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여성들의 첫 일자리는 어떠한가?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10/16/2017 - 09:40등록일:
2017.10.16
조회수:
2864
비정규직 취업 이유 ‘막연히 취업준비를 하는 것보다 실무경력을 쌓기 위해’
- 서울시 청년여성들(20세~34세)은 첫 일자리를 얻기까지 8개월의 구직기간을 거치며, 취업 후 평균 24개월 근속
- 첫 일자리의 평균 근로시간은 주당 44시간, 월 임금은 150만 원 수준이며,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66.2%, 비정규직이 33.8%
- 비정규직 취업 이유는 ‘막연히 취업준비를 하는 것보다 실무경력을 쌓기 위해서’(28.4%)와 ‘경제적인 이유로 뭐라도 해야 해서’(28.1%)가 많아
첫 일자리 고용형태가 정규직이고, 평균 임금이 높을수록 근속연수가 길어
- 청년여성 중 ‘첫 일자리에 여전히 근무 중’인 비율은 24.8%에 불과하며, ‘첫 일자리에서 이직 후 취업 중’이 56.6%로 절반 이상을 차지
- 첫 일자리 퇴사 이유는 48.5%가 ‘근로조건’이라고 응답, 그다음은 ‘계약만료 또는 회사형편’(24.6%), ‘장래성이나 발전가능성이 없어서’(23.1%) 순
- 첫 일자리의 임금이나 고용 안정성이 높으면 계속 머무를 가능성이 높아
표 1. 첫 일자리 고용 현황
구분 | 고졸 | 2~3년제 대학졸업 |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 전체 평균 |
---|---|---|---|---|
평균 구직기간 (개월) | 8.88 | 6.43 | 8.54 | 8.19 |
평균 근속기간 (개월) | 20.30 | 21.54 | 26.76 | 24.3 |
평균 임금 (만 원/월) | 126.2 | 134.46 | 165.21 | 150.53 |
평균 근로시간 (주/시간) | 44.53 | 44.47 | 44.88 | 44.72 |
주: 서울시 거주 청년여성(20세~34세) 중 첫 직장(주당 30시간 이상 3개월 간 근무) 경험이 있는 1,000명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학력, 직업군, 연령 할당 표집)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6, 「청년여성 첫 일자리 실태조사」
표 2. 첫 일자리 고용 형태 (단위:%)
구분 | 고졸 | 2~3년제 대학졸업 |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 전체 평균 |
---|---|---|---|---|
정규직 | 51.6 | 74.1 | 68.9 | 66.2 |
비정규직 | 48.4 | 25.9 | 31.1 | 33.8 |
합계 | 100.0 | 100.0 | 100.0 | 100.0 |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6, 「청년여성 첫 일자리 실태조사」
표 3. 첫 일자리 비정규직 취업 이유 (단위:%)
구분 | 막연히 취업준비를 하는 것보다 실무경력을 쌓기 위해 | 경제적인 이유로 어떤 일이라도 해야 해서 | 원하는 일을 준비하기 위한 경험이 필요해서 | 원하는 일이 대부분 비정규직밖에 없어서 | 구직기간이 길어질수록 부모님 등 집안 눈치가 보여서 | 조직생활에 얽매이기 싫어서 | 합계 |
---|---|---|---|---|---|---|---|
비율 | 28.4 | 28.1 | 19.7 | 12.3 | 10.0 | 1.6 | 100.0 |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6, 「청년여성 첫 일자리 실태조사」
표 4. 첫 일자리 이후 현재 재직 상태 (단위:%)
구분 | 취업 중 | 실업 중 | 합계 | |
---|---|---|---|---|
첫 일자리가 현재 일자리 | 첫 일자리에서 이직 후 취업 중 | 첫 일자리에서 이직 후 실직상태 | ||
비율 | 24.8 | 56.6 | 18.6 | 100.0 |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6, 「청년여성 첫 일자리 실태조사」
표 5. 첫 일자리 퇴사 이유 (중복응답) (단위:%)
구분 | 근로조건(임금, 근로환경) | 계약만료/ 회사형편 | 장래성이나 발전가능성이 없어서 | 업무가 적성/능력에 맞지 않아서 | 새로운 분야로 진출 | 그냥 쉬고 싶어서 | 체력의 한계/단순반복업무 | 경직된 조직문화/ 상사와갈등 | 부당한 대우(특정업무 배제,성희롱) | 결혼,육아, 가족 돌봄 등의 이유 |
---|---|---|---|---|---|---|---|---|---|---|
비율 | 48.5 | 24.6 | 23.1 | 21.9 | 21.4 | 16.1 | 13.3 | 12.0 | 7.6 | 3.9 |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6, 「청년여성 첫 일자리 실태조사」
표 6. 첫 일자리 근속기간에 따른 현황
구분 | 1~6개월 | 7~12개월 | 13~24개월 | 25개월 이상 |
---|---|---|---|---|
고용형태 | 1.58 | 1.45 | 1.30 | 1.14 |
평균 임금(만 원/월) | 131.9 | 139.5 | 148.4 | 171.3 |
주: 고용형태는 1에 가까울수록 정규직, 2에 가까울수록 비정규직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6, 「청년여성 첫 일자리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