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정책리포트

미래 주차환경 변화에 대응한 서울 스마트 주차관리체계 구축방안

등록일: 
2023.12.18
조회수: 
539
권호: 
제386호
발행일: 
2023-12-14
저자: 
한영준, 정상미
다운로드
PDF icon 원본 (10.42 MB)

기술의 발전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교통수단과 스마트폰 기반의 교통정보 활용 등으로 도시의 교통환경은 변화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 기반의  무인주차 기술은 주차장의 용량과 주차 행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미래의 주차환경도 크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은 도심과 주거지별로 서로 다른 주차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주차인프라의 소유와 운영도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다. 미래 주차환경 변화에 대응가능하며 서울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주차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래 교통이 주차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도심・주거지별로 이원화된 주차정책 적용해야

무인주차의 상용화는 주차장 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부설주차장이 집중된 서울 도심에서는 잉여 주차공간 발생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울 도심에서는 부설주차장에 필요한 주차기능을 집중시키고 노상・노외 주차장의 용도를 전환하는 새로운 주차공간 활용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주차공간이 부족한 주거지역에서는 지속적인 주차공간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재원으로 도심 노상・노외 주차장의 매각 재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심과 주거지의 이원화된 주차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서울시 차원의 사업 구상과 지역별 조율이 필요하다.

성공적인 스마트 주차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서울시 주차 환경에 대한 면밀한 검토 수반되어야

공공, 건축물 소유주, 민간 플랫폼 사업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서울의 주차 인프라는 모든 주차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스마트 주차관리체계를 통해 관리되어야 한다. 서울시 관점에서 스마트 주차관리체계 도입여건을 분석한 결과, 강점(Strength)으로는 이용자 선호도가 높고 양호한 입지에 위치한 공영주차장 소유, 약점(Weakness)으로는 부족한 공공자산과 체계화되지 못한 주차데이터 수집체계, 기회(Opportunity) 요소로는 스마트 주차관리체계에 대한 관심 증가, 위협(Threat) 요소로는 민간 위주의 주차사업 확대로 인한 공공의 역할 부재 등으로 파악되었다.

민간 플랫폼에 기반을 둔 통합 주차 플랫폼 구축을 시작으로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완성

주차정보를 이용하는 시민의 행태와 접근성을 고려하면, 서울의 스마트 주차관리체계는 민간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공 주차정보를 통합하는 접근 방식이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공공 주차정보의 개념을 민간 플랫폼에서 배제되고 있는 소규모・소외지역 주차장까지 확대하여, 서울의 모든 주차인프라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MaaS로 대표되는 미래교통의 다양한 수단 간 연계성을 고려하여, 주차 플랫폼에서 한 단계 더 발전된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의 추진도 고려하여야 한다. 민간과 공공 주차정보를 통합하여 구축된 서울의 스마트 주차관리체계를 시작으로, 도시교통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으로까지 발전을 기대해 본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