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런던 올림픽의 사회경제적 효과 조사 보고서 발표 (런던市)
등록일:
2013.11.04
조회수:
3375
○ 런던市는 약 93억 파운드(약 16조원)의 예산이 투입된 2012년 런던 올림픽의 사회경제적 편익을 분석한 보고서를 2013년 7월 발표함. 이 보고서는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2012년 런던 올림픽의 효과를 사회경제적 측면, 시민의식 측면, 정책 시사점 측면에서 조사하였음.
-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는 올림픽과 관련 행사가 런던의 산업, 주거, 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을 어떻게 가속시켰는지를 분석함.
- 보고서에 따르면 올림픽이 개최된 해인 2012년에 약 61,750에서 76,050명의 런던시민이 올림픽과 관련되어 고용되었으며, 올림픽을 통해 2005년부터 2017년까지 런던에서 약 68억 파운드(약 10조 8천억원)의 추가적인 GDP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됨.
- 또 런던 올림픽은 런던 전역에 걸쳐 주택 공급을 촉진시켰고, 런던 교통 인프라 구축 기간을 13개월 단축시켰음. 그리고 관광산업의 경우 2017년까지 약 12억 파운드(약 2조 6백억 원)의 추가 수입이 발생될 것으로 추정됨.
- 시민의식 측면에서는 런던시민을 크게 네 그룹으로 분류하여 올림픽과 관련 행사를 통해 얻은 다양한 경험이 런던 시민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분석함.
- 조사결과, 96%의 런던시민이 올림픽 개최가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예상했으며, 63%의 런던시민이 올림픽으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거나 긍정적인 행동의 변화를 경험하였다고 응답함.
- 정책 시사점 측면에서는 올림픽 및 관련 행사의 성공 배경을 분석하고, 추후 이러한 대형 이벤트 및 공공사업의 운영에 대한 네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아래와 같이 제시함.
- 정치적 리더십과 파트너십 : 다양한 정책분야에 걸친 파트너십과,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투자가 올림픽 개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바탕에는 정책 결정권자 및 이해당사자들의 강력한 추진 의지가 큰 역할을 했음.
- 높은 목표 설정 : 올림픽 계획 초기 단계에서부터 올림픽 개최뿐만 아니라 거버넌스, 지속가능성, 다양성, 사회통합 등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함.
- 통합된 결과 추구 : 올림픽 개최 및 추후 개최지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 다양한 영역의 발전을 올림픽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추진함.
- 계획 실행 보장 : 올림픽 준비 및 프로그램에 대한 계획을 사전에 체계적으로 투명한 절차에 의해 수립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행을 전략적으로 보장하여 올림픽 개최 및 추후 개최지 활용으로 인한 효과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냄.
http://www.london.gov.uk/priorities/planning/publications/london-2012-games-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