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여 노동인력의 일자리 현황은?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08/05/2019 - 08:48등록일:
2019.08.05
조회수:
3070
2017년 서울 노동가능인구는 남자 410만 명, 여자 450만 명
- 2017년 서울의 만 15세 이상 노동가능인구는 860만 명, 이 중 경제활동인구는 540만 명, 학생·주부 등 비경제활동인구는 320만 명
- 노동가능인구는 남자 410만 명, 여자 450만 명으로 여자인력이 더 많고, 경제활동인구 비율은 남자 72.9%, 여자 54.0%로 남자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더 높아
-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 비율은 남자 95.3%, 여자 95.7%로 비슷한 수준
괜찮은 일자리 비율, 남자 45.3%, 여자 29.9%
- 임금근로자 상용직 비율은 남자 71.9%, 여자 58.5%이며, 주당 근로시간은 남자가 45.6시간으로 여자(39.8시간)보다 많고, 월평균 임금은 110만 원 이상 차이
- 상용직이면서 근로시간이 적정하고 적정임금 이상을 받는 괜찮은 남자 일자리 비율은 전체 남자 일자리 중 45.3%를 차지하고, 괜찮은 여자 일자리 비율은 전체 여자 일자리 중 29.9% 차지
직업은 남녀 모두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이 가장 많아
- 남자인력이 종사하는 산업은 소매업(8.5%), 도매 및 상품 중개업(7.6%), 전문직별 공사업과 음식점 및 주점업(각각 6.4%) 순
- 여자인력이 종사하는 산업은 교육 서비스업(12.0%), 소매업(11.6%), 음식점 및 주점업(11.1%) 순
- 직업은 남녀 모두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이 1순위, ‘매장판매 및 상품 대여직’은 2순위로 동일
표 1. 노동가능인구 현황(단위: 천 명, %)
구분 | 경제활동인구 | 비경제활동인구 | 합계 (노동가능인구) | ||||||
---|---|---|---|---|---|---|---|---|---|
남 | 여 | 합계 | 남 | 여 | 합계 | 남 | 여 | 합계 | |
내용 | 2,988 | 2,408 | 5,396 | 1,109 | 2,052 | 3,161 | 4,097 | 4,460 | 8,557 |
72.9 | 54.0 | - | 27.1 | 46.0 | - | 100.0 (47.9) | 100.0 (52.1) | - (100.0) |
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원자료 (모두 2017년 기준)
자료: 서울연구원, 2019, 서울시 여성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표 2. 경제활동인구 현황(단위: 천 명, %)
구분 | 취업자 | 실업자 | 합계 | ||||||
---|---|---|---|---|---|---|---|---|---|
남 | 여 | 합계 | 남 | 여 | 합계 | 남 | 여 | 합계 | |
내용 | 2,849 | 2,304 | 5,153 | 139 | 104 | 243 | 2,988 | 2,408 | 5,396 |
95.3 | 95.7 | - | 4.7 | 4.3 | - | 100.0 (55.4) | 100.0 (44.6) |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19, 서울시 여성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표 3. 임금근로자 종사상지위, 근로시간 및 임금수준(단위: %, 시간, 만 원)
구분 | 임금근로자 종사상지위 | 근로시간/월평균 임금 | 괜찮은 일자리 비중 | ||||
---|---|---|---|---|---|---|---|
상용직 | 임시직 | 일용직 | 합계 | 주당 근로시간 | 월평균 임금 | ||
남 | 71.9 | 19.5 | 8.6 | 100.0 | 45.6 | 315.4 | 45.3 |
여 | 58.5 | 35.5 | 6.1 | 100.0 | 39.8 | 198.8 | 29.9 |
주: 괜찮은 일자리란 임금근로자 기준으로 상용직이면서 근로시간(15시간 이상~49시간 이하)이 적정하고, 적정임금(2017년 기준 200만 원) 이상을 받는 일자리
자료: 서울연구원, 2019, 서울시 여성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표 4. 남·여 인력 종사산업(단위: %)
남 | 소매업 (자동차 제외) | 도매 및 상품 중개업 | 전문직별 공사업 | 음식점 및 주점업 | 육상운송 및 파이프라인 운송업 | 종합 건설업 | 사업지원 서비스업 | 교육 서비스업 | 전문 서비스업 | 출판업 |
---|---|---|---|---|---|---|---|---|---|---|
비율 | 8.5 | 7.6 | 6.4 | 6.4 | 6.3 | 5.2 | 4.8 | 4.8 | 4.3 | 3.7 |
여 | 교육 서비스업 | 소매업 (자동차 제외) | 음식점 및 주점업 | 보건업 | 사회복지 서비스업 | 사업지원 서비스업 | 기타 개인 서비스업 | 도매 및 상품중개업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 전문 서비스업 |
비율 | 12.0 | 11.6 | 11.1 | 7.1 | 6.5 | 5.4 | 5.0 | 4.8 | 3.4 | 3.3 |
자료: 서울연구원, 2019, 서울시 여성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표 5. 남·여 인력 종사직업(단위: %)
남 |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 | 매장판매 및 상품 대여직 | 운전 및 운송 관련직 | 경영, 금융전문가 및 관련직 | 공학 전문가 및 기술직 |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 문화, 예술, 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 | 건설 및 채굴 관련 기능직 | 조리 및 음식 서비스직 | 청소 및 경비 관련 단순 노무직 |
---|---|---|---|---|---|---|---|---|---|---|
비율 | 18.5 | 9.5 | 8.6 | 6.9 | 6.2 | 6.0 | 5.7 | 5.7 | 5.3 | 4.3 |
여 |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 | 매장판매 및 상품 대여직 | 교육 전문가 및 관련직 | 보건,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 조리 및 음식 서비스직 | 가사, 음식 및 판매 관련 단순 노무직 | 돌봄, 보건 및 개인 생활 서비스직 | 문화, 예술, 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 | 청소 및 경비 관련 단순 노무직 | 상담, 안내, 통계 및 기타 사무직 |
비율 | 17.4 | 9.9 | 9.1 | 9.0 | 7.3 | 6.5 | 6.2 | 5.6 | 4.9 | 4.0 |
자료: 서울연구원, 2019, 서울시 여성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