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치된 폐공장을 시민건강 등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 (중국 칭다오市)
등록일:
2022.05.27
조회수:
353
칭다오市는 옛 산업유산들을 철거하는 대신 현대적인 수요에 맞는 공간으로 재생시키는 전략을 추진 중. 역사적 상징성을 살리고 현대적 기능성을 더해 상당수의 폐공장을 시민건강 등을 위한 공공 인프라로 재활용하고 있음
배경
- 최근 중국 내에서 노후 공단, 유휴 산업시설, 폐공장 등을 새로운 공간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주목받는 도시재생 사례들이 증가
- 과거 산업화를 주도한 현장이었으나 폐허로 방치되고 있는 근현대 산업 및 건축 유산들은 도시의 상징성과 정체성이 담긴 역사적 장소
- 도시 발전 및 재생 과정에서 이들 공간의 효용가치가 재발견되어 현대적 수요에 맞게 새롭게 단장되는 추세
- 칭다오市의 경우 최근 도심에 방치되었던 산업유산들을 헬스케어산업단지, 생활체육센터 등 시민건강과 직결되는 공공 인프라로 탈바꿈시키고 있음
주요 내용
- 사례1. 구(舊) 하이샨(海珊) 의류공장을 헬스산업단지로 조성
- 기존 공장의 원형과 골조를 유지하는 선에서 새로운 기능과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설계의 기본 구상
- 기존 의류공장이 벽돌 콘크리트 구조이므로 대대적인 해체나 철거보다는 본래의 건축 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일부분에 한해 개조, 보수 위주로 개선 작업
- 수도/전기설비 노화, 외벽 단열재 미비 등 입주기업의 운영 환경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부분은 면밀하게 개선
- 공장의 작업장이나 창고 건물의 경우 대부분 천장고(天障高)가 높고 내부가 넓어서 개방감이 뛰어나고 공간 가변성이 좋아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
- 인더스트리얼(Industrial) 인테리어가 벤처형 중소기업의 ‘개성’에 부합
- 현재 킨 치과(Keen dentist) 본사 및 연구개발센터/교육센터를 비롯해 헬스케어컨설팅업체, 생물바이오기술개발업체, 병원관리업체 등 75%가 입주 및 입주 계약을 마친 상태
- 실외 공터에 이벤트, 로드쇼 등을 위한 공용공간을 배치해 시민들에게 개방
- 전체 면적의 15%는 식당, 커피숍, 편의점 등 공공 인프라와 편의시설 유치
- 기존 공장의 원형과 골조를 유지하는 선에서 새로운 기능과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설계의 기본 구상
- 사례2. 국영 제5면화공장(國綿第五工場) 건물 일부를 실내 농구장으로 재활용
- 국영 제5면화공장은 방직 생산설비, 복도 방화문, 습식 경고 밸브, 증기 밸브 등 근현대 방직공장의 물리적 흔적과 특성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역사적인 장소
- 최근 ‘방직곡(紡織谷, 섬유밸리)’이라는 이름으로 재탄생되어 각종 패션숍, 박물관, 미술관 등이 모인 복합문화지대로 각광받고 있음
- 일부 작업장은 농구장으로 새롭게 단장해 시민들의 스포츠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함
- 옛 공장 내부를 고스란히 드러내면서 현대적 감각과 기능으로 새단장한 ‘인더스트리얼+펑크(funk)’풍의 인테리어를 구현
- 철골구조와 벽체는 모두 원형 그대로 유지하되 환풍/소방설비 등 안전설비 확충, 현대적이고 스포츠적인 요소 추가
- 저렴한 가격대로 남녀노소 누구나 농구를 즐길 수 있는 생활체육공간으로 재탄생
- 국영 제5면화공장은 방직 생산설비, 복도 방화문, 습식 경고 밸브, 증기 밸브 등 근현대 방직공장의 물리적 흔적과 특성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역사적인 장소
정책 평가
- 도심 속 오래된 산업유산은 도시재생 및 발전에 있어 효용 가치가 높은 특별한 공간 자원
- 기존 기능을 상실한 유휴 산업자원에 현대적 기능을 새롭게 장착해 역사적 가치와 기억은 유지하면서 시민들에게 새로운 공간 활용 경험을 제공
- 칭다오市는 폐공장들을 철거하는 대신 적절하게 개조해 시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헬스케어, 스포츠 단지로 재활용함으로써 ‘기존 공간의 역사성 보존’과 ‘시민건강 증진’이라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
https://baijiahao.baidu.com/s?id=1721245146696798118&wfr=spider&for=pc
https://edu.qingdaonews.com/content/2022-02/15/content_23083737.htm
http://k.sina.com.cn/article_5281491251_13acd29330200197j9.html
강 경 이 통신원, jiongli101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