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택 서비스·공급체계 혁신 10개년 계획 마련 (호주 뉴사우스웨일즈州)
등록일:
2016.02.22
조회수:
671
- 호주 뉴사우스웨일즈州는 사회주택 운영의 새로운 전형을 확립하고자 사회주택의 서비스 및 공급체계 개선 프로그램인 ‘사회주택의 미래(Future Directions for Social Housing in NSW)’를 2016년부터 10년간 운영
- 이 프로그램은 2025년까지 사회주택 시스템을 변모시킬 전략과 실행계획 등을 담고 있음.
도입배경
- 사회주택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로 현재 대기자 수가 6만 가구에 이름.
- 10년 이상 장기 거주자가 전체의 50% 이상이며 이 중 상당수가 자립잠재력이 있는 가구로 추정됨.
프로그램의 목적
- 사회주택의 빈곤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회주택 거주자를 ‘사회안전망 계층’과 ‘기회 계층’으로 구분하여 차별적으로 접근
- 사회안전망 계층: 장애인, 노인, 정신질환자 등 장기간 사회주택의 서비스와 지원이 필요한 계층
- 기회 계층: 사회주택과 정부의 지원을 활용하여 독립적인 사회참여가 가능한 계층
- 자립잠재력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자립능력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들에게 사회적, 경제적 참여기회를 제공하여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목표
- 사회주택과 어포더블 하우징(affordable housing)의 공급 확대
- 저소득계층이 민간주택을 임대할 때 주거비 지원 확대
-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 비영리 지역사회주택공급자(community hou-sing providers)들의 서비스 능력 제고 및 이들 간의 서비스 경쟁 촉진
- 취약계층(disadvantaged people)의 사회주택 집중화 방지 및 사회주택 거주자의 사회·경제·문화적 다양성 확대
전략 및 실행계획
- 민관협력을 통한 사회주택의 공급 확대
- 정부 소유의 사회주택 35%를 비영리 지역사회 섹터(non-profit commu-nity sector)로 이전하고, 민간 및 비정부 섹터와 협력하여 신규로 23,000가구의 사회주택을 공급
- 사회주택을 대규모로 공급하기 위해 토지공사와 협력하여 재개발 추진
- 사회주택의 집중화를 막기 위해 재개발로 공급되는 사회주택단지는 민간주택과 사회주택의 비율이 7:3이 되도록 계획
- 사회주택 거주의 장기화 방지
- 주택자립 지원을 위한 교육·취업 프로그램 운영 및 민간 저가주택으로 이전 촉진
- 민간주택의 임대료 보조를 받는 가구를 현재 27,000가구에서 37,000가구로 확대
- 민간주택으로의 이전은 아동이나 청소년이 있는 가구를 우선적으로 하여 아동빈곤에 대처
- 사회주택의 환경 및 생활 개선
- 사회주택의 서비스, 시설, 안전 등에 대한 만족도 조사
- ‘지역사회 개선기금(Community Improvement Fund)’의 신설
- 사회주택의 기반시설과 공원 개선
-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안전 및 편의시설 개선
향후 전망
- 주정부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주택 시스템의 질적인 변화를 기대
- 또한 정부 부처 간, 공공 및 민간 섹터 간 협력과 혁신에 기반을 둔 새로운 사회주택의 공급 및 관리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전망
https://www.nsw.gov.au/news/social-housing-boost
http://www.socialhousing.nsw.gov.au/?a=348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