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www.si.re.kr)

홈 > 공유경제 ‘주문형 근로자’ 보호대책 수립 (호주 빅토리아州)

공유경제 ‘주문형 근로자’ 보호대책 수립 (호주 빅토리아州)

  • Facebook [1]
  • Google Plus [2]
  • Twitter [3]
권호: 
제447호
분야: 
헤드라인뉴스

호주 빅토리아州는 공유경제의 확산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단기노동인 ‘주문형 근로’(On-demand Workforce)가 논란으로 부상하자, 노동자의 권리를 지키면서도 신산업이 제공하는 기회요인을 살리기 위한 실태조사에 착수함. 이 결과를 바탕으로 주문형 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관련 규제를 명확하게 하고, 건전한 ‘긱 이코노미’(Gig-Economy) 생태계를 확립하고자 함

배경: ‘긱 이코노미’의 등장과 논란

  • 긱 이코노미는 공유경제에서 주로 발견되는 새로운 경제・노동형태
    • 디지털 플랫폼 기반 사업체 등이 근로자를 고용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독립적인 근로자와 단기계약을 맺어 사용하는 노동형태를 지칭
      • 승차공유 서비스 우버(Uber), 주거공유 서비스 에어비엔비(AirBnB) 등의 공유경제에서 주로 발견
    • 근로자는 피고용인이 아닌 프리랜서의 지위로 회사와 계약을 하며, 정기적인 급여가 아니라 본인이 제공한 서비스와 실적에 따른 수수료를 받는 형태
  • 긱 이코노미의 확산에 따라 ‘주문형 근로’도 증가 추세
    • 긱 이코노미의 대표적 노동형태인 주문형 근로는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건별로 단기적 근로관계가 형성되는 구조
      • 전통적 고용시장과는 많은 점이 다른 새로운 노동시장
    • 2017년 기준 호주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약 8%가 독립계약 근로자로 분류
      • 하지만, 주문형 근로의 규정 자체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실제 긱 이코노미체계의 주문형 근로자 수는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실정
  • 긱 이코노미에 관한 상반된 입장이 대립 중
    • 긍정적인 점은 유연성과 자율성에 기반을 둔 근로관계를 제공하며, 소비자의 요구를 전달하고 충족시키기 쉬운 매력적 업무 구조를 지녔다는 점
      • 근로자는 언제 어떻게 업무를 수행할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고, 기술 발전으로 디지털 플랫폼이 소비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효과적으로 연결
    • 부정적인 측면은 피고용인이 일반적으로 누리는 소득과 고용의 안정, 재해보상, 유급휴가, 기업연금 등의 혜택이 전혀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
      • 회사는 최저임금을 지급할 책무가 없으며, 실제로 호주 온라인 배달업체 딜리버루(Deliveroo)의 배달원 4명 중 3명은 최저임금 이하의 소득을 버는 것으로 확인
      • 근로자에게 집단 협상력이 전혀 없기 때문에 서비스 건당 수수료율 등을 회사가 독단적으로 결정하기 쉬운 상황
  • 고용형태 논란으로 긱 이코노미에 대중의 관심이 증폭
    • 온라인 배달업체 푸도라(Foodora)가 사기성 근로계약으로 퇴출되는 사건 발생
      • 피고용인을 독립하청 계약으로 고용해 노동법상의 근로자보호 의무를 회피하고 저임금을 지급했다는 의혹으로 기소되어 시장에서 퇴출
    • 회사와 근로자가 사실상의 고용관계에 있었는지, 독립계약인지가 주요 쟁점
      • 판결에는 긱 이코노미의 근로계약이 노동법상의 근로자 보호 원칙에 위배된다는 정부의 입장이 반영
    • 이 사건으로 긱 이코노미와 주문형 근로에 대중의 이목이 집중
    • 하지만, 연방정부의 법・제도도 미정립 상태여서 주문형 근로자의 법적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상황
      • 근로자의 장비나 유니폼 지급, 기업연금 가입, 세금 등의 관련 세부 규정도 포함

주요 내용

  • ‘주문형 근로 실태조사’ 시행해 근로자의 법적 지위 확립
    • 일차적으로 주문형 근로의 이해도를 높이고, 최종적으로 주문형 근로자의 법적지위를 명확하게 할 목적
      • 주문형 근로자에게 재해보상, 기업연금, 산업안전 등의 근로자 보호법을 적용・집행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하고자 함
  • 근로자 보호 외에도 긱 이코노미의 기회요인과 위험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 현행 법규가 주문형 근로에 종사하는 노동시장 취약계층(저연령자, 저학력자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
    • 긱 이코노미가 소비자와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도로안전 등)
    • 근로자를 위한 보험 보장 의무와 주정부 세수에 미치는 영향​
    • 긱 이코노미가 다른 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다른 지자체의 주문형 근로자 보호 대책
    • 국제노동기구(ILO) 등 국제법에 따른 근로자 보호 체계
    • 새로운 고용 관계 정립에 요구되는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역할과 협력 관계
  • 실태조사에 앞서 ‘배경 보고서’를 발간해 이해당사자에게 관련 배경지식을 전달
    • 의견수렴 과정과 결과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주문형 근로와 관련된 주요 이슈에 관한 설명을 실태조사 참여자에게 제공
  • 실태조사 참여자의 입장에 따라 질문내용을 다르게 설계
    • 주문형 근로자, 소비자・지역사회, 업체가 각각의 경험과 입장이 반영된 다양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제작

      [표 1] 주문형 근로 실태조사 참여자별 설문 내용
      구분 주요 설문 내용
      주문형 근로자
      • 급여 수준, 근로 빈도
      • 주문형 근로 활동 계기
      • 전통적 근로관계와 주문형 근로관계의 차이
      • 회사가 계약 근로를 노동법 의무를 피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견해
      • 근로를 위한 훈련이나 직무 교육 여부
      • 업무 중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렸을 때 대처 방법
      • 기업연금 제공 여부
      소비자・지역사회
      • 주문형 경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
      • 주문형 경제 서비스의 이점
      • 불량 서비스를 받았을 경우 대처 방법
      • 주문형 근로자와 회사가 노동법 혹은 소비자 보호법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관심
      • 주문형 경제 서비스가 소비자와 지역사회에 미치는 위험 요인
      업체
      • 전통적 경제와 주문형 경제의 차이점
      • 주문형 경제 서비스의 지역별 편차(도심, 외곽)
      • 주문형 경제 업체의 이점 및 어려운 점
      • 주문형 근로자 관리체계(급여, 혜택, 규정 등)
      • 근로자와 협상하는 방법
      • 하청 계약 근로자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걱정이나 문제들
      [표 1] 주문형 근로 실태조사 참여자별 설문 내용 ​
  • 실태조사 후 피드백을 거쳐 다양한 관련 분야에 정식 정책제언 예정
    • 주정부는 2019년 후반까지 최종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

https://www.premier.vic.gov.au/have-your-say-about-the-gig-economy-in-vi... [4]
https://djpr.vic.gov.au/what-we-do/industrial-relations/inquiry-into-the... [5]
https://djpr.vic.gov.au/__data/assets/pdf_file/0011/1751258/11895-E4729-... [6]

정용문 통신원, jungraphael@gmail.com [7]

리스트 [8]

Source URL: http://www.si.re.kr/node/60969

Links
[1]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3A%2F%2Fwww.si.re.kr%2Fnode%2F60969&t=%EA%B3%B5%EC%9C%A0%EA%B2%BD%EC%A0%9C%20%E2%80%98%EC%A3%BC%EB%AC%B8%ED%98%95%20%EA%B7%BC%EB%A1%9C%EC%9E%90%E2%80%99%20%EB%B3%B4%ED%98%B8%EB%8C%80%EC%B1%85%20%EC%88%98%EB%A6%BD%20%28%ED%98%B8%EC%A3%BC%20%EB%B9%85%ED%86%A0%EB%A6%AC%EC%95%84%E5%B7%9E%29
[2] https://plus.google.com/share?url=http%3A%2F%2Fwww.si.re.kr%2Fnode%2F60969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3A%2F%2Fwww.si.re.kr%2Fnode%2F60969&text=%EA%B3%B5%EC%9C%A0%EA%B2%BD%EC%A0%9C%20%E2%80%98%EC%A3%BC%EB%AC%B8%ED%98%95%20%EA%B7%BC%EB%A1%9C%EC%9E%90%E2%80%99%20%EB%B3%B4%ED%98%B8%EB%8C%80%EC%B1%85%20%EC%88%98%EB%A6%BD%20%28%ED%98%B8%EC%A3%BC%20%EB%B9%85%ED%86%A0%EB%A6%AC%EC%95%84%E5%B7%9E%29
[4] https://www.premier.vic.gov.au/have-your-say-about-the-gig-economy-in-victoria
[5] https://djpr.vic.gov.au/what-we-do/industrial-relations/inquiry-into-the-victorian-on-demand-workforce#utm_source=economicdevelopment-vic-gov-au&utm_medium=vanity-url-301ssredirect&utm_content=on-demandinquiery&utm_campaign=what-we-do
[6] https://djpr.vic.gov.au/__data/assets/pdf_file/0011/1751258/11895-E4729-DEDJTR-IRV-On-Demand-Inquiry-Report_V6_WEB.pdf
[7] mailto:jungraphael@gmail.com
[8] http://www.si.re.kr/world_tr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