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감염병 주범, 모기 활동 미리 알 수 없을까?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06/26/2017 - 09:522012년 이후 모기 개체 수, 모기로 인한 감염병 환자 모두 증가
- 모기로 인한 서울시 감염병 환자는 2011년부터 6년간 총 911명으로 연평균 151.8명 발생
- 최근 6년간 감염병의 종류는 말라리아가 53.6%로 가장 많고 그다음은 뎅기열(40.9%), 일본뇌염(4.5%) 순
- 모기로 인한 감염환자와 감염병을 일으키는 모기 개체 수는 2012년 이후 지속 증가
작년 한 해, 모기 피해 최고인 불쾌단계는 총 12일, 6월‧9월 집중
- 서울시는 모기피해를 줄이고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2014년 4월부터 일일모기예보제 시스템 도입
- 2016년 모기활동 모니터링 결과, 주의단계는 57일, 불쾌단계는 12일이었고 불쾌단계는 6월과 9월에 집중
- 작년 한 해 5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모기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날은 9월 11일
표 1. 모기로 인한 서울시민 감염 현황 (단위 : 명, %)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합계 | 2011~2016 | |
---|---|---|---|---|---|---|---|---|---|
비율 | 연평균 | ||||||||
말라리아 | 93 | 66 | 45 | 96 | 91 | 97 | 488 | 53.6 | 81.3 |
뎅기열 | 26 | 34 | 80 | 45 | 92 | 96 | 373 | 40.9 | 62.2 |
일본뇌염 | 0 | 3 | 1 | 11 | 10 | 16 | 41 | 4.5 | 6.8 |
치쿤구니야열 | 0 | 0 | 0 | 0 | 1 | 3 | 4 | 0.4 | 0.7 |
지카바이러스 | 0 | 0 | 0 | 0 | 0 | 5 | 5 | 0.5 | 0.8 |
합계 | 119 | 103 | 126 | 152 | 194 | 217 | 911 | 100.0 | 151.8 |
주 : ① 말라리아 : 말라리아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발생하는 급성 열성 전염병, ② 뎅기열 :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발생하는 급성 열성 바이러스 질환, ③ 일본뇌염 :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집모기에 물려 발생하는 급성 중추 신경계 질환, ④ 치쿤구니야열 :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의해 발생하는 유행성 열성 감염병 ⑤ 지카바이러스 : 지카 바이러스를 보유한 모기(숲모기)에 물려 생기는 감염성 질환 자료 :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웹통계시스템
표 2. 서울시 감염병을 일으키는 모기 채집 현황 (단위 : 건)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합계 |
---|---|---|---|---|---|---|---|
말라리아 매개 모기 | 4 | 25 | 29 | 20 | 38 | 41 | 157 |
뎅기열‧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매개 모기 | 2 | 9 | 0 | 10 | - | 18 | 39 |
합계 | 6 | 34 | 29 | 30 | 38 | 59 | 96 |
주 : 1)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모기종의 단순 채집을 의미, 채집된 모기가 최종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인지는 알 수 없음 2) 서울시 채집 모기 중 전염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모기종을 의미, 말라리아 매개 모기는 ‘가중국·중국얼룩날개모기’,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매개 모기는 ‘흰줄숲모기’를 말함 자료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오늘의 모기예보 (서울시 유문등 채집모기 현황)
표 3. 서울시 일일모기예보제 내용
구분 | 모기활동지수 | 모기 활동 정도 | 내용 |
---|---|---|---|
쾌적단계 | 0~250 | 야외 모기 활동 거의 없음 | 생활주변 모기 유충 서식지를 관찰, 모기 침입통로 미리 보완 |
관심단계 | 251~500 | 야외 모기 유충 서식지 20% 이내로 형성 | 방충망·정화조의 틈새 확인, 버려진 용기나 헌 타이어 고인 물 제거 |
주의단계 | 501~750 | 야외 모기 유충 서식지 20~50% 범위로 형성 | 모기장‧모기 기피제 사용, 모기 유충의 서식지 발견되면 보건소 신고 |
불쾌단계 | 751~1,000 | 야외 모기 유충 서식지 50~100% 범위로 형성 | 되도록 야간 활동은 자제, 취침 2시간 전 전자모기향 사용 |
주 : 모기활동지수는 서울 전역에 설치된 총 50대 디지털 모기 측정기를 통해 수집한 모기포집자료를 기술통계량으로 자료 형태를 파악한 후 모기 생태에 영향을 미치는 최고온도, 최저온도, 상대습도 등 기상청의 기상 값을 가공하여 예측산식을 만든 후, 최근의 기온값을 대입, 예측 후 산출 자료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오늘의 모기예보
표 4. 서울시 일일모기예보제 단계별 현황
2016년 | 일수 | 비율 | 모기활동 최고일 | 단계별 해당 월(일수) |
---|---|---|---|---|
쾌적단계 | 80 | 33.1 | 249.6 (5월 9일) | 5월(6일), 10월(15일), 11월(29일), 12월(30일) |
관심단계 | 93 | 38.4 | 499.0 (9월 3일) | 5월(20일), 6월(2일), 7월(21일), 8월(30일), 9월(6일), 10월(14일) |
주의단계 | 57 | 23.6 | 743.2 (9월 14일) | 5월(5일), 6월(23일), 7월(10일), 8월(1일), 9월(16일), 10월(2일) |
불쾌단계 | 12 | 5.0 | 821.4 (9월 11일) | 6월(5일), 9월(7일) |
합계 | 242 | 100.0 | - | - |
자료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오늘의 모기예보 2016년 자료 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