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수열에너지 이용 확대 전략
개별 건물 단위부터 지역 단위 네크워크까지
서울시, 수열에너지 확대 장단기전략 세워야
204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17% 달성하려면 미활용에너지 발굴 필요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과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정부는 203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20%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서울시도 2040년 온실가스 배출량 70% 감축과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17%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서울시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2018년 기준 2.6%에 그쳐,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다방면으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지리적인 한계로 해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자원이 미약하고, 가용부지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건물의 냉·난방에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도심 내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미활용에너지인 수열에너지에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2019년 10월 수열에너지 범위에 하천수 추가 ‘냉·난방 열원 중요성 부각’
2019년 10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령’ 개정으로 수열에너지원의 범위가 기존의 해수 표층수에서 하천수까지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광역상수도의 상수원수, 한강 및 주요 지천의 하천수를 이용하여 생산한 열에너지가 재생에너지로 인정받게 되었다.
수열에너지는 기존 냉·난방 시스템 대비 약 20~50%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유출지하수 사업장, 정수장, 개별건물 등 다양한 규모와 유형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법적으로 수열에너지의 범위가 해수와 하천수로 한정되지만, 물의 열을 히트펌프를 사용하여 변환시키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장기적으로는 유출지하수, 수돗물, 하수 등 다양한 수열원의 발굴과 활용에 고려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