에 있는 일부 인원은 제외된 수치로 입국 인원과 차이가 있음
자료: 통일부 홈페이지 주요사업통계

 

표3. 전국 북한이탈주민 남한 거주 기간 (단위: %)

전국 북한이탈주민 남한 거주 기간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3년 미만 3~5년 미만 5~10년 미만 10년 이상 합계
내용 4.1 7.3 28.3 60.2 100.0

자료: 남북하나재단, 2022, 북한이탈주민정착실태조사

 

10명 중 4명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절반 이상은 한 달 생활비 100만 원 미만

  • 서울연구원 북한이탈주민 설문조사 결과 서울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37.7%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이며, 10명 중 7명이 지난 1년간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
  • 한 달 생활비는 58.7%가 100만 원 미만이라고 응답했고, 지출 항목은 식비(35.3%), 교육비(15.7%), 주거 관련비(12.3%) 순
  • 거주형태는 공공임대주택(하나원*에서 배정받거나 그 외 공공임대주택)이 절반(46.3%)을 차지

* 하나원: 정식 명칭은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로 북한이탈주민의 초기정착에 필요한 보호와 사회적응교육, 제반지원

 

표4.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여부(단위: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여부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아니오

합계

내용

37.7

62.3

100.0

자료: 만 19세 이상~ 60세 미만 서울시 거주 북한이탈주민 300명 대상 스노우볼링 방법(눈덩이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온라인 조사, 조사기간은 2022년 12월 15일~2023년 1월 16일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5. 지난 1년간 생계유지에 경제적 어려움 겪었다 응답률(단위: %)

 

지난 1년간 생계유지에 경제적 어려움 겪었다 응답률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전혀 없었다

별로 없었다

가끔 있었다

매우 자주 있었다

합계

내용

7.3

23.3

42.7

26.7

100.0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6. 한 달 생활비(단위: %)

한 달 생활비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100만 원 미만

100~200만 원

200~300만 원

300~400만 원

400만 원 이상

합계

내용

58.7

29.3

8.3

2.0

1.7

100.0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7. 생활비 최다 지출 항목(단위: %)

 

생활비 최다 지출 항목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식비

교육비

주거 관련비

부채상환

월세

보건 의료비

교통비

통신비

기타

합계

내용

35.3

15.7

12.3

12.0

11.7

4.7

2.7

2.0

3.6

100.0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8. 실 거주지 계약 형태(단위: %)

실 거주지 계약 형태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공공임대주택

(하나원에서 배정받은 집)

보증금이 있는 월세

전세(월세 없음)

그 외 공공임대주택

본인 소유의 집

보증금이 없는 월세

기숙사, 고시원, 하숙집

사글세 또는 연세

일정한 거주지 없이 자주 옮겨 다님

합계

내용

39.0

28.7

13.7

7.3

5.7

4.0

1.0

0.3

0.3

100.0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대부분 10년 뒤에도 서울 거주 희망하지만 ‘저축 및 자산형성’이 가장 큰 어려움

  • 서울 북한이탈주민 10명 중 9명은 10년 후에도 서울에 살기를 희망하지만 서울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률은 대체로 50% 미만 수준
  • 서울에 거주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경제적 부문으로 저축 및 자산형성(48.0%),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45.0%), 경제활동 기회 획득(41.0%) 순

표9. 향후 10년 이후 서울 계속 거주 희망(단위: %)

향후 10년 이후 서울 계속 거주 희망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어느정도 그렇다

매우 그렇다

합계

내용

2.0

7.7

41.7

48.7

100.0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10.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률(단위: %)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률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복지환경

도시안전

주거환경

교육환경

사회환경

경제환경

내용

52.0

50.3

48.7

46.3

31.7

27.7

주: 매우 만족+ 만족 응답률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11. 서울 거주 시 느끼는 어려움(단위: %)

서울 거주 시 느끼는 어려움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저축 및 자산

형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편견, 차별

경제 활동 기회 획득

언어

문제

생활문화 적응

자녀 양육 및 교육

주택 등 주거

공간

남한 사람들과의 원활한 유대 관계 맺기

공공행정기관을 통한 민원 제기 및 해결

지식 및 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 기회 획득

의료 기관 이용

내용

48.0

45.0

41.0

33.0

32.3

31.7

31.0

30.0

29.7

29.3

9.3

주: 매우 어려움 + 어려움 응답률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