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적 홍수방지 종합대책 수립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市)
등록일:
2022.08.05
조회수:
463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市는 약 28억 원 규모의 홍수 방지를 위한 단기대책을 수립. 2021년 말부터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로 도심지 침수 피해가 극심해지자 홍수 피해 원인 조사 및 친환경적 재난 대비 정책을 마련
수도권의 주요 홍수 피해 현황
- 2021년의 주요 호우
- 2021년 12월 17일부터 쿠알라룸푸르에 100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 발생
- 쿠알라룸푸르의 1년 평균 강우량은 2,400mm지만 12월 18일 하루에 한 달 평균치 이상의 폭우가 쏟아진 것으로 집계
- 17일부터 8개 州에 쏟아진 폭우로 사망자 최소 54명, 이재민 12만 5천 명 발생
- 피해는 특히 쿠알라룸푸르 인근 슬랑고르州와 중부지역인 파항州에 집중. 사망자 발생 지역은 말레이시아 수도권인 클랑벨리(25명), 파항州(20명), 클라탄州(3명)
- 2021년 12월 중순부터 2022년 1월까지 홍수 피해 규모는 61억 링깃(약 1조 7,600억 원)으로, 공공자산 훼손(20억 링깃・약 5,800억 원), 가옥 피해액(16억 링깃・약 4,600억 원), 상업 관련 피해액(5억 링깃・약 1,400억 원), 제조업 분야 피해액(9억 링깃・약 2,600억 원) 등을 기록
- 2021년 12월 17일부터 쿠알라룸푸르에 100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 발생
- 2022년의 주요 호우
- 2022년 3월 7일과 4월 25일에 작은 규모의 홍수 피해 발생
- 3월 7일 내린 폭우로 쿠알라룸푸르에 홍수가 발생해 도심 6개 지역이 피해
- 4월 25일 폭우로 쿠알라룸푸르 일부 지역 도로가 물에 잠기는 피해 발생
- 2021년 12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세 차례 크고 작은 홍수가 발생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자연재해에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 형성
- 2022년 3월 7일과 4월 25일에 작은 규모의 홍수 피해 발생
- 수도권 인근의 홍수 피해 원인
- 제도 미비
- 야당은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의 도시 배수시설을 개선해 장마철에 대비해야 한다는 요구를 정부가 무시했다고 비판
- 수도권의 하천과 교량 등 구조물 설계가 부실하고 펌프장 등 내수배제(內水排除)가 부족하다는 지적
- 홍수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관리 및 기술적 체제가 미흡하고 피난체계가 부족해 인명피해를 가중
- 기상변화
- 매년 10월~3월 북동부 몬순(monsoon)으로 말레이반도 동부에 폭우가 발생하지만 기후 변화로 수도권이 위치한 말레이반도 서부에 피해가 발생하는 이례적 현상이 나타남
- 전문가들은 대기로 방출하는 이산화탄소가 미치는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말레이시아의 일부 도시가 침수될 수 있다고 주장
- 1인당 말레이시아의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00년 5.44톤에서 2020년 8.42 톤으로, 2020년 기준 싱가포르(7.78톤), 인도네시아(2.16톤)보다 높은 수치
- 난개발로 인한 재해취약성
- 전문가들은 수도권의 무분별한 난개발로 인한 환경파괴로 홍수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제기
- 기상학자 니스파리자 박사는 산발적 도시 재개발로 재해요인이 증가해 저지대는 침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비판
- 수도권 인근 도시 침수 피해 예상 지역에 포함
- 거버넌스 및 정치학 센터(Centre for Governance and Political Studies, Cent-GPS)가 2019년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쿠알라 슬랑고르 등 수도권 인근 해안 도시는 2030년까지 침수돼 사라질 것으로 추정
- 침수 지역에는 쿠알라룸푸르국제공항을 비롯한 국가 시설이 있음
- 제도 미비
쿠알라룸푸르市, 홍수방지 종합대책 마련
- 홍수방지를 위한 비상대처계획 2022(Flash Flood Mitigation Action Plan 2022) 수립
- 2022년 5월 9일 쿠알라룸푸르市는 수도권 인근의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1천만 링깃(약 28억 6천만 원) 규모의 단기대책인 ‘홍수방지를 위한 비상대처계획 2022’를 수립
- 홍수 피해 원인 및 문제점 분석
- 말레이시아 기상관측소의 자료에 따라 수도권 상습 도로침수 지역 25곳의 모니터링을 통해 다각적으로 대책을 마련
- 공공사업기관(IKRAM)과 연계해 12개월간 상습 홍수피해지역의 유형별 원인을 분석할 계획
- 지방정부 차원의 홍수 피해 예방대책
- 노후 배수 시설물 보수・보강, 홍수 발생 시 견인차 배치, 워터 펌프(water pump) 및 배수가 뛰어난 쇄석매트릭스아스팔트 설치, 도로침수 지역 주차 단속원 및 교통경찰 배치, 배수시설 추가 설치, 홍수 대비 모래주머니 설치, 재난 문자 안내
- 시민 차원의 홍수 피해 예방대책
- 걸으면서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plogging) 캠페인 운영,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는 쓰레기 제로존 확대, 배수구 쓰레기 수거 운동 등
[그림] 2021년 12월 슬랑고르州와 파항州의 홍수 피해지역
- 걸으면서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plogging) 캠페인 운영,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는 쓰레기 제로존 확대, 배수구 쓰레기 수거 운동 등
https://www.sinardaily.my/article/171084/malaysia/exclusives/recent-floo...
https://www.thesundaily.my/opinion/will-kl-become-a-flooding-city-like-j...
https://www.straitstimes.com/asia/se-asia/parts-of-kuala-lumpur-flooded-...
https://www.theedgemarkets.com/article/dbkl-implements-14-interim-measur...
홍 성 아 통신원, tjddk427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