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슈큐레이터 - 7월의 주제 '빅데이터'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07/27/2020 - 08:38 Clipboard Facebook Kakao Twitter 등록일: 2020.07.27 조회수: 822 시민의 관심이슈에 정책연구로 답합니다 이 메일이 잘 안보이시나요? 『서울시 공간정보정책 개선방안』(이석민, 2018) 스마트시티가 현실화되고 있는 지금, 정확한 공간정보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행정정보 등 시민에게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한편, 현실세계를 디지털로 옮긴 ‘디지털 트윈’ 구축에 앞장서야 할 것입니다. 『도로교통사고 예방 위한 위험도 평가기법 모색』(홍상연, 2018) 교통사고 예방에 쓸 수 있는 빅데이터는 무엇이 있을까요? 교통사고 발생 건수나 도로시설 정보와 같은 교통 관련 데이터는 물론, 지역의 고령자 수, 도로 주변의 인구활동 정도 등 다양한 데이터가 사고예방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교통카드자료 기반 도시철도 승강장의 동적 혼잡도 분석』(신성일, 2017) 출퇴근길 지하철에 사람이 덜 몰리게 할 수는 없을까요? 승강장을 넓히거나 열차를 추가하기는 어렵지만, 교통카드자료 분석으로 혼잡한 시간대와 장소를 파악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고 효과적입니다. 인스타그램 위치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을지로 3·4가 지역 활성화의 실증분석 노인 인구 밀집지역의 시공간적 분포와 결정요인 분석 - 서울 생활인구 빅데이터의 활용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 도출 연구 서울인구는 어떻게 이동하고 있는가? 해커톤 대회 등 오픈데이터 활용해 시민참여 유도 (미국 휴스턴市) 사회문제 해결・행정서비스 개선에 데이터 활용 장려 (일본) 수요자 기호에 따른 공공정보 제공으로 ‘열린 도시 1위’ (캐나다 에드먼턴市) ‘교통사고 최소화’ 도로설계에 빅데이터・AI 활용 (미국 뉴욕市) 06756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40길 57 (서초동) 대표전화 02-2149-1234 | 다산 콜센터 02-120 Copyright 2019 Seoul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본 메일은 발신전용으로 회신이 불가능 합니다. 수신거부 Unsubscribe print 태그: 빅데이터소셜빅데이터오픈데이터디지털뉴딜공간정보정책스마트시티디지털트윈지역활성화사회문제서비스개선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