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州의 차세대 전자정부 포털 구축
<div align="justify"><font color="#428AA2"><b><주요 내용></b></font>
○ 미국 캘리포니아州는 ‘California In-Touch’(www.cio.ca.gov)라는 정보기술 전략계획(California State Information Technology Strategic Plan)에 의거해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기반의 차세대 전자정부 포털을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있음.
- 2007년 1월에 州정부 홈페이지를 재설계해 서비스를 개시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계획 중이며, 州정부 내 기관 홈페이지 개선은 2007년 11월까지 완료할 계획임.
<div align="right"><div align="justify" style="width:555;">• 사이트맵 프로토콜이라는 개방형 표준기술을 활용해 10만 개에 달하는 州정부 웹페이지를 구글이나 MSN, 야후 등 민간 포털의 검색엔진에 완전히 노출함으로써 시민의 정보 접근성을 극대화했음. </div></div>
- 캘리포니아州 정부 포털의 고객 지향적 서비스 개발의 목표는, 어느 정부기관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필요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 어느 정부 사이트를 방문해야 하는지를 시민이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도록 해야 한다는 것임.
<div align="right"><div align="justify" style="width:555;">• 이를 위해서는 단위 정부기관 간의 정보 및 서비스 공유가 가능하도록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州정부 포털이 게이트웨이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해야 함.
• 단위 정부기관 간의 협업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주요 기술적 요소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나 연합 포털(Federated Portal) 등 협업 중심 분산 컴퓨팅 기술이 고려되고 있음.</div></div>
<div align="center"><img src="/wold/trnd/world_nw_img/173-1.gif" border="0"></div>
○ 캘리포니아州는 시민과 기업, 다른 정부기관에 제공되는 州정부의 정보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가치, 비용 대비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한 고객 중심의 서비스 개혁을 달성하고자 2005년 11월에 정보기술 전략계획을 수립했으며 2010년까지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함.
- 지속적으로 개선 가능한 컴퓨팅 하부구조 구축, 인터넷 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고정형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 구축, 전사적 통합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구축,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 구축, 고객 중심의 행정 프로세스 개선 등 5개 주제를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중임.
<font color="#428AA2"><b><해설 및 평가></b></font>
- 캘리포니아州 정부의 차세대 전자정부 포털은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한 고객 중심의 총체적인 개혁을 목표로 함.
<div align="right"><div align="justify" style="width:555;">•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해 추가하는 수준을 벗어나 총체적인 개혁을 계획할 수 있었던 이유는, 확장성이 뛰어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정보기술의 표준화가 거의 완료됐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됨.</div></div>
- 시민에게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식의 콘텐츠 중심의 개발방식에서 나아가 어떻게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식의 서비스 제공 방식에 초점을 둠.
<div align="right"><div align="justify" style="width:555;">• 웹 서비스라는 분산형 웹 컴포넌트 표준을 활용해 정보의 무결성(無缺性)과 서비스의 재활용성을 높이며, 상황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춤으로써 신뢰도를 높이고자 함. 이러한 견지에서 내부 프로세스 개선 및 프로세스 모니터링이 하나의 큰 축으로 고려됨. </div></div>
<font color="#428AA2"><b><서울시정의 현황과 문제점></b></font>
- 서울시는 본청에서 관리하는 통합 홈페이지(www.seoul.go.kr) 외에도 실국/본부 홈페이지 및 각종 정보 제공용 홈페이지 등 180여 개의 전문 포털을 운영하고 있으며, 시민의 활용성을 높일 목적으로 2007년 6월에 대대적으로 홈페이지를 개편했음.
<div align="right"><div align="justify" style="width:555;">• 시민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메뉴를 새로 구성하고 정보체계를 개선했으며, 개인화 서비스 지원을 위해 ‘마이서울’ 서비스를 추가하고 시민 참여를 위해 RSS 등 웹 2.0 기술을 도입함. 2008년 말을 목표로 검색 디렉토리 정비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시민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div></div>
- 시민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에 그칠 것이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즉, 내부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이뤄져야 하나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div align="right"><div align="justify" style="width:555;">• 현재 내부 윤리행정 프로세스 혁신을 위해 업무 프로세스 관리시스템(BPMS: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을 도입할 계획이고, 다산 프로젝트를 통해 대(對)시민 서비스를 통합하고 일원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프로세스 혁신에 대한 노력은 부족한 실정임.</div></div>
<font color="#428AA2"><b><벤치마킹 시행방안></b></font>
○ 캘리포니아의 사례처럼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를 중심으로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경우 웹 컴포넌트의 재활용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정부기관 간의 경계를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이는, 서울시도 서울시 전자정부와 일선 구청의 전자정부 홈페이지를 사실상 의미론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계기가 됨으로써, 시민의 접근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음.
- 높은 비용과 위험요소를 수반하는 하향식 접근보다는 핵심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상향식 접근방식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
<div align="right"><div align="justify" style="width:555;">• 전체적인 수준에서의 구현전략 수립은 반드시 필요하며, ‘u-Seoul 마스터플랜’에 이를 반영함으로써 프로젝트 진행에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돼야 함.</div></div>
<font color="#428AA2"><b><벤치마킹 기대효과></b></font>
- 2000년대 들어 무계획적으로 난립하게 된 포털의 혼재로 인한 웹 스프롤(Web Sprawl) 현상으로 포털 관리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div>
<div align="right">/장무경 디지털도시부 부연구위원(<a href="mailto:mkjang@sdi.re.kr">mkjang@sdi.re.kr</a>)</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