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서울인포그래픽+

서울의 반지하주택 얼마나 있나

등록일: 
2022.09.13
조회수: 
8777
번호: 
no.335

서울시 반지하 얼마나 있나 서울인포그래픽스 제335호 2022년 9월 13일 2021년 기준 서울의 지하·반지하주택은 202,741호로 추정, 서울시 전체가구의 5%에 해당. 지하·반지하 주택이 가장 많이 분포한 지역은 관악구, 강북구, 중랑구 순. 서울의 지하·반지하 주택은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전반에 집중적으로 건설. 2021년 기준 서울의 지하·반지하 주택의 80.9%가 1995년 이전에 사용승인을 받은 것으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인포그래픽으로 제공되는 그래픽은 하단에 표로 자세히 제공됩니다.

2021년 말 서울의 지하·반지하 주택은 20만 3천 호로 추정, 서울시 전체 가구의 5% 차지

서울의 지하·반지하주택의 80.9%가 1995년 이전에 지어져

 

서울의 반지하 주택은 202,741호로 추정, 서울시 전체 가구의(4,046,799가구) 5% 차지

  • 2021년 12월 기준 서울의 건축물 597,797동 중 63.5%가 다양한 용도의 지하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지하·반지하 주택은 202,741호로 추정
  • 지하·반지하주택 유형으로는 다가구주택이 39.6%, 단독주택이 36.3%, 다세대주택이 20.8% 순
  • 지하·반지하주택이 가장 많이 분포한 곳은 관악구(16,265호), 강북구(14,121호), 중랑구(12,793호) 순

 

표 1. 서울시 지하·반지하 주택 현황 (단위: 호,%)

서울시 지하·반지하 주택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서울시 전체 가구수

서울시 지하·반지하 주택

4,046,799가구 (2021년)

202,741호(5.0%)

주1): 지하·반지하주택 산정범위: 단독주택(단독, 다가구, 다중) 및 공동주택(다세대주택) 중 건축물 해당 층 높이의 1/2 이상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것
2) 지하·반지하주택 호수 산정방법: 단독주택(단독, 다가구, 다중)은 가구수와 관계 없이 1호로 산정, 공동주택에 해당하는 다세대주택은 거주 가능 세대수로 산정(지하거주 세대는 있지만 세대수를 알 수 없는 경우는 1호로 산정) 자료: ‘서울 열린데이터광장’(https://data.seoul.go.kr/), 건축물대장 ‘표제부’ 및 ‘층별개요’ 자료(건축데이터 민간개방시스템(open.eais.go.kr))를 기반으로 산정

 

표 2. 서울시 지하·반지하 주택 유형 (단위: 호,%)

서울시 지하·반지하 주택 유형을 정리한 표 입니다
다가구주택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다중주택
80,303호(39.6%) 73,581호(36.3%) 42,130호(20.8%) 6,727호(3.3%)

주1): 지하·반지하주택 산정범위: 단독주택(단독, 다가구, 다중) 및 공동주택(다세대주택) 중 건축물 해당 층 높이의 1/2 이상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것
2) 지하·반지하주택 호수 산정방법: 단독주택(단독, 다가구, 다중)은 가구수와 관계 없이 1호로 산정, 공동주택에 해당하는 다세대주택은 거주 가능 세대수로 산정(지하거주 세대는 있지만 세대수를 알 수 없는 경우는 1호로 산정) 자료: ‘서울 열린데이터광장’(https://data.seoul.go.kr/), 건축물대장 ‘표제부’ 및 ‘층별개요’ 자료(건축데이터 민간개방시스템(open.eais.go.kr))를 기반으로 산정

 

서울의 지하·반지하 주택은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전반에 집중적으로 건설

  • 2021년 기준 서울의 지하·반지하주택의 80.9%가 1995년 이전에 사용승인을 받은 노후주택
  • 특히 1991년에서 1995년 사이에 사용승인을 받은 지하·반지하주택이 37.7%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 지하층 관련 규정을 대폭 완화하여 지하층 주거를 양성화한 1984년 건축법 개정을 계기로 지하반지하주택이 급격히 확산함
  • 1980년대 후반에 주택가격과 전세가격 급등에 대응하여 추진된 1988년 「주택 200만호 건설계획」의 일환으로 1990년 다가구주택 유형을 인정하여 제도권에 편입시키고, 공동주택의 지하층 건축기준을 완화함으로써 지하·반지하주택이 폭발적으로 증가

 

표 3. 사용승인 연도별 지하·반지하 주택 (단위: 호)

사용승인 연도별 지하·반지하 주택을 정리한 표 입니다
1960년 이전 1961~1965 1966~1970 1971~1975 1976~1980 1981~1985 1986~1990
372 544 5,369 14,095 13,771 8,550 44,006
1991~1995 1996~2000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1
76,424 22,292 6,574 3,118 2,227 4,382 201,724

주1): 지하·반지하주택 산정범위: 단독주택(단독, 다가구, 다중) 및 공동주택(다세대주택) 중 건축물 해당 층 높이의 1/2 이상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것
2) 지하·반지하주택 호수 산정방법: 단독주택(단독, 다가구, 다중)은 가구수와 관계 없이 1호로 산정, 공동주택에 해당하는 다세대주택은 거주 가능 세대수로 산정(지하거주 세대는 있지만 세대수를 알 수 없는 경우는 1호로 산정) 자료: ‘서울 열린데이터광장’(https://data.seoul.go.kr/), 건축물대장 ‘표제부’ 및 ‘층별개요’ 자료(건축데이터 민간개방시스템(open.eais.go.kr))를 기반으로 산정

 

 

 

표 4. 자치구별 지하·반지하주택(1990년 이전 사용승인) 비율 (단위: 호)

자치구별 지하·반지하주택(1990년 이전 사용승인) 비율을 정리한 표 입니다
자치구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지하·반지하 주택 5,452 2,444 5,178 6,569 11,165 5,712 12,793
노후 지하·반지하 주택(비율) 2,230 (40.9%) 1,034 (42.3%) 1,708 (33.0%) 3,256 (49.6%) 5,299 (47.5%) 821 (14.4%) 5,731 (44.8%)
자치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지하·반지하 주택 12,604 14,121 7,360 4,009 12,499 8,701 7,380
노후 지하·반지하 주택(비율) 5,703 (45.2%) 6,434 (45.6%) 3,136 (42.6%) 1,464 (36.5%) 6,044 (48.4%) 4,379 (50.3%) 3,147 (42.6%)
자치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지하·반지하 주택 7,175 8,669 7,595 6,222 8,123 10,553 16,265
노후 지하·반지하 주택(비율) 3,426 (47.7%) 3,064 (35.3%) 3,240 (42.7%) 3,562 (57.2%) 3,659 (45.0%) 4,710 (44.6%) 5,311 (32.7%)
자치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지하·반지하 주택 4,109 5,464 6,150 6,429      
노후 지하·반지하 주택(비율) 1,665 (40.5%) 1,829 (33.5%) 2,419 (39.3%) 3,436 (53.4%)      

주1): 지하·반지하주택 산정범위: 단독주택(단독, 다가구, 다중) 및 공동주택(다세대주택) 중 건축물 해당 층 높이의 1/2 이상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것
2) 지하·반지하주택 호수 산정방법: 단독주택(단독, 다가구, 다중)은 가구수와 관계 없이 1호로 산정, 공동주택에 해당하는 다세대주택은 거주 가능 세대수로 산정(지하거주 세대는 있지만 세대수를 알 수 없는 경우는 1호로 산정) 자료: ‘서울 열린데이터광장’(https://data.seoul.go.kr/), 건축물대장 ‘표제부’ 및 ‘층별개요’ 자료(건축데이터 민간개방시스템(open.eais.go.kr))를 기반으로 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