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www.si.re.kr)

홈 > 수도권 지하철 노선 간 환승량 추정방법 개선

수도권 지하철 노선 간 환승량 추정방법 개선

  • Facebook [1]
  • Google Plus [2]
  • Twitter [3]
저자: 
김순관
부서명: 
교통시스템연구실
분량/크기: 
76Page
분류: 
기초
분류번호: 
2014-BR-07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4] (309.1 KB)
PDF icon 요약 [5] (413.87 KB)
PDF icon 원본 [6] (3.57 MB)
PDF icon 부록 [7] (1.88 MB)

교통카드 정보만으론 지하철 이용자 환승정보 알기 어려워

 

교통카드 시스템 도입으로 교통행태에 대한 파악이 용이해졌지만, 여전히 지하철 내부에서의 이동경로에 대해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지하철 노선 간 환승에 관한 정보는 수도권 통행실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이며, 서울시 교통수단분담률과 대중교통 운영기관 간 요금정산의 기초가 되는 정보이다. 현재 환승에 관한 정보는 서울의 지하철 운영기관인 서울메트로 및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해당 관할역에 대한 환승통행량만을 개별적으로 추정·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떤 요소를 기준으로 지하철 경로를 선택하는지 파악하여, 지하철 환승통행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통행경로 파악해야 하는 다중경로 이용자는 전체의 27.6%

본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한 Daum 네트워크 자료에서는 수도권 527개 역을 기반으로 한 출발-도착역(OD) 쌍 276,043개, 이용가능한 경로는 624,393개를 제공하고 있다. 출발-도착역(OD) 쌍에 비해 이용가능한 경로가 약 2.3배 정도 많은데 이는 동일한 출도착지에 대하여 1~5개의 대안경로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일한 출도착역을 기준으로 포털(Daum) 지하철 경로정보와 교통카드 정보를 결합(Matching)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경로의 67.5%가 다중경로(27.6만 개 경로 중 18.6만 개 경로)인 반면, 전체 이용자의 27.6%만이 다중경로를 이용(789만 명 중 218만 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그 입력: 
지하철 [8]
환승 [9]
환승통행량 [10]
통행경로 [11]
 출처 표시 + 변경금지 [12]

저자의 다른 자료

  • 단행본

    서울시 통행변화 20년 : 1996~2016

    김순관

    2021.01.27
    [13]
  • 연구보고서

    택시 DTG 데이터 이용한 OD 추정·활용방안

    김순관, 기현균

    2020.06.01
    [14]
  • 연구보고서

    서울시 교통유발부담금 제도 개선방안

    김순관, 장지은

    2019.01.02
    [15]

관련 자료

  • 연구보고서

    지하철 무임승차제도, 지속가능성 확보하려면 운영손실 정부지원·운영기준 변경 검토 필요

    신성일, 이진학

    2021.07.13
    [16]
  • 연구보고서

    [SeTTA] 서울시 도시철도 통합모빌리티 상시분석체계 구축방안

    신성일, 이창훈, 박세현

    2021.01.07
    [17]
  • 연구보고서

    도시철도·간선버스 간 환승보행환경 개선방안

    신성일, 이광훈

    2017.03.21
    [18]

많이 본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2025 서울시 청년정책' 비전과 전략

    변금선, 김승연, 박민진, 이혜림

    2021.07.19
    [19]
  • 연구보고서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양재섭, 성수연

    2021.07.26
    [20]
  • 연구보고서

    서울시 자치구별 시니어 일자리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윤민석, 신민철, 문진영, 이영주, 김성수, 변은지

    2021.06.22
    [21]
리스트 [22]

Source URL: http://www.si.re.kr/node/52556

Links
[1]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3A%2F%2Fwww.si.re.kr%2Fnode%2F52556&t=%EC%88%98%EB%8F%84%EA%B6%8C%20%EC%A7%80%ED%95%98%EC%B2%A0%20%EB%85%B8%EC%84%A0%20%EA%B0%84%20%ED%99%98%EC%8A%B9%EB%9F%89%20%EC%B6%94%EC%A0%95%EB%B0%A9%EB%B2%95%20%EA%B0%9C%EC%84%A0
[2] https://plus.google.com/share?url=http%3A%2F%2Fwww.si.re.kr%2Fnode%2F52556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3A%2F%2Fwww.si.re.kr%2Fnode%2F52556&text=%EC%88%98%EB%8F%84%EA%B6%8C%20%EC%A7%80%ED%95%98%EC%B2%A0%20%EB%85%B8%EC%84%A0%20%EA%B0%84%20%ED%99%98%EC%8A%B9%EB%9F%89%20%EC%B6%94%EC%A0%95%EB%B0%A9%EB%B2%95%20%EA%B0%9C%EC%84%A0
[4] http://www.si.re.kr/si_download/52556/14754
[5] http://www.si.re.kr/si_download/52556/14755
[6] http://www.si.re.kr/si_download/52556/14756
[7] http://www.si.re.kr/si_download/52556/14757
[8] http://www.si.re.kr/taxonomy/term/16642
[9] http://www.si.re.kr/taxonomy/term/17604
[10] http://www.si.re.kr/taxonomy/term/20801
[11] http://www.si.re.kr/taxonomy/term/20802
[12]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3.do
[13] http://www.si.re.kr/node/64408
[14] http://www.si.re.kr/node/63512
[15] http://www.si.re.kr/node/61217
[16] http://www.si.re.kr/node/65055
[17] http://www.si.re.kr/node/64328
[18] http://www.si.re.kr/node/57111
[19] http://www.si.re.kr/node/65059
[20] http://www.si.re.kr/node/65066
[21] http://www.si.re.kr/node/64988
[22] http://www.si.re.kr/research_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