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시마 회귀’ 종합전략 추진 (일본 도쿠시마현(県))
등록일:
2020.08.04
조회수:
286
일본 도쿠시마현(県)은 ‘사람’과 ‘일’의 선순환 창출로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실현하고자 ①새로운 사람의 흐름 만들기, ② 지역의 일자리 만들기, ③ 결혼・출산・육아 환경 만들기를 통한 ④ 활력 있고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를 기본 목표로 하는 ‘도쿠시마 회귀’ 종합전략을 추진. 더 나아가 최근 동향을 반영해 기본 목표를 일부 수정한 새로운 종합전략을 마련
배경과 목적
- 일본에서는 인구감소・초고령사회1) 도래에 따른 사회 문제가 심화하는 가운데 지방의 인구감소 현상 극복과 도쿄 일극(一極) 집중 개선을 통한 지역 활성화가 최우선 과제로 대두
- 이와 같은 과제 해결을 지속가능한 성장의 필수조건으로 본 도쿠시마현(県)은 ‘도쿠시마 회귀’ 종합전략(이하 ‘종합전략’)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대책을 시행
종합전략 주요 내용
- 현(県)은 ‘사람’과 ‘일’의 선순환 창출로 ‘도쿠시마 회귀’를 촉진하여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실현하고자 종합전략을 추진
- ① 새로운 사람의 흐름 만들기, ② 지역의 일자리 만들기, ③ 결혼・출산・육아 환경 만들기를 통한 ④ 활력 있고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를 기본 목표로 하는 구체적인 대책을 추진
- 2020년까지 전입・전출자 수를 맞춰 인구의 사회증감 0을 목표로 한 ‘새로운 사람의 흐름 만들기’
- 살고 싶고 일하고 싶은 곳을 만들기 위해 이주 교류 추진 및 도쿠시마 팬 창출・확대, 다양한 인재 환류(還流), 농림수산업에 도전하는 신규 취업자 확대 등을 추진
- 거점 기능 강화를 통한 ‘도쿠시마 회귀’ 달성을 위해 기업 본사 유치, 공공기관 유치, 새틀라이트 오피스(satellite office)2) 확충 등을 추진
- 젊은 층의 ‘도쿠시마 회귀’를 촉진하기 위해 대학을 활성화
- 이를 위해 대학과 지역 연계를 통한 대학 공간 확대, 정착 지원 등을 추진
- 5년간 4,000명 이상의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한 ‘지역의 일자리 만들기’
- 지역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크리에이티브 관련 기업이나 지속적으로 성장 중인 기업이 주도하는 지역 이노베이션, 기업 성장주기에 맞춘 지원, 6차 산업화・도쿠시마 브랜드의 해외 진출 등을 추진
- 관광객 유치를 위해 방일 외국인 4,000만 시대를 상정한 대책, 사람을 모을 수 있는 대규모 행사 등을 추진
- 지역 산업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인재 육성
- 2025년 희망 출생률 1.8을 목표로 한 ‘결혼・출산・육아 환경 만들기’
- 생애주기에 따른 지원 강화를 통해 젊은 세대의 결혼・출산・육아를 응원하며, 세대를 넘어 지역에서 뒷받침하는 육아사회를 실현
- 청년세대의 정규 고용 확대
- 일과 육아의 양립을 위해 새로운 노동방식 ‘도쿠시마 모델’을 만들고, 아이를 키우면서 다니기 쉬운 직장환경 구축
- 도쿠시마판 지방창생(地方創生) 특구 10구를 목표로 ‘활력 있고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 ‘과제 해결 선진 지역’을 목표로 시정촌의 과제 해결을 지원하고, 지방창생에 관한 정책제언 실행률이 70% 이상 되도록 함
- 다양한 인재가 활약하는 지역을 목표로 여성 활약 지원, 건강한 고령자가 활약하는 평생 현역사회 실현, 청년의 꿈 응원, 장애인 배려 사회 실현, 외국인도 살기 좋은 다문화 공생 마을 만들기 등을 추진
- ‘시대에 걸맞은 고향’을 목표로 다세대 교류・다기능형 거점 형성,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지역 연계 등을 추진
-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지역을 목표로 지역방재력 향상, 도쿠시마형 탈탄소 사회, ‘에너지 지산지소(地産地消)’(지역의 필요한 전력을 해당 지역에서 생산)와 미래 에너지 도입, 재활용 촉진 등을 추진
기본 목표를 일부 수정한 새로운 종합전략 마련
- 현(県)은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나 초스마트사회(Society 5.0) 등 최근 동향을 반영해 기존 종합전략의 기본 목표를 일부 수정한 새로운 종합전략을 마련
- 새로운 종합전략에서는 ① 미래를 담당할 사람의 흐름 만들기, ② 매력적인 일자리 만들기, ③ 결혼・출산・육아 희망이 이루어지는 환경 만들기를 통한 ④ 지속가능한 지역 사회 만들기를 기본 목표로 설정
- 민간부문의 자금 활용 등을 통해 지방의 사람・자금 흐름을 강화, Society 5.0 실현을 위한 기술 활용이나 SDGs를 원동력으로 한 지방창생 등 새로운 시대의 흐름을 적극 활용, 인재를 육성하고 활약을 지원, 민간과 효율적으로 협동, 누구나 활약할 수 있는 지역 사회를 조성하는 데에 주목
- 새로운 종합전략에서는 ① 미래를 담당할 사람의 흐름 만들기, ② 매력적인 일자리 만들기, ③ 결혼・출산・육아 희망이 이루어지는 환경 만들기를 통한 ④ 지속가능한 지역 사회 만들기를 기본 목표로 설정
1) 초고령사회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사회. 65세 이상 인구가 14% 이상 20%미만인 사회는 고령사회, 7% 이상 14% 미만인 사회는 고령화사회라고 함(출처: 두산백과사전,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사전)
2) 본사와 정보통신망으로 연결된 도시 주변의 소규모 오피스를 말함
https://www.pref.tokushima.lg.jp/ippannokata/kurashi/chihososei/20150130...
https://www.pref.tokushima.lg.jp/ippannokata/kurashi/chihososei/5030982/
권 용 수 통신원, dkrrnlwjstjf@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