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카드뉴스

내 집 앞 생활도로 안전한가요?

등록일: 
2021.12.21
조회수: 
4508

[Card News / Episode 6] Is the Road in front of My House Safe Enough?
Have you heard of “residential roads”? A residential road, or residential street, refers to a road or street between 9 and 12 meters wide. Much of our everyday lives involve residential roads or streets. As separate sidewalks do not exist on most of them, sometimes accidents involving pedestrians occur. Averag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in Seoul per Year, by road type (2018 – 2020)
Residential roads make up 88 percent of the roads in Yangcheon-Gu, 87.1 percent of those in Seongbuk-Gu, 82.3 percent in Gwangjin-Gu, and 82.1 percent in Gwanak-Gu. Percentage of Roads narrower than 12 meters in Selected Autonomous gu-district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f 1,000 Seoulites on their perceptions of safety on residential roads.
Receivers of the survey were asked how safe or unsafe they felt on residential streets in their neighborhoods. The highest percentage of those surveyed (35.2%) consider residential roads near their houses as “fairly unsafe.” Those who think they are “neither safe nor unsafe” and “fairly safe” came next at 34.6% and 24.4%, respectively.
Of particular note is that people in their 30s and 40s, those living in northeast and northwest parts of Seoul, as well as those dwelling in single-family homes, multi-family houses and non-residential buildings have a higher probability of feeling unsafe.
More than four in five Seoul survey respondents (82.9%) perceive road crashes as the biggest safety hazard on residential streets, followed by limited capacity to rapidly respond to disasters (77.7%), tripping, slipping, or falling (58.7%), and crime (49.7%).
Aside from that, motor vehicles parked or stopped in an unauthorized manner, stacked objects, and litter (including illegally dumped garbage) were cited as problematic.
Autonomous gu-district offices a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manage residential roads due to their insufficient manpower and resources. Under these circumstances, engaging relevant experts and community members is imperative.
Suggestion from the Seoul Institute. It is advisable for the SMG to lay down standardized guidelines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residential streets and have each of the 25 gu-district offices adhere to them.
  •  
  •  
  •  
  •  
  •  
  •  
  •  
  •  
  •  
  •  

 

[서울연구원 카드뉴스 제17호] 내 집 앞 생활도로 안전한가요?

'생활도로'를 아시나요?
생활도로란 '이면도로'로도 불리며, 폭 9~12m 미만의 좁은 도로입니다.
우리의 일상생활과 직결된 도로로 대부분 보도가 따로 분리되어 있지 않아 안전 사고가 종종 발생하기도 합니다.
2018년~2020년 서울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중 전체도로 연평균 218,909건 이 중 생활도로 관련사고는 103,425건(47.2%)

각 자치구에서 생활도로가 차지하는 비율은 입니다.

  • 서울시 자치구별 폭 12m미만 도로 비율 (연장 km기준)
    • 양천구 88.0%
    • 성북구 87.1%
    • 광진구 82.3%
    • 관악구 82.1%
    • 성동구 81.8%
    • 도봉구 81.5%
    • 서대문구 81.2%
    • 은평구 80.2%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생활도로 안전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 했습니다.

  • '생활도로에 대한 주민인식' 설문조사
    • 조사대상: 만 15세 이상 서울시 거주자 1,000명
    • 조사기간: 2021. 3. 16 ~ 2021. 3. 31
    • 조사특징: 성별, 연령, 거주지역 등 분포 고려
    • 주요내용: 생활도로에 대한 시민들의 안전도(위험도) 인식
                  위험요소(재난 및 안전사고 위험), 시설환경의 양호도 및 충분도에 대한 인식,
                  중점적으로 해소해야 할 위험요소 및 시설환경 등

시민들이 체감하는 '생활도로는 안전한가'에 대해 '위험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35.2%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보통이다' 34.6%, '안전한 편이다' 24.4% 순이였습니다.

  • 생활도로에 대한 안전도 인식
    • 매우 위험하다(1점) 3.6%
    • 위험한 편이다(2점) 35.2%
    • 보통이다(3점) 34.6%
    • 안전한 편이다(4점) 24.4%
    • 매우 안전하다(5점) 2.2%

특히 30~40대와 서울의 동북권ㆍ서북권, 그리고 단독ㆍ다가구 주택ㆍ비주거 건물 거주자들이 생활도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 특성별 생활도로에 대한 안전도 인식
    • 연령별 : 15-19세 3.2, 20-29세 2.9, 30-39세 2.8, 40-49세 2.7, 50-59세 2.9, 60세 이상 3.0
    • 거주지별 : 도심권 3.0, 동북권 2.8, 서북권 2.7, 서남권 2.9, 동남권 2.9
    • 주거형 : 아파트 2.9, 연립주택/다세대주택 2.8, 단독주택/다가구주택 2.7, 비주거용/건물내주택 2.7, 주택 외 거처 3.0

생활도로에서 느끼는 위험은 교통사고가 82.9%로 가장 높고, 재난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 곤란(77.7%), 넘어짐ㆍ미끄러짐ㆍ추락(58.7%), 범죄(49.7%)등을 우선 순위로 꼽았습니다.

  • 생활도로에서 중점적으로 해소해야 할 위험요소 (3개 복수응답)
    • 교통사고 (82.9%)
    • 재난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 곤란 (77.7%),
    • 넘어짐ㆍ미끄러짐ㆍ추락 (58.7%),
    • 범죄 (49.7%) 
    • 붕괴, 지반 함몰 (18.7%)
    • 침수 (10.0%)

그 외에, 불법 주정차ㆍ노상적치물ㆍ쓰레기 투기같은 문제에 대해서도 주민들은 개선을 원하고 있었습니다.

  • 생활도로 내 시설환경 관련 중점 개선사항 (3개 복수응답)
    • 불법주정차, 노상적치물 단속 (46.2%)
    • 보행자 편의, 안전시설 (43.4%)
    • CCTV (40.6%)
    • 도로청소, 쓰레기투기 단속 (33.1%)
    • 야간조명 (29.3%)

생활도로는 자치구의 제한된 재정과 인력으로 관리하기엔 한계가 있어, 관련 전문가와 지역 주민의 참여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 단체 : 안전보안관, 지역자율방재단, 주민자치회 등 주민단체의 주기적인 안전점검과 청소와 같은 활동 활성화
  • 개인 : 120 다산콜센터, 구청 홈페이지, 안전신문고, 서울스마트 불편신고 등에 제보

서울연구원은 "시민 일상생활과 직결되고 보행자 안전과 편의가 우선돼야 하는 생활도로를 유지관리하는 표준화된 매뉴얼을 마련하고, 25개 자치구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해야한다"라고 제안했습니다.

(출처 : 서울시 생활도로 관리실태와 개선방안, 신상영, 서울연구원 연구보고서, 2021)

[연구보고서] 서울시 생활도로 관리실태와 개선방안