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서울시민의 재난사고 위험인식 정도
글쓴이: infographics / 작성시간: 월, 07/25/2022 - 10:38등록일:
2022.07.25
조회수:
1454
재난사고 위험 인지도 10명 중 3.7명 “안전하다”, 2.1명 “위험하다”
향후 자연재난 위험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
서울 재난사고 위험정도, 서울시민 10명 중 3.7명은 ‘안전’, 4.2명은 ‘보통’, 2.1명은 ‘위험’
- 2021년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서울의 재난사고 위험정도는 10명 중 3.7명은 ‘안전하다’, 4.2명은 ‘보통’, 2.1명은 ‘위험하다’고 인식
- 재난사고에 대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응답률은 여성(26.8%)이 남성(16.4%)보다 높은 편
표 1. 서울의 재난사고 위험 인지도 (단위: %)
구분 | 매우 안전하다 | 안전한 편이다 | 보통이다 | 위험한 편이다 | 매우 위험하다 | 합계 |
---|---|---|---|---|---|---|
전체 | 2.7 | 34.0 | 41.6 | 18.7 | 3.0 | 100.0 |
남성 | 3.3 | 38.6 | 41.7 | 13.6 | 2.8 | 100.0 |
여성 | 2.2 | 29.5 | 41.5 | 23.6 | 3.1 | 100.0 |
주: 15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 11월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자료: 서울연구원, 2022, 서울시민 재난사고 위험인식 특성과 안심도시 시사점 보고서 내 설문조사 원자료(안전환경연구실 내부자료) 재분석
재난사고 중 위험 인지도, ‘(초)미세먼지’ 응답률이 가장 높아
- 서울시민은 위험한 편이거나 매우 위험하다고 느끼는 재난사고를 (초)미세먼지, 개인정보 유출·침해사고, 감염병 발병·확산, 교통사고, 생활·강력범죄 순으로 꼽아
같은 재난사고에도 여성이 남성보다 위험하다고 느껴
- 모든 재난사고에 대해 여성이 남성보다 위험하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은 편
- 특히, 여성과 남성이 느끼는 재난사고의 위험 인지도는 여성이 남성에 견줘 생활·강력범죄 1.6배, 개인정보 유출·침해사고 1.3배, 넘어짐·추락·갇힘 1.4배, 화재 1.2배, 생활환경 화학물질사고 1.3배로 인지
표 2. 재난사고 위험 인지도(위험한 편이다 + 매우 위험하다 응답률)(단위: %)
구분 |
(초)미세먼지 |
개인정보 유출·침해사고 |
감염병 발병·확산 |
교통사고 |
생활·강력범죄 |
화재 |
폭염 |
생활환경 화학물질 사고 |
붕괴 |
한파 |
폭발 |
지진 |
넘어짐·추락·갇힘 |
폭설 |
수해 |
---|---|---|---|---|---|---|---|---|---|---|---|---|---|---|---|
전체 |
76.0 |
68.6 |
68.4 |
63.7 |
55.3 |
53.1 |
52.2 |
43.0 |
42.0 |
40.3 |
37.4 |
34.7 |
34.2 |
31.2 |
25.1 |
남 | 73.0 | 60.4 | 63.4 | 58.9 | 42.9 | 48.0 | 50.4 | 38.0 | 37.8 | 37.8 | 34.8 | 31.9 | 28.7 | 29.5 | 20.9 |
여 | 78.9 | 76.6 | 73.2 | 68.3 | 67.3 | 58.1 | 53.9 | 47.8 | 46.1 | 42.7 | 40.0 | 37.4 | 39.6 | 32.9 | 29.1 |
자료: 서울연구원, 2022, 서울시민 재난사고 위험인식 특성과 안심도시 시사점 보고서 내 설문조사 원자료(안전환경연구실 내부자료) 재분석
재난사고 경험률 높을수록 위험 인지도 함께 증가, 경험률·위험 인지도 1순위는 ‘미세먼지’
- 서울시민들이 경험했거나 매우 가까이에서 목격한 적이 있는 재난사고는 미세먼지, 감염병, 폭염, 한파, 교통사고 순
- 재난사고에 대해 경험률이 높을수록 위험 인지도가 높고, 폭발, 붕괴, 생활환경 화학물질사고 같은 경험률이 낮은 재난사고는 위험 인지도가 낮아
향후 자연재난의 위험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
- 향후 재난사고 위험 인지도에 대한 전망은 자연재난은 증가, 그밖의 재난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
표 3. 재난사고 위험 인지도와 경험률(단위: 점, %)
구분 | 수해 | 폭염 | 폭설 | 한파 | 지진 | 화재 | 폭발 | 붕괴 | (초)미세먼지 | 감염병 발병/확산 | 생활환경 화학물질 사고 | 교통사고 | 넘어짐/추락/갇힘 | 개인정보 유출/침해사고 | 생활/강력범죄 |
---|---|---|---|---|---|---|---|---|---|---|---|---|---|---|---|
위험 인지도 | 46.9 | 61.6 | 53.1 | 56.9 | 53.1 | 63.1 | 55.9 | 58.8 | 75.2 | 70.9 | 58.2 | 68.4 | 55.2 | 71.7 | 64.0 |
경험 비율 | 22.0 | 59.9 | 43.0 | 58.0 | 20.3 | 28.5 | 9.5 | 9.7 | 75.0 | 65.4 | 12.1 | 52.3 | 26.9 | 41.9 | 21.5 |
자료: 서울연구원, 2022, 서울시민 재난사고 위험인식 특성과 안심도시 시사점 보고서 내 설문조사 원자료(안전환경연구실 내부자료) 재분석
표 4. 재난사고 위험 인지도와 장래 위험도 (단위: 점)
구분 | 수해 | 폭염 | 폭설 | 한파 | 지진 | 화재 | 폭발 | 붕괴 | (초)미세먼지 | 감염병 발병/확산 | 생활환경 화학물질 사고 | 교통사고 | 넘어짐/추락/갇힘 | 개인정보 유출/침해사고 | 생활/강력범죄 |
---|---|---|---|---|---|---|---|---|---|---|---|---|---|---|---|
위험 인지도 | 46.9 | 61.6 | 53.1 | 56.9 | 53.1 | 63.1 | 55.9 | 58.8 | 75.2 | 70.9 | 58.2 | 68.4 | 55.2 | 71.7 | 64.0 |
장래 전망 | 52.3 | 64.6 | 57.9 | 60.9 | 56.1 | 55.0 | 52.9 | 54.0 | 69.5 | 64.4 | 58.1 | 56.9 | 52.6 | 66.6 | 59.4 |
자료: 서울연구원, 2022, 서울시민 재난사고 위험인식 특성과 안심도시 시사점 보고서 내 설문조사 원자료(안전환경연구실 내부자료) 재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