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송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 교통 청사진’ 발표 (말레이시아)
등록일:
2023.01.04
조회수:
236
말레이시아는 온실가스 핵심 배출원인 수송부문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저탄소 교통 청사진’을 발표. 이 청사진은 저탄소・친환경 수송수단 비중 확대, 친환경 수송수단 보급, 대체에너지 산업 개발, 수송부문 전환 등 4가지 부문으로 구성
배경 및 목적
- 말레이시아 인구 증가와 온실가스 배출량
- 말레이시아 인구는 2010년 2,830만 명에서 2016년 3,170만 명으로 증가했고, 2040년에는 4,15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
- 인구 증가에 따라 2018년 교통수단 숫자는 2014년 대비 15.6% 증가. 전체 교통수단 중 승용차(45.78%)와 오토바이(45.75%)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수송부문은 말레이시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25%~30%를 차지하는 핵심 배출원
- 말레이시아 인구는 2010년 2,830만 명에서 2016년 3,170만 명으로 증가했고, 2040년에는 4,15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
- 저탄소 교통 청사진(Low Carbon Mobility Blueprint, LCMB 2021-2030) 발표
- 말레이시아 환경 및 수자원부(KASA)와 말레이시아 그린테크놀로지 및 기후변화센터(MGTC)는 수송부문 탄소중립 가속화를 위해 4개 부문 10개 전략을 담은 청사진을 발표
- 이 청사진은 저탄소・친환경 수송수단 비중 확대, 친환경 수송수단 보급, 대체에너지 산업 개발, 수송부문 전환 등 4가지 부문으로 구성
저탄소 교통 청사진의 주요 내용
- 저탄소・친환경 수송수단 비중 확대
-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차량 보급 확대
- 친환경 수송수단 확대를 위한 규제 및 지원금 마련
- 친환경 경제운전(Eco Driving) 지원
- 환경 보호와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 경제운전 프로그램 운영
- 온실가스 배출기준을 2030년까지 1킬로미터당 95그램으로 감축
-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차량 보급 확대
- 친환경 수송수단 보급
- 전기차
- 2025년까지 정부 관용차량의 50%를 전기차로 교체
- 전기택시에 보조금을 지원해 친환경 차량으로의 전환을 지원
- 전기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차량 세금 면제 인센티브를 신설해 대중화 추진
- 2025년까지 AC 단상 충전소 9,000개 및 DC 단상 충전소 1,000개 설치
- 국내 전기차 분야 연구 개발을 위한 투자금 유치
- 전기차 보급을 위한 통합 에코시스템 구축
- 전기버스
- 전기버스 투자 및 대여 지원금 지급
- 전기버스 보조금 신설
- 국산 전기버스 개발을 위한 투자금 유치
- 전기 오토바이
- 공공 기관의 전기 오토바이 상용화
- 배달 서비스 제공 업체가 전기 오토바이 사용 시 세금 감면 지원
- 배터리 교환 충전 서비스1)를 위한 지원금 마련
- 국산 전기 오토바이 개발을 위한 투자금 유치
- 전기차
- 대체에너지 산업 개발
-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바이오디젤 연료 사용
- 차량 유형 인증서(Vehicle Type Approval)에서 저탄소 인증을 도입
- 대체연료 개발 가속화
- 말레이시아 사라왁州의 수소산업 육성을 통한 수소경제 구축
-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에너지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산업구조 구축
-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바이오디젤 연료 사용
- 수송부문 전환
- ‘승용차 도시’에서 ‘대중교통 도시’로 전환
- 트램, 버스 등 대중교통을 체계적으로 육성 및 지원해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
- 대중교통 편의성 증진
- 자가용을 외곽에 두고 대중교통을 통해 도심에 진입할 수 있는 환승주차장(Park and Ride) 확대
- 교통혼잡도 완화
- 지능형교통체계(ITS)를 구축해 교통관리 효율을 높여 도로 이용 편의 증진
- 도로 운송 화물 전환
- 탄소 배출량이 적은 철도물류 활성화를 위해 도로 운송 화물을 철도로 전환
- 자전거, 보행 등의 이동 체계를 구축
-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구간을 연결하는 퍼스트 앤 라스트 마일(First & Last Mile) 구축
- 공유 자전거 이용 편의를 위해 전자결제 확대
-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도로교통법 정비
[그림] 수송부문 탄소중립을 위한 청사진 (출처: MGTC)
- ‘승용차 도시’에서 ‘대중교통 도시’로 전환
1) 전기차의 배터리에 직접 충전하는 방식이 아닌, 지정 배터리 교환소에서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와 교환하는 방식. 충전을 위해 장시간 대기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장점
https://www.kasa.gov.my/resources/alam-sekitar/Low-Carbon-Mobility-Bluep...
https://www.mgtc.gov.my/what-we-do/low-carbon-mobility-2/low-carbon-mobi...
https://www.nst.com.my/business/2021/04/683754/low-carbon-mobility-bluep...
홍 성 아 통신원, tjddk427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