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방역에도 일조하는 디지털 위안화 사용 확대 (중국 베이징市)
등록일:
2022.03.28
조회수:
136
인터넷 기술과 디지털 경제 발전이라는 흐름에 발맞춰 중국인민은행은 총 11개 지역을 선정해 2019년 말부터 디지털 위안화를 시험 사용하기 시작.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지역도 시범지역으로 선정되어 베이징市는 동계올림픽과 관련 있는 약 40만 개소에서 디지털 위안화를 시험 사용하도록 함. 市는 디지털 위안화가 유일한 비접촉 지불 수단으로서 코로나19 확산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고 보고, 동계올림픽이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디지털 위안화 사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
배경 및 목적
- 중국의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이 2021년 7월에 발간한 ‘디지털 위안화의 연구・발전에 관한 백서’에 따르면, 인터넷 기술과 디지털 경제 발전에 따라 디지털 위안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는 데 발맞춰 중국인민은행은 2017년 말 중국의 행정부 격인 국무원의 비준을 거쳐 디지털 위안화 관련 연구를 시작
- 디지털 위안화란 현금 위안화와 마찬가지로 중국인민은행이 발행하는데, 현금 위안화와 달리 디지털 형태를 띤 화폐
- 현금 위안화와 마찬가지로 지정 시중은행을 통해 주민들에게 지급해주고, 지정 시중은행은 중국인민은행에 100%의 준비금을 지급
- 차량 번호판 등 개인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디지털 위안화 통장 기능을 할 수 있고, 시중은행에서 개설한 현금 위안화 통장이 없어도 디지털 위안화 통장 개설 가능. 또한 익명과 실명 통장 모두 개설 가능
- 디지털 위안화 발행 목적은 지불 방식의 다양화를 통한 상거래의 효율성과 안전성 제고, 디지털 화폐라는 세계적 추세에 발맞춘 위안화의 국제화임
- 국가가 법적으로 정한 화폐이고 익명으로 결제할 수 있는 안전성, 은행통장이 없고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결제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장점
- 중국인민은행이 2019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핸드폰 결제 횟수와 금액은 각각 66%와 59%, 현금 결제 횟수와 금액은 각각 23%와 16%, 카드 결제 횟수와 금액은 각각 7%와 23%의 비중을 차지
- 중국인민은행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유통 중인 현금은 2016년 말부터 2020년 말까지 각각 6조 8,300억 위안, 7조 600억 위안, 7조 3,200억 위안, 7조 7,200억 위안, 8조 4,300억 위안으로 현금 사용량이 여전히 증가 추세
- 이는 현대적인 금융서비스가 미치지 못하는 지역에서 여전히 현금에 대한 의존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중국인민은행은 지적
- 디지털 위안화란 현금 위안화와 마찬가지로 중국인민은행이 발행하는데, 현금 위안화와 달리 디지털 형태를 띤 화폐
- 중국인민은행은 10+1개 지역(10개 지역과 2022년 2월 4일부터 2월 20일까지 열린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지역)을 선정해 디지털 위안화를 시험 사용
- 2019년 말부터 광둥성 선전市, 장쑤성 쑤저우市, 허베이성 슝안신구, 쓰촨성 청두市에서 디지털 위안화를 시험 사용하기 시작
- 2020년 11월부터는 상하이市, 하이난성, 후난성 창샤市, 산시성 시안市, 산둥성 칭다오市, 랴오닝성 다롄市에서도 시험 사용하기 시작
- 2021년 10월 기준으로 중국에서 디지털 위안화를 시험 사용하는 곳은 약 350만 개소
- 개설된 디지털 위안화 통장 누적 개수는 약 1억 2,300만 개, 디지털 위안화 누적 거래금액은 약 560억 위안
주요 내용
[사진] 디지털 위안화를 사용해 비(非)접촉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모습
- 베이징市 지방금융감독관리국에 따르면, 베이징市는 2020년 말부터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관련 있는 총 7개 부문(음식, 숙박, 교통, 유흥, 쇼핑, 오락, 의료) 약 40만 개소에서 디지털 위안화를 시험 사용하기 시작
- 2021년 말까지 1,300만 개가 넘는 통장이 개설되었고, 거래금액은 약 96억 위안 수준
-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에 사용 가능한 3가지(신용카드, 현금 위안화, 디지털 위안화) 지불 방법 중 디지털 위안화가 유일한 비접촉 지불 방법
- 베이징市는 동계올림픽 기간 중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일조한다고 판단해 시범 시행
- 동계올림픽 기간에 사용한 디지털 위안화는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해 개설한 소프트웨어 통장과 지정 시중은행에서 카드나 팔찌 등을 받아 개설한 하드웨어 통장이 있음
- 두 통장을 서로 연결해 소프트웨어 통장을 통해 하드웨어 통장 정보를 파악하고 하드웨어 통장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
향후 계획
- 중국 정부는 2021년 3월에 발표한 14차 5개년(2021년 3월~2026년 3월) 경제・사회 발전계획에서 디지털 경제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
- 이에 중국인민은행은 ‘디지털 위안화의 연구・발전에 관한 백서’에서 14차 5개년 경제・사회 발전계획에 따라 디지털 위안화 시범 지역을 늘리고 기존 시범 지역에서도 디지털 위안화를 사용할 수 있는 장소를 늘리겠다고 발표
- 또한 베이징市는 디지털 위안화가 코로나19 방역에도 일조하기 때문에 동계올림픽이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디지털 위안화 사용을 확대할 예정
http://www.pbc.gov.cn/goutongjiaoliu/113456/113469/4293590/2021071614200...
https://news.cctv.com/2021/11/10/ARTIGy6RzhCEyBc7aoyZoFj4211110.shtml
https://www.bjxch.gov.cn/xcdt/xxxq/pnidpv909216.html
http://www.beijing.gov.cn/fuwu/lqfw/gggs/202201/t20220127_2601000.html
http://jrj.beijing.gov.cn/jrgzdt/202202/t20220208_2606041.html
http://jrj.beijing.gov.cn/jrgzdt/202202/t20220209_2606985.html
정 민 욱 통신원, muchung61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