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4월20일 - 돌봄공백 해소 위한 ‘학교돌봄터’ 사업을 아시나요? 글쓴이: sinews / 작성시간: 수, 04/20/2022 - 09:22 Clipboard Facebook Kakao Twitter 등록일: 2022.04.20 조회수: 99 22년4월3주 서울연구원 주요 간행물과 소식 이 메일이 잘 안보이시나요? 방과후부터 저녁 7시나 8시까지 운영하는 ‘학교돌봄터’ 사업은 학교 내 온종일 돌봄 확대를 바라는 학부모의 요구에 따라, 지자체와 학교가 협력해 유휴 교실에서 초등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범 사업입니다. 서울에서는 현재 중구 관내 9개 학교 27개 교실에서 운영 중입니다. 이 사업이 내실 있게 정착하려면 서울시는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서울시 산림 훼손지 복원 및 관리 가이드라인 도시개발사업, 불법경작, 자연재해 등으로 도시지역 산림의 양적 감소와 질적 하락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산림 훼손지 면적은 서울시 전체 면적의 약 1.73%이며, 이 중 산림 내 경작으로 인한 훼손이 전체의 약 75%, 재해·수목고사·임목훼손 등으로 인한 훼손지는 전체 면적의 18.3%라고 합니다. ‘서울시 산림 훼손지 복원 및 관리 가이드라인’을 보고서에 제시하였습니다. 지도에서 직접 찾아보는 ‘서울의 근현대 문화유산’ 북촌 가꾸기를 시작으로 지난 20여 년 동안 축적한 서울의 근현대 문화유산 관련 연구 결과를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를 통해 시민과 공유합니다. 서울시민의 삶이 담겨있는 주변의 소소한 근현대 문화유산의 가치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제328호] 서울시민이 느끼는 우리사회의 갈등 2 – 소통과 포용정도 서울시민은 ‘가족 간’, ‘직장 구성원 간’, ‘이웃 간’, ‘세대 간’ 순으로 소통이 잘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29세는 ‘이웃 간’ 소통이, 60세 이상은 ‘세대 간’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서울인포그래픽스를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30주년 기념 페이스북 퀴즈 이벤트 · 참여기간 : 4월 12일(화) ~ 21일(목) · 참여방법 : 게시물에 댓글로 응모 · 당첨선물 : 커피 기프티콘 증정 06756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40길 57 (서초동) 대표전화 02-2149-1234 | 다산 콜센터 02-120 Copyright 2019 Seoul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본 메일은 발신전용으로 회신이 불가능 합니다. 수신거부 Unsubscribe print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