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을 수강하는 서울시민 얼마나 있나?
글쓴이: infographics / 작성시간: 월, 10/30/2023 - 09:11
지난 1년간 문화예술교육을 수강한 서울시민 31.6%
가장 만족도가 높은 교육 방식은 ‘예술적 기량 향상을 위한 강습·강좌·실습’
2023년 서울시 10명 중 3명 지난 1년간 문화예술교육을 수강한 경험 있어
- 2023년 기준 지난 1년간 문화예술교육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서울시민은 31.6%였으며, 가장 많이 수강한 분야는 ‘영화(30.4%)’, ‘사진(11.7%)’, ‘음악(11.4%)’ 순
- 연평균 38.8만 원을 문화예술교육에 지출하였으며, 40대가 48.4만 원으로 가장 높아
- 문화예술교육 수강 기간은 ‘2~3개월(33.9%)’이 가장 많으며, 절반 이상이 주로 ‘혼자(55.1%)’ 교육에 참여한다고 응답
- 교육에 관한 정보습득 경로는 ‘인터넷 검색(33.2%)’, 주변 지인(19.0%)‘, ’소셜미디어(11.7%) 순
표1. 2023년도 서울시민 문화예술교육 수강 경험 (단위: %)
경험 여부 | 비율 |
---|---|
평생 경험 없음 | 18.3 |
경험은 있지만 지난 1년간 경험 없음 | 50.1 |
지난 1년 안에 경험 있음 | 31.6 |
자료: 서울시 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및 정책 요구 조사(2023, 서울연구원)
표2. 2023년도 서울시민이 가장 많이 수강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상위 5개(단위: %)
분야 | 비율 |
---|---|
영화 | 30.4 |
사진 | 11.7 |
음악 | 11.4 |
공예 | 9.5 |
미술 | 7.6 |
주: 응답자 1,000명 중 2022년 교육 경험자는 316명
자료: 서울시 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및 정책 요구 조사(2023, 서울연구원)
표3. 2023년도 연령별 문화예술교육 지출 비용 (단위: 만원)
연령 | 비용 |
---|---|
20대 | 36.8 |
30대 | 46.9 |
40대 | 48.4 |
50대 | 39.5 |
60대 | 19.9 |
평균 | 38.3 |
주: 응답자 1,000명 중 2022년 교육 경험자는 316명
자료: 서울시 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및 정책 요구 조사(2023, 서울연구원)
표4. 2023년도 문화예술교육을 함께하는 사람 (단위: %)
함께 하는 사람 | 비율 |
---|---|
혼자 | 55.1 |
친구 및 연인 | 18.4 |
가족 혹은 친척 | 15.2 |
직장 동료 | 5.7 |
동호회 회원 | 5.7 |
주: 응답자 1,000명 중 2022년 교육 경험자는 316명
자료: 서울시 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및 정책 요구 조사(2023, 서울연구원)
표5. 2023년도 문화예술교육 인지 경로 상위 5개 (단위: %)
인지 경로 | 비율 |
---|---|
인터넷 검색 | 33.2 |
주변 지인 | 19.0 |
소셜미디어 | 11.7 |
TV·라디오 | 10.4 |
안내책자 | 8.9 |
주: 응답자 1,000명 중 2022년 교육 경험자는 316명
자료: 서울시 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및 정책 요구 조사(2023, 서울연구원)
문화예술교육을 수강한 가장 큰 이유는 ‘삶의 의미, 성취감, 자존감 향상을 위해’
- 문화예술교육 운영장소 중 가장 많이 참여한 곳과 만족도가 높은 곳은 ‘미술관, 박물관, 공연장, 지역문화재단 등 문화예술시설’
- 만족도가 높은 교육 방식은 ‘예술적 기량 향상을 위한 강습·강좌·실습(27.5%)’, ‘작품 관람·감상·이해 (19.3%)’, ‘문화예술 이론 중심의 교육(18.0%)’
- 문화예술교육을 수강하는 이유로는 ‘삶의 의미, 성취감, 자존감 향상 등을 위해’서 라고 응답하였으며, 수강했던 교육이 개인 심리적 차원, 자기 계발 및 성취감 등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
표6. 2023년도 문화예술교육 수강 장소와 만족도가 높은 수강 장소 (단위: %)
장소 | 참여 비율 | 만족률 |
---|---|---|
미술관, 박물관, 공연장, 지역문화재단 등 문화예술시설/기관 | 16.1 | 16.1 |
백화점 대형마트 등 문화센터 | 12.3 | 10.8 |
도서관, 작은도서관 | 10.4 | 8.5 |
사설 예술학원, 강습소 | 9.8 | 8.5 |
주민자치센터 혹은 주민문화센터 | 9.8 | 11.4 |
예술가의 공방, 작업실, 연습실 | 8.5 | 9.2 |
평생학습시설, 학교 부설 평생교육기관, 등 교육기관 | 7.0 | 8.2 |
줌, 메타버스, 유튜브 등을 이용한 온라인 공간 | 6.6 | 6.0 |
복지회관, 돌봄센터, 청소년수련관, 50플러스센터 등 복지시설 | 5.7 | 6.0 |
문화원, 문화의 집, 생활문화센터, 영상미디어센터, 마을예술창작소 등 생활문화시설 | 5.7 | 5.7 |
동아리·동호회에서 운영하는 교육 과정 | 4.7 | 5.4 |
서울예술교육센터, 창의인성교육센터 등 예술교육 전문기관 | 3.2 | 4.1 |
주: 응답자 1,000명 중 2022년 교육 경험자는 316명
자료: 서울시 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및 정책 요구 조사(2023, 서울연구원)
표7. 2023년도 만족도가 높은 문화예술교육 교육 방식 상위 5개 (단위: %)
교육 방식 | 비율 |
---|---|
예술적 기량 향상을 위한 강습·강좌·실습 | 27.5 |
작품 관람·감상·이해 | 19.3 |
문화예술 이론 중심의 교육 | 18.0 |
행사성, 일회성 체험형 교육 | 15.5 |
창작 | 13.9 |
주: 응답자 1,000명 중 2022년 교육 경험자는 316명
자료: 서울시 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및 정책 요구 조사(2023, 서울연구원)
표8. 2023년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상위 5개 (단위: %)
참여 이유 | 비율 |
---|---|
삶의 의미, 성취감, 자존감 향상 등을 위해 | 20.9 |
예술 실력 향상, 문화예술 이해/체험, 자기 계발을 위해 | 19.0 |
즐거움과 재미를 위해 | 18.4 |
스트레스 해소 등 마음의 안정과 휴식을 위해 | 12.3 |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교류하기 위해 | 9.2 |
주: 응답자 1,000명 중 2022년 교육 경험자는 316명
자료: 서울시 문화예술교육 참여 실태 및 정책 요구 조사(2023, 서울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