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www.si.re.kr)

홈 > 서울시민 만성질환 실태와 식생활 위험요인 분석

서울시민 만성질환 실태와 식생활 위험요인 분석

  • Clipboard [1]
  • Facebook [2]
  • Kakao [1]
  • Twitter [3]
저자: 
김성아, 손창우, 서다람, 김정아
부서명: 
도시사회연구실
분량/크기: 
142Page
발간유형: 
기초
과제코드: 
2021-BR-11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4] (308.71 KB)
PDF icon 요약 [5] (496.99 KB)
PDF icon 원본 [6] (11.98 MB)

서울시민의 만성질환 예방·관리하려면
질환별 맞춤형 식생활 관리정책 펼쳐야

저소득층·여성 1인가구, 비만·고혈압·이상지질혈증 등 만성질환 유병률 높아

2010~2019년 10년간 서울시민의 비만, 고혈압, 당뇨, 고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LDL콜레스테롤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이상지질혈증, 대사증후군 등 9개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 실태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민의 유병률이 높은 만성질환은 이상지질혈증(36.0%), 비만(31.1%), 고혈압(25.3%) 등으로 확인됐다. 10년간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만성질환은 고콜레스테롤혈증(2010년: 10.1%, 2019년: 19.1%)과 고LDL콜레스테롤혈증(2010년: 10.0%, 2019년: 17.8%)이다. 서울시민의 식생활 중 지방섭취가 늘어나면서 전반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올라간 영향으로 유병률 변화가 있었다. 소득수준과 가구원 수에 따른 분석 결과, 가구소득 수준이 낮은 군에서 대부분의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고, 특히 남성보다 여성이, 가구소득 수준이 낮거나 1인가구일수록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았다. 이는 저소득층과 여성 1인가구의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대사증후군과 같은 만성질환을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저소득층·1인가구, 식품안정성 낮고 영양 결핍 등 가장 비건강한 식생활 특성

식생활은 만성질환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이면서, 가장 개선 가능한 위험요인이자 예방요인이다. 지난 10년간 서울시민의 식생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민 중 에너지와 지방을 과잉으로 섭취하는 사람은 늘어났고, 과일과 채소를 1일 권장량인 500g 이상으로 섭취하는 사람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에 따른 식생활 특성을 살펴보면, 20대는 하루 1회 이상 외식하는 사람이 많았고, 에너지·지방 과잉섭취자 분율과 영양섭취부족 분율이 모두 높은 양극화 문제를 가진 동시에 과일·채소 500g 이상 섭취자 분율이 가장 낮았다. 반면, 70대 이상에서는 원하는 식품을 충분히 다양하게 섭취하는 식품안정성 확보 비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소득수준별로 살펴보면, 가구소득이 가장 낮을 때 식품안정성 확보가구 분율이 낮고 영양섭취부족 분율이 높았다. 또한 과일·채소를 500g 이상 섭취하는 분율도 낮은 것으로 확인돼 영양섭취 부족과 결핍, 불균형의 특성을 보였다. 1인가구는 하루 1회 이상 외식하는 비율이 높고, 식품안정성 확보가구 분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과일·채소 500g 이상 섭취자 분율과 건강식생활 실천율도 낮아 전반적으로 가장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 특성을 보였다. 

태그 입력: 
만성질환 [7]
식생활 [8]
식품안정성 [9]
식생활관리 [10]
식생활정책 [11]
식생활서구화 [12]
만성질환관리 [13]
만성질환유병실태 [14]
먹거리지원 [15]
건강관리서비스 [16]
 출처 표시 + 변경금지 [17]

저자의 다른 자료

  • 서울시 기후예산제 운영현황과 개선방향

    정책리포트

    서울시 기후예산제 운영현황과 개선방향

    유정민, 김정아

    2023.05.19
    [18]
  • 서울시 양육자의 양육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실태와 정책방향

    정책리포트

    서울시 양육자의 양육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실태와 정책방향

    김성아, 김정아

    2023.04.19
    [19]
  • 서울시 3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이행평가와 개선 방향

    연구보고서

    서울시 3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이행평가와 개선 방향

    최유진, 이소진, 김정아

    2023.03.17
    [20]

관련 자료

  • 서울시민의 만성질환 실태와 식생활 관리 정책방향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만성질환 실태와 식생활 관리 정책방향

    김성아, 김정아, 서다람

    2022.07.20
    [21]
  • 노인인구 증가로 사회서비스시설 확충 시활동지역·생활인구 고려한 수요분석 필요

    연구보고서

    노인인구 증가로 사회서비스시설 확충 시활동지역·생활인구 고려한 수요분석 필요

    윤민석, 문진영

    2019.01.18
    [22]

많이 본 연구보고서

  • 서울시 1인가구 외로움·사회적 고립 실태와 대응전략

    연구보고서

    서울시 1인가구 외로움·사회적 고립 실태와 대응전략

    김성아, 박민진, 김정아

    2022.07.26
    [23]
  • 2022 코로나시대 폐기물 통계: 동향과 쟁점

    연구보고서

    2022 코로나시대 폐기물 통계: 동향과 쟁점

    김고운, 이혜진

    2022.08.24
    [24]
  • 뉴노멀시대 미래도시 전망과 서울의 도시공간 발전방향

    연구보고서

    뉴노멀시대 미래도시 전망과 서울의 도시공간 발전방향

    김인희, 윤서연, 진화연, 변미리, 맹다미, 홍상연, 한지혜, 우영진

    2022.08.24
    [25]

연관 미디어

  • [SI pick] 서울시민의 만성질환과 식생활 위험요인 관계는? (4:22)

    영상이야기

    [SI pick] 서울시민의 만성질환과 식생활 위험요인 관계는? (4:22)

    2022.07.12
    [26]
  • 고지혈증 식단에  ‘쌀밥’, ‘우유’ 넣을까? 뺄까? (만성질환에 따른 식생활)

    카드뉴스

    고지혈증 식단에 ‘쌀밥’, ‘우유’ 넣을까? 뺄까? (만성질환에 따른 식생활)

    2022.04.27
    [27]
  • 1인 가구 연령대별 식생활은 어떠한가?

    서울인포그래픽스

    1인 가구 연령대별 식생활은 어떠한가?

    2020.03.30
    [28]
리스트 [29]

Source URL: http://www.si.re.kr/node/65499

Links
[1] http://www.si.re.kr/%23
[2]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3A%2F%2Fwww.si.re.kr%2Fnode%2F65499&t=%EC%84%9C%EC%9A%B8%EC%8B%9C%EB%AF%BC%20%EB%A7%8C%EC%84%B1%EC%A7%88%ED%99%98%20%EC%8B%A4%ED%83%9C%EC%99%80%20%EC%8B%9D%EC%83%9D%ED%99%9C%20%EC%9C%84%ED%97%98%EC%9A%94%EC%9D%B8%20%EB%B6%84%EC%84%9D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3A%2F%2Fwww.si.re.kr%2Fnode%2F65499&text=%EC%84%9C%EC%9A%B8%EC%8B%9C%EB%AF%BC%20%EB%A7%8C%EC%84%B1%EC%A7%88%ED%99%98%20%EC%8B%A4%ED%83%9C%EC%99%80%20%EC%8B%9D%EC%83%9D%ED%99%9C%20%EC%9C%84%ED%97%98%EC%9A%94%EC%9D%B8%20%EB%B6%84%EC%84%9D
[4] http://www.si.re.kr/si_download/65499/32148
[5] http://www.si.re.kr/si_download/65499/32149
[6] http://www.si.re.kr/si_download/65499/32150
[7] http://www.si.re.kr/taxonomy/term/25871
[8] http://www.si.re.kr/taxonomy/term/23742
[9] http://www.si.re.kr/taxonomy/term/20170
[10] http://www.si.re.kr/taxonomy/term/25872
[11] http://www.si.re.kr/taxonomy/term/25873
[12] http://www.si.re.kr/taxonomy/term/25874
[13] http://www.si.re.kr/taxonomy/term/25875
[14] http://www.si.re.kr/taxonomy/term/25876
[15] http://www.si.re.kr/taxonomy/term/25877
[16] http://www.si.re.kr/taxonomy/term/25162
[17]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3.do
[18] http://www.si.re.kr/node/67012
[19] http://www.si.re.kr/node/66957
[20] http://www.si.re.kr/node/66711
[21] http://www.si.re.kr/node/66218
[22] http://www.si.re.kr/node/60846
[23] http://www.si.re.kr/node/66227
[24] http://www.si.re.kr/node/66272
[25] http://www.si.re.kr/node/66268
[26] https://youtu.be/k_c-UHDgpzg
[27] http://www.si.re.kr/node/65948
[28] http://www.si.re.kr/node/63175
[29] http://www.si.re.kr/research_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