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포용적 학교만들기 정책 본격 시행(호주 빅토리아州)
등록일:
2016.03.23
조회수:
552
- 호주 빅토리아州는 학교를 장애인 포용적인 교육환경으로 변모시키기 위해 장애인 교육정책인 ‘특수 요구 계획(Special Needs Plan)’을 수립
- ‘특수 요구 계획’은 기존 ‘장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에 따라 장애인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 교사 지원, 학교의 물리적 환경개선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
주요 프로그램
- 포용 교육상(Outstanding Inclusive Education Award)
- 이 상은 공립학교를 대상으로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학교 교육 참여, 복지향상을 위한 노력을 인정하기 위해 제정됨.
- 장애인 친화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혁신과 변화를 실행한 학교를 대상으로 심사를 거쳐 수상자 발표
- 상금은 2만 5천 호주달러(약 2,300만 원)임.
- 포용교육담당관(Principal Practice Leader) 신설
- 담당관은 학교의 장애인 포용실태를 점검하고 격리교육 등 비포용적인 교육 관행의 존재 여부 등을 조사
- 조사결과에 따라 개별학교의 교사와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직무교육의 필요성 검토
- 현행 법령, 정책, 지침 등의 개선작업을 주도
- ‘포용적 학교 기금’의 설치
- 학교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포용적 학교 기금(Inclusive Schools Fund)’을 조성하여 앞으로 4년 동안 1천만 호주달러(약 90억 원)를 지원
- 기금은 학교의 신청에 따라 1만 5천 호주달러(약 1,350만 원)에서 최대 2만 호주달러(약 1,800만 원)까지 지원됨.
- 지원금은 시설의 현대화, 장애인의 이동성 개선, 접근성 향상 등에 사용
- 장애인 교육지원 시스템(ABLES) 구축
- ABLES(Abilities Based Learning and Education System)는 장애인 학생의 학습능력에 기반을 둔 교육지원 프로그램으로, 장애인의 교육성취를 평가하여 개별화된 접근을 가능하게 함.
- 이 프로그램은 교사들이 평가결과에 따라 학습개선 계획을 수립하고 학업성취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임.
- 교사의 역량 강화
- 모든 교사는 매년 포용적 교육에 관한 직무연수에 참여해야 함.
- 대학 교과과정에도 장애인 학생을 가르치는 실습과정을 도입할 계획임.
http://www.premier.vic.gov.au/making-schools-more-inclusive-in-the-educa...
http://www.education.vic.gov.au/about/department/Pages/specialneeds.aspx...
http://www.education.vic.gov.au/about/department/Pages/inclusiveschools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