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www.si.re.kr)

홈 > 디지털경제시대 서울 웹툰산업 성장과 정책과제

디지털경제시대 서울 웹툰산업 성장과 정책과제

  • Clipboard [1]
  • Facebook [2]
  • Kakao [1]
  • Twitter [3]
저자: 
오은주, 김수진, 송태수
부서명: 
시민경제연구실
분량/크기: 
103Page
분류: 
정책
분류번호: 
2020-PR-40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4] (188.41 KB)
PDF icon 요약 [5] (664.98 KB)
PDF icon 원본 [6] (6.53 MB)

서울시, 창작토대 강화·수익화 증대로 웹툰 콘텐츠 가치 확장하는 전략 필요

웹툰, 디지털경제시대 만화시장의 새로운 콘텐츠·미래 먹거리로 부상

디지털 경제가 도래하면서 콘텐츠산업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과거 문화콘텐츠가오프라인 매장이나 고립형 매체로 소비되었다면 디지털 경제 시대에는 모바일·웹 등에서 자유롭게 어디서나 아무 때나 소비되는 시대가 되었다. 코로나19 상황의 ‘홈코노미’ 때문에 디지털 콘텐츠시장은 더욱 급성장하고 있으며, 그중 웹툰의 성장이 주목받고 있다.
세계 만화시장의 시계열 변화를 보면, 전체 시장이 2013년 이후 꾸준한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2013년 6,942 백만 달러, 2022년 7,274 백만 달러). 그중 세계 만화시장에서 웹툰 비중이 2013년 7.4%에서 2017년 12.8%, 그리고 2022년 18.5%로 급증하고 있어 웹툰이 미래 만화시장의 대세가 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제작 공정화·분업화, 플랫폼화, 에이전시 급증 등 웹툰 산업생태계 진화 중

웹툰 유료화 비즈니스 모델이 정착하면서 웹툰의 산업화가 정점에 이르고 있다. 웹툰 유료화 성공에 따라 웹툰 콘텐츠의 폭발적 증가, 웹툰 제작자 수의 급증과 상호 경쟁 가속, 그리고 전문화 등 웹툰 산업생태계에 새로운 관행과 새로운 주체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첫째, 웹툰콘텐츠 간 경쟁으로 웹툰 제작의 공정화와 분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콘텐츠 경쟁 심화에 따라 웹툰 작업량이 증가하면서 1인 작가 중심에서 팀 형태로 제작 공정이 다층화되고 있다. 창작 그룹 내에서도 다양한 관계가 형성 중이다. 둘째, 우리나라 대표 플랫폼인 카카오와 네이버가 웹툰 채널을 론칭하면서 이들 대형 플랫폼과 웹툰 전문 플랫폼(레진코믹스, 봄툰, 탑툰 등)이 병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셋째, 웹툰 제작의 정교화, 웹툰 제작과 플랫폼 간의 관계 설정 등으로 종래 에이전시의 역할 변화가 두드러진다. 에이전시는 2017년 32개에서 2019년 217개로 약 7배 가까이 증가했다. 더욱이 에이전시가 웹툰 창작자를 관리 지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웹툰 제작도 시작하며 웹툰 제작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태그 입력: 
디지털경제 [7]
디지털콘텐츠 [8]
웹툰콘텐츠 [9]
웹툰산업 [10]
서울웹툰 [11]
웹툰플랫폼 [12]
콘텐츠산업 [13]
홈코노미 [14]
만화시장 [15]
애니타운 [16]
상상산업 [17]
웹툰파트너스 [18]
콘텐츠마켓 [19]
 출처 표시 + 변경금지 [20]

저자의 다른 자료

  • 연구보고서

    2022년 1/4분기 서울지역 민생경제 체감경기 진단

    오은주, 유인혜

    2022.05.03
    [21]
  • 연구보고서

    [초연결사회x전환도시] 1. 생활방식의 전환 : 시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전환

    김원호, 김수진, 박민진, 장윤희

    2022.04.07
    [22]
  • 정책리포트

    1/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배달서비스 이용 현황

    오은주, 유인혜

    2022.03.28
    [23]

관련 자료

  • 연구보고서

    2021년 3/4분기 서울지역 민생경제 체감경기 진단

    오은주, 유인혜

    2021.11.02
    [24]
  • 연구보고서

    수도권 디지털경제 현황과 서울시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방향

    주재욱, 윤종진

    2020.04.10
    [25]
  • 정책리포트

    서울시 스마트미디어산업의 특성과 활성화방향

    오은주, 오승훈

    2019.05.02
    [26]

많이 본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2025 서울시 청년정책' 비전과 전략

    변금선, 김승연, 박민진, 이혜림

    2021.07.19
    [27]
  • 연구보고서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양재섭, 성수연

    2021.07.26
    [28]
  • 연구보고서

    지하철 무임승차제도, 지속가능성 확보하려면 운영손실 정부지원·운영기준 변경 검토 필요

    신성일, 이진학

    2021.07.13
    [29]

연관 미디어

  • 카드뉴스

    서울 웹툰작가 클라쓰

    2022.03.14
    [30]
  • 서울이슈큐레이터

    서울이슈큐레이터 - 1월의 주제 '뉴노멀 X 디지털 시대 서울의 생존전략'

    2021.01.27
    [31]
리스트 [32]

Source URL: http://www.si.re.kr/node/65292

Links
[1] http://www.si.re.kr/%23
[2]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3A%2F%2Fwww.si.re.kr%2Fnode%2F65292&t=%EB%94%94%EC%A7%80%ED%84%B8%EA%B2%BD%EC%A0%9C%EC%8B%9C%EB%8C%80%20%EC%84%9C%EC%9A%B8%20%EC%9B%B9%ED%88%B0%EC%82%B0%EC%97%85%20%EC%84%B1%EC%9E%A5%EA%B3%BC%20%EC%A0%95%EC%B1%85%EA%B3%BC%EC%A0%9C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3A%2F%2Fwww.si.re.kr%2Fnode%2F65292&text=%EB%94%94%EC%A7%80%ED%84%B8%EA%B2%BD%EC%A0%9C%EC%8B%9C%EB%8C%80%20%EC%84%9C%EC%9A%B8%20%EC%9B%B9%ED%88%B0%EC%82%B0%EC%97%85%20%EC%84%B1%EC%9E%A5%EA%B3%BC%20%EC%A0%95%EC%B1%85%EA%B3%BC%EC%A0%9C
[4] http://www.si.re.kr/si_download/65292/31664
[5] http://www.si.re.kr/si_download/65292/31665
[6] http://www.si.re.kr/si_download/65292/31666
[7] http://www.si.re.kr/taxonomy/term/24634
[8] http://www.si.re.kr/taxonomy/term/25745
[9] http://www.si.re.kr/taxonomy/term/25746
[10] http://www.si.re.kr/taxonomy/term/25689
[11] http://www.si.re.kr/taxonomy/term/25747
[12] http://www.si.re.kr/taxonomy/term/25748
[13] http://www.si.re.kr/taxonomy/term/21699
[14] http://www.si.re.kr/taxonomy/term/25749
[15] http://www.si.re.kr/taxonomy/term/25750
[16] http://www.si.re.kr/taxonomy/term/25751
[17] http://www.si.re.kr/taxonomy/term/25752
[18] http://www.si.re.kr/taxonomy/term/25753
[19] http://www.si.re.kr/taxonomy/term/25754
[20]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3.do
[21] http://www.si.re.kr/node/66037
[22] http://www.si.re.kr/node/65887
[23] http://www.si.re.kr/node/65859
[24] http://www.si.re.kr/node/65250
[25] http://www.si.re.kr/node/63206
[26] http://www.si.re.kr/node/62050
[27] http://www.si.re.kr/node/65059
[28] http://www.si.re.kr/node/65066
[29] http://www.si.re.kr/node/65055
[30] http://www.si.re.kr/node/65839
[31] http://www.si.re.kr/node/64407
[32] http://www.si.re.kr/research_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