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로 본 서울 서비스 기술의 현황과 기술구조
등록일:
2023.03.08
조회수:
330
디지털 경제 도래, 제4차 산업혁명기술의 광범위한 적용 등은 서비스혁신의 중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서울은 산업적으로나 기술적으로나 서비스 중심 도시로 국가경제의 혁신을 견인하는 도시이다.
서울은 융복합 서비스기술과 정보통신기술 관련 특허가 출원되고 있으며, 기업뿐만 아니라 대학이나 여러 혁신주체가 결합하는 공동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혁신생태계를 고려하여 서울시는 중장기 서비스R&D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제 서비스산업의 혁신이 경제 성장에 중차대한 역할을 수행
정보통신기술, 디지털 서비스 등 서비스기술이 디지털 경제를 견인하고 있다. 그에 따라 서비스산업은 더 이상 단순히 다른 산업을 보조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산업의 생산성과 혁신을 유도하는 산업이 되었다. 그에 따라 중앙정부 등은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혁신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원을 모색하고 서비스R&D 활성화 전략 등을 발표했다. 서울은 우리나라에서 유일무이한 고부가가치 서비스 집중 도시로서, 새로운 서비스 기술을 개발, 공급하는 지역으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서울에는 다양한 혁신기관이 존재하고 지역 간 공동출원도 활발한 혁신생태계가 활동 중
서울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정체 상태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거의 모든 서비스 분야(연구개발/엔지니어링만 제외)에서 전국 1위 특허 출원 건수를 보였다. 서울 서비스 혁신생태계는 다양한 혁신 주체가 협력하는 분산형 혁신생태계의 모습을 띠고 있다. 서울에서는 대학 출원(2018년 11.2%)과 여러 주체가 협력한 공동출원(17.9%)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서울의 공동출원 급증은 기술과 산업의 융복합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서울의 서비스 전문기업과 경기도의 제조업이, 그리고 서울의 대학과 경기도의 연구기능이 없는 기업 간 공동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서울에서는 의료SW, 로봇융합SW 등에서 특허출원이 많이 나타나는 등 최신 분야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지역 내외부 역량 활용을 통한 서비스 혁신 전략 수립
서울시는 새로운 시대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을 서비스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첫째, 서울시는 서비스 혁신생태계를 진단하고 중장기 서비스 R&D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기술 유형별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서울 혁신생태계의 주요 축인 대학을 활용하여 서비스R&D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서울-경기, 서울-대전 등 지역 간 서비스R&D 협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융합적 서비스R&D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서비스R&D 결과물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특허 사업화를 지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