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교통부문 미세먼지 관리방안 -서울시 자동차 친환경등급제를 중심으로-
등록일:
2019.02.22
조회수:
1253
친환경등급에 따른 서울시 자동차운행제한은 대상차량·대상지역 감안해 단계별 시행 필요
서울시 미세먼지 고농도 일수 증가추세…조기사망 등 건강영향 심각
2010년대 초반까지 줄어들던 서울시 미세먼지 농도가 2012년 이후 정체하거나 오히려 증가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고농도 일수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대 초반까지는 화물차 대책과 저황연료 공급 등 직접배출 규제정책이 성과를 거두었지만, 이후부터는 승용차 배출, 2차 생성, 외부 오염물질 유입 등의 심각성이 커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