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신혼부부 어떻게 살고 있나?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03/04/2019 - 09:45등록일:
2019.03.04
조회수:
3970
서울 신혼부부의 가구형태는 자녀 포함 2세대 가구 가장 많아
- 2017년 서울 신혼부부 26만 3천 쌍 중 떨어져 살고 있는 부부는 10.9% 차지
- 부부가 함께 사는 경우 자녀 포함 2세대 가구(43.4%)가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1세대 가구(36.6%)가 많아
영유아 자녀의 가정 양육은 감소, 어린이집 보육은 증가
- 신혼부부 중 56.9%는 자녀 있고, 자녀가 없거나 자녀가 있더라도 1명인 비율은 매년 증가
- 첫째 자녀 출산 시기는 실제 결혼 시작 후 12개월 미만이 34.8%로 가장 많고, 뒤이어 12~24개월(31.3%), 결혼 시작일 전(14.0%) 순
- 영유아 자녀 절반은 가정에서 양육, 2년 전보다 가정 양육은 3.7%p 감소했고 어린이집 보육은 3.5%p 증가
맞벌이 비율은 매년 증가, 가계 대출 액수도 매년 증가
- 맞벌이 부부 비율은 매년 증가하는 반면 외벌이 비율은 감소
- 부부합산 연간 평균소득은 6,119만 원, 소득 중앙값은 5,154만 원이며 전년 대비 평균소득은 5.6%, 소득 중앙값은 7.4% 증가
- 금융권 가계대출 보유율은 80.8%, 대출 잔액 중앙값은 1억 원 수준이고, 1억 원 이상 비율은 전년보다 증가
표 1. 신혼부부 거처 현황 (단위: 쌍, %)
구분 | 합계 | 거처 동일 | 거처 비동일 | ||||
---|---|---|---|---|---|---|---|
국내 | 국내+기타(외국 등) | 소계 | |||||
2017 | 전체 | 쌍 | 263,148 | 234,408 | 17,263 | 11,477 | 28,740 |
비율 | 100.0 | 89.1 | 6.6 | 4.4 | 10.9 | ||
초혼 | 비율 | 100.0 | 90.6 | 6.2 | 3.2 | 9.4 | |
재혼 |
비율 |
100.0 | 80.5 | 8.7 | 10.7 | 19.5 |
자료: 통계청, 2017년 신혼부부통계(서울시)
표 2. 신혼부부 세대별 거처 현황 (단위: %)
구분 | 합계 | 거처 동일 | 거처 비동일 | ||||||||||||||
---|---|---|---|---|---|---|---|---|---|---|---|---|---|---|---|---|---|
소계 | 1세대가구 | 2세대가구 (부모) | 2세대가구 (자녀) | 2세대가구 (기타) | 3세대이상 | 기타 | 소계 | 1세대가구 | 2세대가구 (부모) | 2세대가구 (자녀 | 2세대가구 (기타) | 3세대이상 | 1인가구 | 비친족가구 | 기타 | ||
2017 | 100.0 | 89.1 | 36.6 | 2.1 | 43.4 | 1.5 | 5.5 | 0.0 | 10.9 | 0.5 | 0.0 | 2.3 | 3.3 | 1.3 | 3.0 | 0.3 | 0.3 |
자료: 통계청, 2017년 신혼부부통계(서울시)
표 3. 신혼부부 자녀 유무 (단위: %)
구분 | 합계 | 자녀 없음 | 자녀 있음 | 자녀 수 | ||||
---|---|---|---|---|---|---|---|---|
1명 | 2명 | 3명 | 4명 | 5명 이상 | ||||
2015 | 100.0 | 40.9 | 59.1 | 73.0 | 24.2 | 2.4 | 0.4 | 0.1 |
2016 | 100.0 | 41.7 | 58.3 | 73.3 | 23.9 | 2.3 | 0.4 | 0.1 |
2017 | 100.0 | 43.1 | 56.9 | 74.0 | 23.3 | 2.2 | 0.4 | 0.1 |
주: 출산자녀는 부부 중 아내를 기준으로 혼인 전 출산한 자녀를 포함한 총 출산 자녀수
자료: 통계청, 2017년 신혼부부통계(서울시)
표 4. 첫째 자녀의 출산 소요 기간 (단위: %)
구분 | 합계 | 실제결혼 시작일 전 | 12개월 미만 | 12~24개월 | 24~36개월 | 36~48개월 | 48~60개월 | 60개월 이상 |
---|---|---|---|---|---|---|---|---|
2017 | 100.0 | 14.0 | 34.8 | 31.3 | 13.3 | 4.8 | 1.3 | 0.5 |
주; 첫째 자녀 출산소요 기간은 혼인신고일이 아닌 실제 결혼 시작일 기준
자료: 통계청, 2017년 신혼부부통계(서울시)
표 5. 신혼부부 영유아 자녀 보육 현황 (단위: %, %p)
구분 | 합계 | 가정 양육 | 어린이집 | 유치원 | 돌봄 서비스 (종일제) | 혼합 (소계 | 혼합유형 | 기타 | ||
---|---|---|---|---|---|---|---|---|---|---|
가정양육+돌봄서비스(시간제) | 어린이집+돌봄서비스(시간제) | 유치원+ 돌봄서비스 (시간제 | ||||||||
2015 | 100.0 | 53.7 | 37.0 | 2.5 | 0.2 | 3.7 | 1.8 | 1.8 | 0.1 | 3.1 |
2016 | 100.0 | 53.2 | 39.5 | 2.7 | 0.1 | 2.8 | 1.2 | 1.6 | 0.1 | 1.6 |
2017 | 100.0 | 50.0 | 40.5 | 2.5 | 0.1 | 3.5 | 1.6 | 1.8 | 0.1 | 3.4 |
’15년 대비 ’17년 증감 |
-3.7 | 3.5 | 0.1 | 0.0 | -0.2 | -0.2 | 0.1 | 0.0 | 0.3 |
자료: 통계청, 2017년 신혼부부통계(서울시)
표 6. 신혼부부 맞벌이 여부 (단위: %)
구분 | 합계 | 맞벌이 | 외벌이 | 기타 | ||
---|---|---|---|---|---|---|
소계 | 남편만 외벌이 |
아내만 외벌이 |
||||
2015 | 100.0 | 47.4 | 43.4 | 35.5 | 7.8 | 9.3 |
2016 | 100.0 | 49.3 | 41.7 | 33.4 | 8.3 | 9.0 |
2017 | 100.0 | 49.9 | 41.3 | 33. | 8.1 | 8.8 |
자료: 통계청, 2017년 신혼부부통계(서울시)
표 7. 신혼부부 연간 소득 (단위: %)
구분 | 소득 구간 | 소득 평균 (만 원) | 소득 중앙값 (만 원) | ||||||
---|---|---|---|---|---|---|---|---|---|
합계 | 1천 만 원 미만 | 1천~ 3천 만 원 | 3천~ 5천 만 원 | 5천~ 7천 만 원 | 7천 만 원~ 1억 원 | 1억 원 이상 | |||
2016 | 100.0 | 12.5 | 18.2 | 21.3 | 17.4 | 16.1 | 14.5 | 5,797 | 4,800 |
2017 | 100.0 | 10.4 | 17.5 | 20.5 | 17.8 | 18.1 | 15.7 | 6,119 | 5,154 |
주: 소득 평균은 소득 신고 된 부부의 근로 및 사업소득을 시·도별 신혼부부(소득 미신고자 포함) 수로 나눈 평균액, 소득 중앙값은 부부의 근로 및 사업소득 값을 크기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값
자료: 통계청, 2017년 신혼부부통계(서울시)
표 8. 신혼부부 대출 잔액 (단위: %)
구분 | 보유 비율 | 구간별 대출 잔액 | 중앙값 (만 원) | ||||||||
---|---|---|---|---|---|---|---|---|---|---|---|
합계 | 1천 만 원 미만 | 1천~ 3천 만 원 | 3천~ 5천 만 원 | 5천~ 7천 만 원 | 7천 만 원~ 1억 원 | 1억~ 2억 원 | 2억~ 3억 원 | 3억 원 이상 | |||
2016 | 80.0 | 100.0 | 9.5 | 12.9 | 11.4 | 9.5 | 12.5 | 26.0 | 9.7 | 8.5 | 8,408 |
2017 | 80.8 | 100.0 | 7.6 | 11.6 | 9.7 | 9.3 | 11.1 | 27.6 | 12.1 | 10.9 | 10,000 |
주: 중앙값은 대출 잔액이 있는 부부를 대상으로 대출 잔액의 값을 크기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값
자료: 통계청, 2017년 신혼부부통계(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