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www.si.re.kr)

홈 > 호주 최초로 도심림 확충·관리 지침 수립 (호주 멜버른市)

호주 최초로 도심림 확충·관리 지침 수립 (호주 멜버른市)

  • Clipboard [1]
  • Facebook [2]
  • Kakao [1]
  • Twitter [3]
권호: 
제365호
분야: 
환경/안전
멜버른市는 2014년 ‘도심림 전략(Urban Forest Strategy)’에 이어 실행계획의 하나로 ‘도심림 확충·관리 지침(How to grow an Urban Forest)’을 수립

배경

  • 멜버른시의 독특한 도시경관 재건
  • 도심림의 고령화와 고사(枯死)로 관리비용 증가
  • 도시 열섬 현상 등 환경변화에 잘 적응하는 나무로 변경할 필요
  • 멜버른시의 나무들은 적절한 관리 부재 시 10년 후 27%, 20년 후 44%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됨.

도심림 현황

  • 멜버른시에는 현재 9만여 그루의 나무가 있으며 이 중 보호를 받는 나무의 면적은 도심 전체면적의 22%에 달함.
  • 많은 나무가 수령 100년 이상으로 고령의 상태임.
  • 기후변화로 도심림 훼손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그늘 면적이 감소

도심림 재건을 위한 원칙과 전략

  • 도심림 재건을 위한 원칙
    • 도심림의 종류와 수명의 다양화를 통해 기후변화 등에 대비
    • 도심 열섬 현상 완화
    • 시민의 건강과 웰빙을 고려한 녹지 공간 설계
    • 생태학적 다양성 증가 및 건강한 생태계 조성
    • 효율적으로 도심림을 관리하기 위하여 빗물이나 지하수 등을 활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 도입
    • 도심림 연구 활성화 및 도시경관과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에 시민들의 참여 장려
  • 도심림 재건을 위한 실행 전략
    • 향후 2040년까지 도심림의 그늘 면적을 현재 22%에서 40%로 증가
    • 수목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특정 종(種)이 전체의 5%, 특정 속(屬)이 전체의 10%를 넘지 못하도록 식수(植樹) 설계
    • 기후변화에 적응력이 뛰어난 나무를 심고, 시의 모든 나무에 대해 매년 건강검진
    • 도심림 관리에 ‘물 순환 관리형 도시설계(water sensitive urban design)’ 방식을 도입하고 나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하여 토지습도 관리
    • 도시생태계 및 생태다양성 전략을 구축하고 도시화의 영향으로 감소하는 종을 보호
    • 도심림의 중요성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 제고 및 정책개발 과정에 시민들의 참여와 의견 수렴
  • 도심림 증가를 위한 세부지침
    • 지역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지역사회의 우선순위 파악
    • 지역 내 도심림 전략실행의 걸림돌을 파악하고 도심림의 혜택을 지방정부 정책의 주요 전략적 목표와 연계
    • 도심림 전략 실행의 필요성을 문서화하고 이를 지방정부 정책에 전달 및 반영
    • 도심림의 목록과 지역사회의 인식 등 각종 정보 및 가용한 자원 파악
    • 지역 내 도심림 현황 정보 수집 및 도심림 전략에서 제시된 목표치와의 편차 파악
    • 시각적 이미지와 매핑(mapping) 기법을 활용한 연구결과 제시 및 분석
    • 비전과 목표, 세부일정 등을 제시하여 지역사회 주민 및 정책담당자와 공유

http://www.melbourne.vic.gov.au/AboutCouncil/MediaReleases/Pages/Austral... [4]
https://www.melbourne.vic.gov.au/Sustainability/UrbanForest/Documents/Ur... [5]
http://202020vision.com.au/media/41948/urban-forest-strategy-workbook.pdf [6]

리스트 [7]

Source URL: http://www.si.re.kr/node/52694

Links
[1] http://www.si.re.kr/%23
[2]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3A%2F%2Fwww.si.re.kr%2Fnode%2F52694&t=%ED%98%B8%EC%A3%BC%20%EC%B5%9C%EC%B4%88%EB%A1%9C%20%EB%8F%84%EC%8B%AC%EB%A6%BC%20%ED%99%95%EC%B6%A9%C2%B7%EA%B4%80%EB%A6%AC%20%EC%A7%80%EC%B9%A8%20%EC%88%98%EB%A6%BD%20%28%ED%98%B8%EC%A3%BC%20%EB%A9%9C%EB%B2%84%EB%A5%B8%E5%B8%82%29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3A%2F%2Fwww.si.re.kr%2Fnode%2F52694&text=%ED%98%B8%EC%A3%BC%20%EC%B5%9C%EC%B4%88%EB%A1%9C%20%EB%8F%84%EC%8B%AC%EB%A6%BC%20%ED%99%95%EC%B6%A9%C2%B7%EA%B4%80%EB%A6%AC%20%EC%A7%80%EC%B9%A8%20%EC%88%98%EB%A6%BD%20%28%ED%98%B8%EC%A3%BC%20%EB%A9%9C%EB%B2%84%EB%A5%B8%E5%B8%82%29
[4] http://www.melbourne.vic.gov.au/AboutCouncil/MediaReleases/Pages/Australianfirstguideforurbanforestrylaunched.aspx
[5] https://www.melbourne.vic.gov.au/Sustainability/UrbanForest/Documents/Urban_Forest_Strategy.pdf
[6] http://202020vision.com.au/media/41948/urban-forest-strategy-workbook.pdf
[7] http://www.si.re.kr/world_tr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