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www.si.re.kr)

홈 > 3/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추석 경기 진단

3/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추석 경기 진단

  • Clipboard [1]
  • Facebook [2]
  • Kakao [1]
  • Twitter [3]
권호: 
제284호
발행일: 
2019-09-23
저자: 
최봉
다운로드
PDF icon 원본 [4] (2.25 MB)

서비스업생산은 소폭 증가, 제조업생산은 하락

2019년 2/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하며, 전 분기(0.1%)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제조업생산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7% 하락하는 등 최근 5개월 평균 증감률이 –5.3%로 하락세가 큰 편이다. 대표적 내수지표인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2019년 7월 전년 동월 대비 2.4% 하락했지만, 「백화점 판매액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2.2% 증가하였다. 7월 중 서울의 전체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에 비해 1.0% 증가한 515만 3천 명이며, 「청년층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보다 2.8% 증가한 88만 2천 명을 기록했다.

서울시민 체감경기는 전 분기보다 소폭 하락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19년 3/4분기 92.2로 전 분기 대비 0.5p 소폭 하락했다.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요소인 「현재생활형편지수」는 전 분기 대비 1.6p 하락한 84.4이며, 「미래생활형편지수」도 전 분기보다 0.6p 하락한 88.2를 기록했다. 「현재경기판단지수」는 전 분기 대비 1.1p 하락한 66.7, 「미래경기판단지수」는 전 분기보다 3.3p 하락한 76.2로 조사되었다. 「현재소비지출지수」는 111.7로 전 분기에 비해 3.1p 하락하였으며, 「미래소비지출지수」도 전 분기 대비 1.5p 하락한 94.6을 기록했다. 서울시민의 「주택 구입태도지수」와 「내구재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보다 소폭 상승하였다. 「순자산지수」와 「물가예상지수」는 하락하였지만, 「고용상황전망지수」는 전 분기에 이어 상승하였다.

추석 민생안정 대책 1순위는 ‘추석 성수품 물가 안정’

서울시민이 추석 민생안정을 위해 바라는 과제는 ‘추석 성수품 물가 안정’이 39.8%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소비심리회복’(26.1%), ‘취약 소외 계층 배려’(13.5%), ‘먹거리 안전 강화’(1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석의 예상 지출액은 ‘20만~50만 원 미만’이 37.7%로 가장 많았다. 추석 준비 때 가장 부담되는 비용은 ‘가족 및 친・인척 용돈’이 51.5%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추석 상차림비’(21.2%), ‘명절 선물비’(20.6%)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추석 상차림 제품 구입장소는 1순위 기준으로 ‘대형마트’가 52.9%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전통시장’(33.6%), ‘슈퍼마켓’(4.9%)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태그 입력: 
민생경제 [5]
민생경기동향 [6]
서울경기동향 [7]
체감경기 [8]
서울체감경기 [9]
소비자체감경기 [10]
csi [11]
추석경기 [12]
추석민생안정 [13]
생활형편 [14]
소비지출 [15]
 출처 표시 + 변경금지 [16]

저자의 다른 자료

  • 연구보고서

    '테스트베드 도시 서울' 실현 위한 실증지원사업 발전 방안

    최봉, 정현철

    2021.11.02
    [17]
  • 연구보고서

    2020년 4/4분기 서울지역 민생경제 체감경기 진단

    최봉, 유인혜

    2021.02.15
    [18]
  • 정책리포트

    4/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2021년 주요 경제 이슈

    최봉, 오승훈

    2020.12.24
    [19]

관련 자료

  • 연구보고서

    2022년 1/4분기 서울지역 민생경제 체감경기 진단

    오은주, 유인혜

    2022.05.03
    [20]
  • 정책리포트

    1/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배달서비스 이용 현황

    오은주, 유인혜

    2022.03.28
    [21]
  • 연구보고서

    2021년 4/4분기 서울지역 민생경제 체감경기 진단

    오은주, 유인혜

    2022.01.28
    [22]

많이 본 정책리포트

  • 정책리포트

    서울시 뇌병변장애인의 사회진출 현황과 지원 방안

    윤민석, 이영주, 임상욱

    2021.08.10
    [23]
  • 정책리포트

    서울시 재개발 해제지역의 현황과 안전관리

    신상영, 남현정

    2021.11.22
    [24]
  • 정책리포트

    창업 초기 기업 스케일업을 위한 서울시 창업지원정책 개선방향

    조달호, 유인혜

    2021.11.04
    [25]

연관 미디어

  • 서울이슈큐레이터

    서울이슈큐레이터 - 지금, 슬기로운 소비생활이 필요할 때

    2022.01.25
    [26]
  • 서울이슈큐레이터

    서울이슈큐레이터 특집호 - 코로나19, 지난 2년의 연구 기록

    2021.12.13
    [27]
  • 카드뉴스

    서울시민 4명 중 1명이 했다는 보복소비가 머니? Money?

    2021.04.09
    [28]
리스트 [29]

Source URL: http://www.si.re.kr/node/62461

Links
[1] http://www.si.re.kr/%23
[2]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3A%2F%2Fwww.si.re.kr%2Fnode%2F62461&t=3%2F4%EB%B6%84%EA%B8%B0%20%EC%84%9C%EC%9A%B8%EC%8B%9C%20%EC%86%8C%EB%B9%84%EC%9E%90%20%EC%B2%B4%EA%B0%90%EA%B2%BD%EA%B8%B0%EC%99%80%20%20%EC%B6%94%EC%84%9D%20%EA%B2%BD%EA%B8%B0%20%EC%A7%84%EB%8B%A8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3A%2F%2Fwww.si.re.kr%2Fnode%2F62461&text=3%2F4%EB%B6%84%EA%B8%B0%20%EC%84%9C%EC%9A%B8%EC%8B%9C%20%EC%86%8C%EB%B9%84%EC%9E%90%20%EC%B2%B4%EA%B0%90%EA%B2%BD%EA%B8%B0%EC%99%80%20%20%EC%B6%94%EC%84%9D%20%EA%B2%BD%EA%B8%B0%20%EC%A7%84%EB%8B%A8
[4] http://www.si.re.kr/si_download/62461/25540
[5] http://www.si.re.kr/taxonomy/term/21604
[6] http://www.si.re.kr/taxonomy/term/24221
[7] http://www.si.re.kr/taxonomy/term/24222
[8] http://www.si.re.kr/taxonomy/term/16841
[9] http://www.si.re.kr/taxonomy/term/24223
[10] http://www.si.re.kr/taxonomy/term/16758
[11] http://www.si.re.kr/taxonomy/term/21787
[12] http://www.si.re.kr/taxonomy/term/22706
[13] http://www.si.re.kr/taxonomy/term/24855
[14] http://www.si.re.kr/taxonomy/term/25171
[15] http://www.si.re.kr/taxonomy/term/24034
[16]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3.do
[17] http://www.si.re.kr/node/65249
[18] http://www.si.re.kr/node/64451
[19] http://www.si.re.kr/node/64284
[20] http://www.si.re.kr/node/66037
[21] http://www.si.re.kr/node/65859
[22] http://www.si.re.kr/node/65517
[23] http://www.si.re.kr/node/65093
[24] http://www.si.re.kr/node/65303
[25] http://www.si.re.kr/node/65257
[26] http://www.si.re.kr/node/65524
[27] http://www.si.re.kr/node/65414
[28] http://www.si.re.kr/node/64611
[29] http://www.si.re.kr/policy_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