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 첫 집 마련, 서울에서 몇 년 걸릴까?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06/12/2017 - 10:38등록일:
2017.06.12
조회수:
3692
서울 가구주 절반은 생애최초주택 마련, 기존주택 구입이 75.5%
- 2016년 서울 거주 가구 절반가량(50.7%)은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최초주택 마련 경험이 있으며, 그중 절반은 생애최초주택에 계속 거주 중
- 생애최초주택 마련 방법은 기존주택 구입이 75.5%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신규주택 분양 또는 구입이 16.1%, 증여나 상속이 7.8% 순
생애최초주택 마련까지 기간은 10년 이상이 33.2%, 평균 4회 이사 후 마련
-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최초주택 마련까지 소요 연수는 10년 이상이 33.2%였으나, 1년 미만이라는 응답도 26.1%로 그다음을 차지
- 생애최초주택 마련까지의 이사 횟수는 이사한 적 없음(가구주가 되면서부터 자가 거주)이 25.8%로 가장 많고, 이어 5회 이상이 22.1%, 2회가 18.0%로 이사 경험이 있는 가구의 평균 이사 횟수는 4회
생애최초주택의 사용면적은 60㎡~85㎡가 37.5%로 가장 많아
- 생애최초주택 사용면적(전용면적 기준)은 60㎡~85㎡가 37.5%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은 40㎡~60㎡ 25.4%, 102㎡~135㎡ 16.0% 순
표 1. 생애최초주택 마련 경험 (단위: %)
주택마련 경험 있음 | 주택마련 경험 없음 | 계 |
---|---|---|
50.7 | 49.3 | 100.0 |
자료: 국토교통부,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전체 표본 20,133가구 중 서울 표본은 3,872가구이며,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임)
표 2. 현재 생애최초주택 거주 여부 (단위: %)
거주 중 | 거주하지 않음 | 계 |
---|---|---|
46.4 | 53.6 | 100.0 |
자료: 국토교통부,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전체 표본 20,133가구 중 서울 표본은 3,872가구이며,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임)
표 3. 생애최초주택 마련 방법 (단위: %)
기존 주택 구입 | 신규주택 분양 또는 구입(재건축 포함) | 증여나 상속 | 개인주택을 신축 | 기타 | 계 |
---|---|---|---|---|---|
75.5 | 16.1 | 7.8 | 0.6 | 0.1 | 100.0 |
자료: 국토교통부,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전체 표본 20,133가구 중 서울 표본은 3,872가구이며,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임)
표 4. 생애최초주택 마련 소요 연수 (단위: %)
1년 미만 | 1년~2년 | 2년~3년 | 3년~5년 | 5년~10년 | 10년 이상 | 계 |
---|---|---|---|---|---|---|
26.1 | 3.5 | 5.6 | 10.2 | 21.4 | 33.2 | 100.0 |
자료: 국토교통부,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전체 표본 20,133가구 중 서울 표본은 3,872가구이며,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임)
표 5. 생애최초주택 마련 전 이사 횟수 (단위: %)
이사한 적 없음 | 이사한 적 있음 | ||||||
---|---|---|---|---|---|---|---|
소계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이상 | 평균(회) | |
25.8 | 74.2 | 12.0 | 18.0 | 15.3 | 6.9 | 22.1 | 4.0 |
자료: 국토교통부,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전체 표본 20,133가구 중 서울 표본은 3,872가구이며,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임)
표 6. 생애최초주택 사용면적(전용면적) (단위: %)
40㎡ 이하 | 40㎡~60㎡ | 60㎡~85㎡ | 85㎡~102㎡ | 102㎡~135㎡ | 135㎡ 초과 | 모름/무응답 | 계 |
---|---|---|---|---|---|---|---|
5.2 | 25.4 | 37.5 | 12.3 | 16.0 | 3.6 | 0.1 | 100.0 |
자료: 국토교통부,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전체 표본 20,133가구 중 서울 표본은 3,872가구이며,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