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기질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식 정도는?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02/18/2013 - 22:57등록일:
2013.02.18
조회수:
4417
실내공기질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식은?
- 나쁜 냄새를 실내공기 오염과 동일시 하는 경향
수도권지역 일반가구에 대한 실내 오염물질 점검결과
- 총휘발성유기화합물(160가구) > 미세먼지(107가구) > 포름알데히드(84가구) > 집먼지진드기(62가구) > 곰팡이(41가구) 순으로 검출 -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집먼지진드기는 아토피 피부염, 호흡기계 및 알레르기성 질환 등 환경성 질환 유발 물질
서울시민이 현재 살고 있는 주택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에 대해
- ‘음식냄새’65.2%,‘배관악취’43.6%,‘쓰레기’43.0% 순 - 나쁜 냄새를 실내공기 오염의 원인과 동일시하는 경향 - 무취한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라돈 등 실내오염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탓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 ‘자연환기실시’ 84.7%, ‘청소’ 76.3%, ‘국소환기팬사용’ 43.7%, 순 - ‘방향제 사용’도 40.3%로서 실내공기오염을 단순히 나쁜 냄새로 인식하는것과 일맥상통 - 여름철에는 일 3회, 회당 2시간 자연환기를 하나, 겨울철에는 일 1.5회, 회당 25분에 그쳐, 실내공기질 개선에 부족함
<표 1> 실내공기의 오염 원인 및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단위 : 명, %)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 | 응답자수 | 비율 |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 응답자수 | 비율 | |
---|---|---|---|---|---|---|
음식냄새 | 2,016 | 65.2 | 자연환기실시 | 2,616 | 84.7 | |
배관악취 | 1,350 | 43.6 | 청소 | 2,358 | 76.3 | |
쓰레기 | 1,329 | 43.0 | 국소환기팬사용 | 1,350 | 43.7 | |
자동차 | 1,299 | 42.0 | 방향제사용 | 1,245 | 40.3 | |
연소시설 | 1,272 | 41.1 | 참숯/나무배치 | 951 | 30.8 | |
의류/침구 | 957 | 30.9 | 공기청정기사용 | 813 | 26.3 | |
담배연기 | 921 | 29.8 | 친환경생활용품사용 | 303 | 9.8 | |
건축자재및마감재 | 810 | 26.2 | 기계환기설비설치 | 150 | 4.9 | |
유지관리용품 | 561 | 18.1 | 친환경건축자재시공 | 105 | 3.4 | |
전기・전자제품 | 480 | 15.5 | 없음 | 51 | 1.7 | |
애완동물 | 441 | 14.3 | 기타 | 21 | 0.7 | |
카페트 | 330 | 10.7 | ||||
가구 | 309 | 10.0 | ||||
기타 | 606 | 19.6 |
주) 해당 질문에 대한 중복응답이므로 비율의 합이 100이 아님 자료 : 서울연구원(2012), “서울시 주택의 실내공기질 개선 방안”
<표 2> 계절별 자연환기 실태 (단위 : %, 회, 분)
0회 | 1회 | 2~3회 | 4회 이상 | 평균 | ||
---|---|---|---|---|---|---|
횟수 | 시간 | |||||
여름철 | 1.3 | 40.0 | 42.0 | 16.8 | 2.7 | 121.7 |
겨울철 | 3.7 | 61.9 | 32.3 | 2.1 | 1.5 | 23.8 |
자료 : 서울연구원(2012), “서울시 주택의 실내공기질 개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