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루프 정책, 지역산업 발전・도시조망 개선 효과” (캐나다 토론토市)
등록일:
2018.08.22
조회수:
653
캐나다 토론토市는 세계적 기후변화와 도시열섬 현상을 비롯한 여러 도시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2006년부터 ‘그린루프’(Green Roof) 정책을 추진함. 그 결과 2016년에는 북미 전체 도시 중 가장 많은 면적의 그린루프를 설치한 도시가 되었으며, 에너지 효율을 높여 지역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도시조망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음
배경
- 지속가능한 환경에 사회적 관심이 커지면서, 지역경제 성장과 환경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환경・건축 정책이 요구
- 특히, 그린루프 등을 활용해 도시를 녹화하는 인프라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
- 그린루프는 도시의 경제적 이익 창출, 빗물조절 효과, 열섬현상 감소, 냉각 등의 효과가 있음이 라이어슨 대학(Ryerson University)의 실험으로 검증
- 그린루프는 건축물의 지붕 일부 또는 전체에 방수, 배수, 여과시설을 갖추고 흙을 덮어 식물이나 야채 등을 자라게 하는 친환경 건축기술
주요 내용
- 2006년 2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토론토시에 적합한 그린루프의 기준을 설정하고 한계점을 분석하는 워크숍을 개최
- 그린루프 정책의 주요 실행전략
- 지원프로그램: 토론토 수자원공사의 지원으로 2006년부터 실행했으며, 그린루프 설치 시 1㎡당 10캐나다달러(8천 원)를 지원
- 당시 총 3,000㎡의 그린루프를 설치를 지원했고, 현재는 에코루프(Ecoroof) 지원프로그램으로 발전
- 시정부나 관련 기관 소유 건축물 지붕의 50%를 그린루프로 변경
- 최초로 요크 시민센터에 204㎡, 글래드스톤 도서관에 176㎡, 토론토 식물원에 223㎡의 그린루프를 설치
- 그린루프 설치를 장려하는 새로운 승인과정을 마련
- 전략과 지침 개발, 교육・홍보 활동
-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교육과 연수를 제공하는 한편, ‘생물다양성 그린루프’(Biodiverse Green Roof) 지침을 개발
- 지원프로그램: 토론토 수자원공사의 지원으로 2006년부터 실행했으며, 그린루프 설치 시 1㎡당 10캐나다달러(8천 원)를 지원
- 2009년부터 북미 최초로 ‘그린루프법’ 시행
- 총 바닥면적 2,000㎡ 이상의 건물을 신축하거나 확장할 때는 지붕 공간의 20~60%를 그린루프로 설치
- 그린루프 설치면적의 비율은 건물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설정
- 산업용 건물은 지붕공간의 10% 또는 2,000m²미만을 그린루프로 하거나, 100%를 쿨루프(Cool Roof: 열을 흡수하지 않는 흰색 등으로 칠한 지붕)로 만들고 빗물조절장치를 마련해야 함
- 총 바닥면적 2,000㎡ 이상의 건물을 신축하거나 확장할 때는 지붕 공간의 20~60%를 그린루프로 설치
- 에코루프 지원프로그램: 그린루프와 쿨루프 설치 시 지원금 제공
- 에코루프는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배출 감소, 열섬현상 감소, 빗물조절, 공기오염 개선, 야생동물 서식지 개선 등의 효과
- 그린루프는 건축물 심의결과에 따라 1㎡당 100~1,000캐나다달러(8만 ~80만 원), 쿨루프는 1㎡당 2~5캐나다달러(1,600~8,000원)를 지원
- 에코루프는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배출 감소, 열섬현상 감소, 빗물조절, 공기오염 개선, 야생동물 서식지 개선 등의 효과
- 생물다양성 그린루프 지침을 개발
- 그린루프 설치가 건축물의 개선뿐 아니라 생물다양성 증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관련 지침을 보완
정책 효과
- 이주민 증가와 맞물려 도시 집중화 현상이 일어난 토론토시는 도시 내 녹지공간 축소, 열섬현상 발생, 탄소배출 증가 등 다양한 환경문제가 발생
- 시정부가 그린루프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만들고 재정을 지원한 결과 2016년에는 북미 전체에서 그린루프 면적이 가장 넓은 도시가 되었음
- 에너지사용 효율성을 늘려 지속가능한 개발과 경제성장에 도움을 주는 한편, 도시경관 개선 등 환경문제 해결에도 이바지
https://www.toronto.ca/city-government/planning-development/official-pla...
https://greenroofs.org/green-roof-industry-survey
고한나 통신원, hannahko030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